초성 단어: 28개

  • 자막집중 : 子莫執中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자막이라는 사람이 중용(中庸)만을 지켰다는 데서 유래한다.
  • 자만자족 : 自慢自足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겨 뽐내며 흡족해함.
  • 자목지재 : 字牧之材 고을의 수령이 될 만한 인재를 이르던 말.
  • 전망장졸 : 戰亡將卒 전쟁터에서 싸우다 죽은 장수와 병졸.
  • 주민지점 : 住民地點 사람들이 일정한 영역에 자리 잡고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 토대를 닦아 놓은 곳. 농촌형 주민지점과 도시형 주민지점이 있다.
  • 진명지주 : 眞命之主 하늘의 뜻을 받아 어지러운 세상을 평정하고 통일하는 임금.
  • 자마 전쟁 : Zama戰爭 제이 차 포에니 전쟁을 종결한 싸움. 기원전 202년에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 서남쪽에 있는 자마에서 벌어진 싸움으로,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가 한니발의 카르타고군을 격파하여 로마가 지중해 세계를 통일하는 계기가 되었다.
  • 장면 조직 : 場面組織 작품의 주제에 맞게 장면을 엮어 나가거나 장면과 장면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나가는 일.
  • 장명 종자 : 長命種子 실온에서의 수명이 4~6년인 종자. 오이, 가지, 무, 녹두, 팥, 담배 따위의 종자가 이에 해당한다.
  • 장미 전쟁 : 薔薇戰爭 1455년부터 1485년까지 영국의 랭커스터가와 요크가 사이에서 벌어졌던 왕위 쟁탈전. 전자는 붉은 장미, 후자는 흰 장미를 문장으로 한 데에서 이 이름이 생겼다. 이 전쟁으로 많은 귀족과 기사의 세력이 꺾이고 왕권이 강화되어 영국은 절대주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 재물 조정 : 財物調整 천재지변과 같은 불가항력적인 원인으로 장부의 재고와 실제 보유량이 상이할 때, 개인이나 부대에게 변상 책임을 부여하지 않고 장부와 실제 재고의 수량을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일.
  • 전망 조직 : 展望組織 1982년대 학생 운동 내부의 계파 간 논쟁에서 지속적 정치 투쟁과 가두시위 전개를 강조한 계파.
  • 전면 전쟁 : 全面戰爭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벌어지는 전쟁.
  • 전면 접점 : 1 前面接點 계전기가 선택되었을 때 닫히는 접점. 2 前面接點 계전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았을 때 열리는 접점.
  • 전문 잡지 : 專門雜誌 음악, 예술, 문학, 건설 따위의 특정한 전문 분야를 내용으로 다루는 잡지.
  • 전문 조직 : 專門組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략 공식화에 관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해결하는 조직. 공인 회계 법인, 합동 법률 사무소 따위가 있다.
  • 점막 절제 : 粘膜切除 궤양 대장염 수술 따위에서 돌창자 항문 연결술을 하기 전에 먼저 직장 점막을 절제하는 일.
  • 접목 잡종 : 1 椄木雜種 접목에 의하여 접본(椄本)과 접지(椄枝)의 중간 형질을 나타내는 식물 개체. 또는 이것을 만드는 일. 극히 드물며 대다수 접본의 영향으로 접지의 형질이 나타난다. 2 椄木雜種 유전적으로 다른 체세포가 합쳐져서 만들어지는 잡종. 유성 생식을 거치지 않으며 모세포의 핵과 세포질이 교배에 관여한다.
  • 정밀 주조 : 精密鑄造 치수의 공차(公差)가 작은 주물을 만드는 방법.
  • 제모 전쟁 : 除毛戰爭 미용을 위해 피부의 털을 없애는 데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일.
  • 제물 지정 : 제물地釘 경질 지반에 지정을 하지 않고 직접 기초를 구축하는 공법.
