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206개

  • 자야반 : 子夜半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 자양분 : 1 滋養分 몸의 영양을 좋게 하는 성분. 2 滋養分 정신의 성장이나 발전에 도움을 주는 정보, 지식, 사상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滋養分 정치적 생명을 이어 가고 빛낼 수 있게 하는 정치사상적인 영양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연범 : 自然犯 법률 규범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그 부당성이 자명한, 행위 자체가 반사회적이고 반도덕적인 범죄. 살인ㆍ강도ㆍ방화 따위가 이에 속한다.
  • 자연법 : 1 自然法 인간 이성을 통하여 발견한 자연적 정의 또는 자연적 질서를 사회 질서의 근본 원리로 생각하는 법. 고전적 개념은 신법(神法) 또는 영구법(永久法)의 한 부분이었으며, 근세의 개념은 인간 이성의 우위에 입각하여 합리주의, 개인주의, 급진주의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2 自然法 우주 그대로의 진여(眞如)한 제법(諸法). 3 自然法 자연계의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 법칙.
  • 자연빙 : 自然氷 지구상에서 계절적 또는 영속적으로 얼어 버린 물.
  • 자운방 : 紫雲坊 고려 시대에, 성률(聲律)의 교열(校閱)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34년(1308)에 설치하였다.
  • 자웅비 : 雌雄比 같은 종의 생물에서 암컷과 수컷의 개체 수의 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 자원별 : 資源別 자원에 따른 구별.
  • 자원병 : 自願兵 스스로 입대를 원한 병사.
  • 자유복 : 自由服 제약 조건이나 격식 따위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대로 옷을 입는 일. 또는 그러한 옷차림.
  • 자유비 : 自由費 국회가 마음대로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경비.
  • 자이빙 : gybing 요트에서, 바람을 뒤에서 받아 범주(帆走)하면서 좌현에서 우현, 우현에서 좌현으로 돛을 옮기는 것.
  • 작업반 : 作業班 일정한 작업을 하려고 조직한 반.
  • 작업법 : 作業法 임업에서 일정한 원칙에 따라 질서가 세워진 생산 방식. 갱신 방법. 무육 방법, 벌채 방법, 보호 방법 따위에 따라 구성된다.
  • 작업별 : 作業別 작업에 따른 구별.
  • 작업병 : 作業病 어떤 작업을 과도하게 하여 생기는 질병.
  • 작업복 : 作業服 작업을 할 때에 입는 옷.
  • 작위범 : 作爲犯 신체의 적극적인 동작에 의하여 성립하는 범죄. 형법이 규정하고 있는 범죄의 대부분은 이에 속한다.
  • 작은방 : 작은房 집 안의 큰방과 나란히 딸려 있는 안방.
  • 작은북 : 서양 타악기의 하나. 앞에 걸어 메거나 대(臺) 위에 올려놓고 두 개의 가는 나무 막대기로 두드려 소리를 낸다.
  • 잔아배 : 1 ‘작은아버지’의 방언 2 ‘작은아버지’의 방언
  • 잔알병 : 잔알病 누에에 생기는 전염병의 하나. 미립자 병원체가 누에에 기생해서 생기는데, 이 병에 걸린 누에는 작은 흑갈색 반점이 생기며 뽕을 먹지 못하고 죽는다.
  • 잔애비 : ‘작은아비’의 방언
  • 잔업비 : 殘業費 정해진 노동 시간이 끝난 뒤에 한 노동의 대가로 받는 돈.
  • 잔여법 : 殘餘法 복잡한 현상 가운데에서 이미 알려진 부분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 인과 관계를 규정하려는 방법. 영국의 학자 밀이 인과 관계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한 귀납법의 하나이다.
  • 잔여분 : 殘餘分 남아 있는 부분. 또는 그런 나머지 부분.
  • 잠업법 : 蠶業法 예전에, 잠사업(蠶絲業)의 발전을 도모하여 국민 경제의 발전을 기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 1999년 폐지되었다.
  • 잠용박 : 蠶蛹粕 동물성 사료 원료의 하나. 누에 번데기에서 명주실을 얻고 남은 부산물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잠은밥 : 맹물이나 국물에 말아 놓은 밥. 제주 지역에서는 ‘은밥’으로도 적는다.
  • 잡역부 : 1 雜役夫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일에 종사하는 남자. 2 雜役婦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일에 종사하는 여자.
