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51개

  • 자선당 : 資善堂 조선 시대에, 세자와 세자빈이 거처하던 경복궁 안의 건물. 조선 문종이 세자 때에 거처한 곳이다.
  • 자소당 : 紫蘇糖 청자소(靑紫蘇)의 정유 주성분인 페릴알데하이드의 유도체. 흰 결정으로, 수크로스의 2,000배 정도의 단맛이 난다. 담배, 치마분(齒磨粉), 껌 따위에 감미료로 쓴다. 화학식은 C10H15NO.
  • 자소동 : 紫蘇銅 ‘반동석’을 달리 이르는 말. 반동석의 신선한 면이 공기에 닿으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데서 생긴 말이다.
  • 자수다 : ‘자시다’의 방언
  • 자수대 : 刺繡臺 전통 자수를 놓기 위하여 천을 팽팽하게 잡아매는 기구.
  • 자수도 : 自水道 자기네 집만이 쓰게 되어 있는 수도.
  • 자스닥 : JASDAQ 일본의 장외 증권 시장. 주로 벤처 기업의 주식 거래가 중심이 되며, 우리나라의 코스닥, 미국의 나스닥과 성격이 유사하다.
  • 자시다 : 1 ‘먹다’의 높임말. ‘들다’보다 존대의 정도가 높다. 2 앞에 나온 말을 부정하는 뜻으로 이르는 말.
  • 작사다 : ‘성숙하다’의 방언
  • 작산돈 : ‘큰돈’의 방언
  • 작식대 : 作食隊 일제 강점기에, 식사 준비 일을 맡은 유격대의 한 집단.
  • 작심대 : 지게를 버티어 세우는 작대기. 지게를 세울 때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는 윗부분을 세장에 걸어 놓으며, 지게를 질 때는 보통 한쪽 어깨에 가로 끼운다. ⇒규범 표기는 ‘지겟작대기’이다.
  • 잔사단 : 잔事端 쓸데없이 번거롭게 자질구레한 말을 늘어놓음. 또는 그 말.
  • 잘살다 : 부유하게 살다.
  • 잠수대 : 1 潛水隊 잠수함으로 편성한 해군 함대. 2 潛水帶 파도대보다 수심이 깊은 외부 구역.
  • 잡소다 : ‘잡수다’의 방언
  • 잡소득 : 雜所得 일정한 소득 이외의 여러 가지 잡다한 소득.
  • 잡수다 : 1 ‘먹다’의 높임말. 2 제사, 장례, 염 따위를 모시어 행하다.
  • 잡수당 : 雜手當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수당.
  • 잡숫다 : 1 궁중에서, 옷을 입음을 이르던 말. 2 ‘잡수시다’의 준말.
  • 잡시다 : 궁중에서, ‘주무시다’를 이르던 말.
  • 장산도 : 長山島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에 속하는 섬. 면적은 25.05㎢.
  • 장살대 : 長살대 문살 가운데 세로로 세워서 짜는 살.
  • 장삼도 : 長三度 어느 음을 밑음으로 하여 두 음 사이가 두 개의 온음으로 된 장음정.
  • 장생도 : 長生圖 행복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자연과 동식물에 비유하여 상징적으로 그린 그림. 십장생 즉 장생불사를 상징하는 해, 구름, 산, 물, 대나무,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따위를 그렸다.
  • 장서도 : 張瑞圖 중국 명나라 말기의 서화가ㆍ정치가(1570~1644). 자는 장공(長公). 호는 이수(二水). 서화(書畫)에 두루 뛰어났으나 개성이 강한 작풍을 보여, 화단에서 환영을 받지 못하였다.
  • 장선대 : 長線대 마루나 비계 따위에서, 바닥 널을 받치는 가로대.
  • 장수당 : 長壽幢 의장(儀仗)의 하나.
  • 장식대 : 裝飾臺 장식품을 올려놓는 받침. 또는 그런 기구나 시설물.