  • 종묘 정전 : 宗廟正殿 종묘의 정전(正殿).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으로, 초에는 목조, 익조, 도조, 환조 등 태조의 사대조(四代祖) 신위를 모셨으나 그 후에는 당시 재위하던 왕의 사 대조(四代祖)와 조선 시대 역대 왕 가운데 공덕이 있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19칸으로, 단일 건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다. 국보 제227호.
  • 주말 정지 : 週末停止 주말의 부하 대책을 위하여 화력 발전소의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수급 정지.
  • 주문 제작 : 注文製作 고객의 주문을 받은 뒤, 그 주문의 요구 사항에 따라 물건을 만드는 일.
  • 주민 조직 : 住民組織 일정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만든 집단이나 단체.
  • 지물 조작 : 地物操作 지형지물 유형에 해당하는 모든 인스턴스에서 실행이 가능한 연산.
  • 직무 정지 : 職務停止 직책이나 직업상 맡아 하던 일을 그만둠.
  • 직물 조직 : 織物組織 씨실과 날실이 아래위로 엇갈리게 짜는 방법. 또는 그런 상태. 씨실과 날실의 교차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으로 구분하며, 이것들을 직물의 삼원 조직이라고 한다.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493 개의 단어) 🍀
  • 자마 雌馬 : 말의 암컷.
  • 자막 字幕 : 영화나 텔레비전 따위에서, 관객이나 시청자가 읽을 수 있도록 화면에 비추는 글자. 표제나 배역, 등장인물의 대화, 설명 따위를 보여 준다.
  • 자만 子滿 : 임신 5~7개월에 배가 지나치게 커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오줌을 잘 누지 못하고 몸이 붓는 병.
  • 자말 子末 : 자시(子時)의 끝 무렵.
  • 자망 自望 : 자기를 추천함.
  • 자매 自媒 : 중매를 거치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자를 구함.
  • 자맥 自脈 : 스스로 자기 맥을 짚어서 병을 진찰하는 일.
  • 자먼 Jarman, Derek : 데릭 자먼, 영국의 영화감독(1942~1994). 평생 무정부주의, 동성애주의, 미학적 실험주의를 일관되게 추구하였다. 러셀(Russell, K.) 감독의 세트 디자이너로 시작하여 1970년대 8mm, 16mm 비디오 영화를 고수하다가 1980년대 최초의 35mm 극영화 <카라바지오>로 명성을 얻었다. 작품에 <희년>, <템페스트>, <대영 제국의 종말>, <에드워드 이세>가 있다.
  • 자며 : ‘-자면서’의 준말.
(총 584 개의 단어) 🎴
  • 마자 : ‘참마자’의 북한어.
  • 마작 : ‘마저’의 방언
  • 마장 : 거리의 단위. 오 리나 십 리가 못 되는 거리를 이른다.
  • 마저 : 남김없이 모두.
  • 마적 馬賊 : 말을 타고 떼를 지어 다니는 도둑. 주로 청나라 말기에 만주 지방에서 활동하였다.
  • 마전 : 갓 짠 천을 삶거나 빨아 볕에 바래는 일.
  • 마접 魔接 : 귀신을 접함. 또는 신이 내림.
  • 마정 馬丁 : 말을 부려 마차나 수레를 모는 사람.
  • 마제 馬蹄 : 말의 발톱.
(총 792 개의 단어) 🍇
  • 자자 字子 : 중국 음운학에서, 자모(字母) 이외의 글자.
  • 자작 : ‘자작거리다’의 어근.
  • 자잘 : ‘자잘하다’의 어근.
  • 자장 子臟 : ‘자궁’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자재 自在 : 저절로 있음.
  • 자저 自邸 : 자기의 저택.
  • 자적 : 자귀질이나 또는 그 일을 하는 기술.
  • 자전 子錢 : 꾼 금전(金錢)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무는 돈.
  • 자절 自切/自截 : 일부 동물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하여 몸의 일부를 스스로 끊는 일. 도마뱀은 꼬리, 게나 여치 따위는 다리를 끊는데 그 부분은 쉽게 재생된다.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