  • 잡이불 : ‘겹이불’의 방언
  • 장위부 : 掌衛部 고려 시대에, 의장(儀仗)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광종 11년(960)에 내군(內軍)을 고친 것으로, 뒤에 사위시ㆍ위위시로 고쳤다.
  • 장유박 : 醬油粕 간장을 제조하고 남은 부산물. 간장의 원료가 콩이기 때문에 단백질, 염분, 조섬유의 함량이 높다.
  • 장음부 : 1 長音符 긴소리를 표시하는 부호. 2 長音符 장음(長音)을 표시하는 기호. 이분음표, 온음표 따위를 이른다.
  • 장의비 : 葬儀費 근로 기준법에 규정된 재해 보상의 하나.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하다가 사망하였을 때에, 사용자는 평균 임금 90일분의 금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 장인법 : 匠人法 1536년 잉글랜드에서 체결된 일종의 노동법. 이 법은 절대주의 시대 잉글랜드 노동자들의 최고 임금과 노동 시간 하한선을 규정하고, 그들의 자유로운 이동과 결사를 금하는 내용들을 집대성하여 만든 것이다.
  • 잦은발 : ‘잦은걸음’의 북한어.
  • 잦은벹 : ‘땡볕’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은벹’로도 적는다.
  • 재압법 : 再壓法 깊은 물속에서 작업하던 사람을 대기압하로 복귀시킬 때 잠함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시 압력을 가하는 방법.
  • 재열봇 : 매미의 허물
  • 재운반 : 再運搬 물건 따위를 다시 옮겨 나름.
  • 재원비 : 在院費 ‘원(院)’ 자가 붙은 시설이나 기관에 다니는 데 드는 비용.
  • 재이별 : 再離別 이미 한 번 서로 헤어졌다가 만난 뒤에 다시 갈리어 떨어짐.
  • 재인방 : 才人坊 광대나 고리장이 따위의 재인들이 머물며 살 수 있도록 나라에서 특별히 정한 동네.
  • 재인법 : 再認法 이전에 학습한 재료를 새로운 재료와 함께 제시하여 그 가운데서 이미 학습한 재료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
  • 재입북 : 再入北 북한에 들어갔다 온 사람이 다시 들어감.
  • 저아배 : ‘지아비’의 방언
  • 저압병 : 低壓病 높은 산에 올라갔을 때 낮아진 기압 때문에 일어나는 병적 증상. 높은 산에서는 공기 속의 산소 분압이 감소하므로 불쾌하거나 피로하여지며 두통, 식욕 부진, 구토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 저압부 : 低壓部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부분. 저기압보다 넓은 범위를 가리킨다.
  • 저연비 : 低燃費 단위 주행 거리 또는 단위 시간당 소비하는 연료의 양이 적은 것.
  • 저온방 : 低溫房 황토, 맥반석 따위를 바른 방에서 약 30~40℃ 온도의 공기로 땀을 내도록 한 곳. 이 외에 고온방, 중온방 따위가 있다.
  • 저울비 : ‘겨울비’의 방언
  • 저유분 : 低油分 유분이 적음. 또는 적은 유분.
  • 저음부 : 1 低音部 낮은음에 속하는 성부(聲部)나 음부(音部). 피아노에서는 왼손으로 연주하는 부분인 반주부를 이른다. 2 低音符 오선보에서, 오선(五線)의 제4선이 ‘바’ 음의 자리임을 나타내는 기호. 낮은 성부(聲部)를 나타내는 데 쓰며 ‘𝄢’로 표시한다.
  • 저인밥 : ‘저녁밥’의 방언
  • 적아배 : ‘아이아버지’의 방언
  • 적아백 : 赤芽栢 대극과에 속한 예덕나무의 생약명. 수피를 약용하며 위궤양, 담석증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사용한다.
  • 적용법 : 適用法 개별적인 사회 현상에 맞추어 법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법.
  • 적응병 : 適應病 생체에 스트레스가 가하여져서 생기는 여러 가지 병.
  • 전안방 : 前眼房 눈알 안의 홍채와 각막 사이의 빈 곳.
  • 전안부 : 前眼部 안구의 앞쪽 부분. 각막, 결막, 수정체, 홍채 따위가 있다.
  • 전압비 : 電壓比 1차 전압 실횻값과 2차 전압 실횻값의 비. 회로망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압기의 권수비와는 다르다.