  • 장식등 : 1 裝飾燈 화려하게 장식한 여러 가지 모양의 전깃불 장치. 2 裝飾燈 ‘샹들리에’의 북한어.
  • 재승덕 : 才勝德 ‘재승덕하다’의 어근.
  • 재시도 : 再試圖 명령 실행을 정상적으로 끝내지 못한 경우에 이것이 일시적인 오작동인지 아닌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같은 상태에서 이상이 발생한 명령을 다시 실행시켜 보는 일.
  • 재시동 : 1 再始動 발전기나 전동기, 증기 기관, 내연 기관 따위에 다시 발동이 걸리기 시작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2 再始動 중단되었던 일이 다시 진행되기 시작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3 再始動 장애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의 전부나 일부를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될 때, 프로그램의 처음이나 체크 포인트로 돌아가서 프로그램을 재개하는 일. 예를 들면, 2시간 걸리는 프로그램에서 10분 간격으로 체크 포인트를 잡으면 이상이 발생할 때 수정하는 평균 시간을 60분에서 5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
  • 재실등 : 在室燈 실내에 사람이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켜는 등.
  • 저소득 : 低所得 적은 벌이. 또는 벌이가 적음.
  • 저속도 : 低速度 느린 속도.
  • 저수다 : ‘쪼다’의 방언
  • 저수답 : 貯水畓 추수가 끝난 뒤에 다음 해 모내기 철에 쓰기 위하여 물을 막아 두는 논.
  • 저수디 : 貯水디 ‘저수지’의 방언
  • 저순도 : 低純度 어떤 물질 가운데에서 주성분인 순물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음.
  • 저스다 : ‘젓다’의 방언
  • 저습답 : 低濕沓 봇물이 가장 먼저 들어오는 물꼬가 있는 논.
  • 저승돈 : 저승에서 이승으로 올 때에 지고 온다는 빚. ⇒규범 표기는 ‘저승빚’이다.
  • 적색도 : 赤色度 붉은색의 진하고 연한 정도를 수치화한 값.
  • 적세다 : ‘적시다’의 방언
  • 적소두 : 赤小豆 껍질 색깔이 검붉은 팥.
  • 적쇳달 : ‘석쇠’의 방언
  • 적수다 : ‘적시다’의 방언
  • 적시다 : 1 물 따위의 액체를 묻혀 젖게 하다. 2 긴장하거나 딱딱하였던 감정, 정서, 지친 마음 따위를 부드러워지게 하다. 3 (비유적으로) 어떤 색깔이나 느낌으로 물들게 하다. ... (총 5개의 의미)
  • 적심도 : 적심度 적셔지는 정도. 또는 적셔지는 양.
  • 적심돌 : 積心돌 돌 따위를 쌓을 때 안쪽에 심을 박아 쌓는 돌.
  • 전산도 : 全酸度 낙농에서, 우유 본래의 산도인 자연 산도와 착유 후 취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생 산도를 포괄하는 총산성도.
  • 전선대 : 1 電線대 전선이나 통신선을 늘여 매기 위하여 세운 기둥. ⇒규범 표기는 ‘전봇대’이다. 2 電線대 ‘전봇대’의 북한어. 3 前線帶 전선의 폭을 특히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전셋돈 : 傳貰돈 전세를 얻을 때 그 부동산의 소유주에게 맡기는 돈.
  • 전송대 : 傳送帶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동ㆍ운반하는 띠 모양의 운반 장치. 벨트식, 체인식 따위가 있다.
  • 전수두 : 全水頭 유체의 압력 수두, 위치 수두, 속도 수두를 모두 합한 수두.
  • 전술단 : 戰術團 ‘전투단’의 북한어.
  • 전시대 : 展示臺 물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벌여 놓은 대.
  • 전신당 : 前身黨 일정한 당의 창립에서 모체가 된 당.
  • 전신대 : 電信隊 ‘통신대’의 전 용어.