  • 전역병 : 轉役兵 군(軍)에서, 현재까지 복무하던 역종(役種)에서 예비역 같은 다른 종으로 바뀐 병사.
  • 전염병 : 傳染病 전염성을 가진 병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스피로헤타, 진균, 원충 따위의 병원체가 다른 생물체에 옮아 집단적으로 유행하는 병들을 이른다. 공중위생의 측면에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 전영보 : 全英甫 고려 말기의 공신(功臣)(?~1348). 충숙왕 13년(1326) 원나라가 고려를 통합하려고 하자, 김이(金怡)ㆍ전언(全彦) 등과 함께 극력으로 반대하여 물리쳤으며, 벼슬은 삼사사(三司使), 순군만호(巡軍萬戶)를 지냈다.
  • 전완부 : 前腕部 팔에서 팔꿈치와 손목 사이의 부분. 아래팔 앞 부위와 아래팔 뒤 부위로 구분된다.
  • 전유방 : 前乳房 착유우(搾乳牛)의 앞다리 쪽에 위치한 유방.
  • 전유부 : 專有部 건축물대장에서 전유 부분의 면적, 건축물의 용도, 소유자의 변동 내역 따위를 표시한 부분.
  • 전음부 : 全音符 음길이가 가장 긴 음표. 이분음표의 두 배의 길이이며, 4박자이다. 기호는 ‘𝅝’.
  • 전의발 : 傳衣鉢 제자에게 교법(敎法)을 전하여 줌을 이르는 말. 당나라 선종의 시조 달마로부터 제6조 혜능(慧能)까지 가사와 바리때를 전하여 준 데서 유래한 말이다.
  • 전의법 : 1 轉義法 본래의 뜻과 다르게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법. 2 轉義法 뜻을 다른 뜻으로 넘겨 쓰게 하는 수법.
  • 전의보 : 典醫補 조선 후기에, 태의원에 속한 의관(醫官). 고종 32년(1895)에 겸전의를 고친 것으로, 이듬해 없앴다.
  • 전임반 : 專任班 고등 교육 기관이나 양성 기관, 연구원이나 대학원 따위에서 학습과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반.
  • 절약법 : 節約法 기억 실험에서, 재학습에 소요된 시간이나 횟수를 이전의 학습과 대비하여 기억에 관한 여러 현상을 연구하는 방법.
  • 절약분 : 節約分 함부로 쓰지 아니하고 필요한 데에만 써서 아낀 부분.
  • 절연복 : 絕緣服 저전압에 의한 감전을 막기 위해서 사용하는, 절연재로 만들어진 옷.
  • 절연봉 : 絕緣棒 일반적으로 합성 절연재와 고형재로 만들어져 강도가 보강된, 둥글고 긴 막대기. 보통은 단면이 원형이다.
  • 절이법 : 絕耳法 가축들의 귀에 번호를 매겨서 자르는 방법. ‘귀자르는법’으로 다듬음.
  • 점악보 : 點樂譜 맹인을 위하여 점자로 만든 악보.
  • 점안병 : 點眼甁 안약을 담아 눈에 떨어뜨려 넣는 데 쓰는 병.
  • 점액변 : 粘液便 소장염이나 점액성 결장염에서 나타나는, 많은 양의 점액을 포함한 분변.
  • 점액병 : 粘液病 식물 조직이 점액처럼 되어 부패하는 병.
  • 점엽법 : 點葉法 동양화에서, 나뭇잎을 그릴 때 붓끝을 눌러 점을 찍듯이 그리는 방법.
  • 접안부 : 接眼部 카메라의 파인더나 거리계 따위에 사람의 눈이 닿는 부분.
  • 접이불 : ‘겹이불’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이불’로도 적는다.
  • 정아비 : 곡식을 해치는 새, 짐승 따위를 막기 위하여 막대기와 짚 따위로 만들어 논밭에 세우는 사람 모양의 물건. ⇒규범 표기는 ‘허수아비’이다.
  • 정애비 : ‘허수아비’의 방언
  • 정액법 : 定額法 매기(每期)마다 똑같은 금액을 감가상각비로 계산하는 방법.
  • 정예병 : 精銳兵 썩 날래고 용맹스러운 병사.
  • 정용법 : 整容法 체조에서,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팔다리, 허리, 목 따위를 율동적으로 움직여 자세를 바로잡는 방법.
  • 정운복 : 鄭雲復 언론인ㆍ민족 운동가(?~?). 서우 학회를 조직하고, 한북 학회(漢北學會)와 함께 서북 학회를 결성하여 민족 계몽과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제국신문≫의 주필과 사장을 지냈으며 평생 항일 운동에 헌신하였다.
  • 정위법 : 定位法 뇌를 연구하거나 수술을 할 때 바늘이나 가는 전극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정하는 방법.
  • 정율법 : 定率法 고정 자산의 기초 장부 가액에 일정한 감가상각률을 곱한 금액을 매해의 감가상각비로 계산하는 방법.
  • 정의배 : 丁義培 조선 시대의 가톨릭교 순교자(1794~1866). 세례명은 마르코. 기해박해 때에 순교자들의 태도에 감동하여 46세로 입교한 후에 가톨릭교 전교(傳敎)에 힘쓰다가 병인박해 때에 순교하였다.
  • 정의부 : 正義府 1924년 11월 만주에서 조직한 대표적인 항일 독립운동 단체. 통의부(統義府), 지린(吉林) 주민회, 의성단(義成團), 광정단(匡正團), 노동 친목회, 변론 자치회, 고본계(固本契) 따위를 통합한 것으로, 대일(對日) 군사 행동을 주로 하고 교육 문화 사업과 경제 자활 사업도 벌였다. 1929년에 신민부의 민정파와 참의부의 일부를 합쳐 국민부(國民府)를 조직한 후에 해체하였다.
  • 정인보 : 鄭寅普 학자(1893~1950). 아명은 경업(經業). 자는 경시(經施). 호는 위당(爲堂)ㆍ담원(薝園)ㆍ수파(守坡)ㆍ미소산인(薇蘇山人). 상하이(上海)에서 박은식, 신채호와 함께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여 동포 계몽에 힘썼으며,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일본 총독부의 정책을 비판하였다. 저서에 ≪조선사 연구≫, ≪담원 시조≫, ≪담원 문록≫ 따위가 있다.
  • 정인복 : 鄭仁福 독립운동가(?~1922). 1920년에 광복단 군영(軍營)의 특파 결사대원으로 미국 의원단의 내한(來韓)을 계기로 일본 기관을 파괴하려다 실패하였다. 밀정 김윤옥(金允玉)의 밀고로 일본 경찰의 습격을 받아 전사하였다.
  • 정일불 : 定日拂 확정된 날짜에 돈을 지급하는 일.
  • 제어반 : 制御盤 기계나 장치의 원격 조작에서, 제어용의 계기류나 스위치 따위를 일정한 곳에 집중적으로 설비한 판.
  • 제어법 : 1 制御法 상대편을 억눌러서 제 마음대로 다루는 방법. 2 制御法 감정, 충동, 생각 따위를 막거나 누르는 방법. 3 制御法 기계나 설비 또는 화학 반응 따위가 목적에 알맞은 작용을 하도록 조절하는 방법.
2 3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084 개의 단어) 🥦
  • 자아 自我 :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정신 분석학에서는 이드(id),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현실 원리에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한다.
  • 자안 字眼 : 한문으로 된 글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목의 글자.
  • 자애 : ‘자새’의 방언
  • 자액 自縊 : 스스로 목을 매어 죽음.
  • 자야 子夜 :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 자약 自若 : ‘자약하다’의 어근.
  • 자양 字樣 : 글자의 모양.
  • 자어 子魚 : 조그마한 물고기.
  • 자억 自抑 : 자기 자신을 억제함.
(총 952 개의 단어) 🌹
  • 아바 : ‘아버지’의 방언
  • 아박 牙拍 : 우리나라 타악기의 하나. 상아나 고래 뼈, 소뼈, 사슴 뼈 따위로 만든 작은 박으로 고려 시대부터 쓰였다. 아박무를 출 때에 두 손아귀에 넣고 박자를 맞추며 친다.
  • 아반 : ‘아버지’의 방언
  • 아발 aval : 보증인이 유통 증권 자체를 보증하여 채무에 대한 성실한 이행을 약속하는 취소 불능의 무조건적인 보증.
  • 아밤 : ‘아범’의 방언
  • 아방 : ‘아욱’의 방언
  • 아배 : ‘아버지’의 방언
  • 아뱀 : ‘아버지’의 방언
  • 아범 : ‘아비’를 조금 대접하여 이르는 말.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