  • 전실댁 : 前室宅 ‘전실’을 점잖게 이르는 말.
  • 젇사돈 : ‘곁사돈’의 방언
  • 절삭대 : 切削臺 대패질이나 절삭 작업 따위를 하는 작업대.
  • 점성도 : 粘性度 유체(流體)의 점성 정도. 온도에 의하여 변화한다. 단위는 푸아즈(P)이다.
  • 점속도 : 點速度 유효 행(行) 내에서 주사하거나 기록하거나 하는 점의 속도. 이 속도는 복사 용지 또는 기록 용지에 의해 계측된다.
  • 점심닭 : 點心닭 점심때에 우는 닭.
  • 점심답 : ‘점심때’의 방언
  • 접사돈 : 접査頓 ‘겹사돈’의 방언
  • 접사둔 : ‘겹사돈’의 방언
  • 접속단 : 接續端 제어될 유체를 운반하는 파이프에 압력 치밀 접속을 하기 위해 제공되는 밸브 본체 형상.
  • 접속두 : 接續頭 ‘플러그’의 북한어.
  • 접수대 : 1 接受臺 처리할 문서나 금품 따위를 받는 대. 2 接受臺 수동 전화 교환국에서 통화 신청을 전문적으로 접수하는 교환대. 3 接受臺 인쇄기 또는 종이 접는 기계에서 인쇄된 종이나 접은 종이가 쌓이는 대(臺).
  • 젓수다 : 1 궁중에서, ‘잡수다’를 이르던 말. 2 신과 부처에게 빌다.
  • 정사당 : 政事堂 신라 때에, 임금이 정사를 보거나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던 곳.
  • 정사도 : 鄭思道 고려 말기의 문신(1318~1379). 공민왕 때에 일성군에 봉하여지고, 최영의 제거를 꾀하는 신돈에 반대하다 파직되었으나 복직되었다. 우왕 때에 오천군(烏川君)으로 봉하여지고 공신이 되었다.
  • 정상단 : 政商團 정치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정객들로 이룬 단체. 또는 그런 사람들의 집단.
  • 정상도 : 正常度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 용액 1리터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그램 수를 말한다. 기호는 N.
  • 정속도 : 定速度 일정하게 정하여 놓은 속도.
  • 정수동 : 鄭壽銅 ‘정지윤’의 성과 별호를 함께 이르는 이름.
  • 정수두 : 靜水頭 정지한 물속의 임의의 한 점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을 물의 높이로 표시한 양.
  • 정신대 : 1 挺身隊 태평양 전쟁 때 일제가 식민지 여성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만든 무리. 2 挺身隊 죽기를 각오하고 있는 힘을 다할 것을 결심한 사람으로 이루어진 부대나 무리.
  • 젖산도 : 젖酸度 젖에 산이 포함되어 있는 정도.
  • 젙사돈 : 젙査頓 ‘곁사돈’의 방언
  • 제사답 : 祭祀畓 산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데 드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는 논.
  • 제성단 : 祭星壇 고려ㆍ조선 시대에, 태백성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 함경남도 광포에 있다.
  • 제세동 : 除細動 심실 세동, 심방 세동을 억제하여 규칙적인 심장 박동의 리듬을 찾도록 하는 일. 심장에 강한 전류를 순간적으로 보내는 방법으로, 부정맥의 치료에 쓰인다.
  • 제수답 : 祭需畓 추수한 것을 조상의 제사 비용으로 쓰기 위하여 마련한 논.
  • 제승당 : 制勝堂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에 있는, 삼도 수군의 본영. 이순신 장군이 거처하면서 삼도 수군을 지휘하며 무기를 만들고 군량을 비축하던 곳이다.
  • 제시다 : ‘계시다’의 방언
  • 조사단 : 調査團 사건이나 사실을 명확하게 알아내기 위하여 만든 단체.
  • 조사당 : 祖師堂 조사(祖師)의 영정이나 위패를 모신 집. 후세에 존경을 받는 이, 창건한 이, 중흥조(中興祖)나 역대 주지를 모시기도 한다.
  • 조산대 : 造山帶 조산 운동이 있었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 띠 모양으로 길게 이어져 습곡 산맥을 이루며, 습곡ㆍ단층ㆍ광역 변성대 따위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화산대, 지진대와 일치하여 지각이 불안정하다. 환태평양 조산대, 알프스 조산대, 히말라야 조산대 따위가 있다.
  • 조상대 : 潮上帶 연안 구역의 하나. 만조선으로부터 파도가 해안선에 부딪쳐서 바닷물이 튀는 부분의 지상 구역을 이른다.
  • 조색단 : 助色團 염료 분자에 치환되면 염료의 색을 짙게 하거나 섬유에 쉽게 염색되게 하는 원자단.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따위가 있다.
  • 조석도 : 潮汐圖 기조력에 의하여 생성된 조석의 진행 방향과 크기를 표시하는 도면.
  • 조선대 : 造船臺 배를 만들 때 올려놓는 대.
  • 조세동 : 粗細動 순간마다 급속한 진동에서 불규칙하고 빠른 진동으로 변화하는, 심장의 불규칙한 진동.
  • 조수다 : 1 ‘다지다’의 방언 2 ‘쪼다’의 방언
  • 족산대 : 양쪽 끝에 가늘고 긴 막대로 손잡이를 만든 그물. 주로 얕은 개울에서 물고기를 몰아 잡는다.
  • 존서답 : ‘개짐’의 방언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882 개의 단어) 🏵
  • 자사 : ‘얼레’의 방언
  • 자삭 自削 : ‘자진 삭제’을 줄여 이르는 말.
  • 자산 子産 :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정치가(?~B.C.522). 성은 공손(公孫). 이름은 교(僑). 정나라 목공(穆公)의 손자로, 진나라와 초나라의 역학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정나라의 평화를 유지하였다. 또 농지를 정리하고 나라의 재정(財政)을 재건하였으며, 성문법을 만들었다.
  • 자살 自殺 : 스스로 자기의 목숨을 끊음.
  • 자삼 紫蔘 :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80cm이며, 뿌리줄기는 두툼하고 줄기는 외대가 곧게 선다. 근생엽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잎자루가 긴 데 비하여 경엽은 짧으며 피침 모양으로 잎 뒤는 다소 흰색을 띤다. 6~7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깊은 산의 초원에 나는데 한국, 만주, 우수리강,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 자상 仔詳 : ‘자상하다’의 어근.
  • 자새 : 새끼, 참바 따위를 꼬거나 실 따위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얼레.
  • 자색 自色 : 광물 따위의 고유한 빛깔.
  • 자생 子生 : 자년(子年)에 태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총 586 개의 단어) 🎁
  • 사다 : 값을 치르고 어떤 물건이나 권리를 자기 것으로 만들다.
  • 사단 四端 :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 ≪맹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仁)에서 우러나오는 측은지심, 의(義)에서 우러나오는 수오지심, 예(禮)에서 우러나오는 사양지심, 지(智)에서 우러나오는 시비지심을 이른다.
  • 사달 : 사고나 탈.
  • 사담 : ‘여’의 방언
  • 사답 寺畓 : 절에서 가지고 있는 논.
  • 사당 : 조선 시대에, 무리를 지어 떠돌아다니면서 노래와 춤을 파는 여자. 한자를 빌려 ‘寺黨/社黨/社堂’으로 적기도 한다.
  • 사대 : 투전이나 골패에서 같은 짝을 모으는 일.
  • 사댁 査宅 : ‘사돈집’의 높임말.
  • 사덕 四德 : 주역(周易)에서 말하는 천지자연의 네 가지 덕. 원(元), 형(亨), 이(利), 정(貞)을 이른다.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