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747개

  • 하자 : 1 何者 어떤 사람. 2 何者 어떤 것. 3 瑕疵 옥의 얼룩진 흔적이라는 뜻으로, ‘흠’을 이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하작 : 1 ‘하작거리다’의 어근. 2 쌓인 물건을 조금씩 들추어 헤집는 모양. 3 夏作 여름에 짓는 농사.
  • 하잔 : HAZAN 각 투자안의 위험 수준을 측정하고, 그것이 회사에 미칠 수 있는 효과를 검토하는 일.
  • 하잠 : 夏蠶 6월 하순이나 7월 초순에 치는 누에.
  • 하장 : 1 下章 책 따위의 내용에서, 아랫장 또는 다음 장. 2 下裝 가마, 상여 따위의 아랫부분. 3 賀狀 경사를 축하하는 편지. ... (총 5개의 의미)
  • 하재 : 1 下才 보잘것없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2 下材 질이 낮은 재료. 3 下材 활을 만드는 재료로, 무늬가 없고 질이 떨어지는 검은 물소 뼈. ... (총 5개의 의미)
  • 하저 : 1 下箸 젓가락을 댄다는 뜻으로, 음식을 먹음을 이르는 말. 2 河底 하천의 밑바닥.
  • 하적 : 瑕跡 흠이 난 자리.
  • 하전 : 1 ‘하전하다’의 어근. 2 下田 수확이 좋지 아니한 밭. 3 下典 관아에 속하여 말단 행정 실무에 종사하던 구실아치. 고려 시대에는 중앙의 각 관아에 속한 말단 행정 요원만을 가리켰으나, 조선 시대에는 경향(京鄕)의 모든 이직(吏職) 관리를 뜻하였다. ... (총 10개의 의미)
  • 하절 : 夏節 계절이 여름인 때.
  • 하접 : 夏接 여름철에 실시하는 접목. 주로 8월 상순에서 9월 상순 사이에 녹지접을 한다.
  • 하정 : 1 下丁 음력으로 그달의 하순에 드는 정일(丁日)을 이르는 말. 흔히 이날을 피하여 연제사나 담제(禫祭) 따위를 지낸다. 2 下情 어른에게 대하여, 자기 심정이나 뜻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3 下情 아랫사람들의 사정. ... (총 4개의 의미)
  • 하제 : 1 下祭 불조(佛祖)의 형상이나 큰스님의 진영(眞影) 따위를 봉안하고 공양을 베푸는 일. 2 下第 과거 시험에 응하였다가 떨어짐. 3 下劑 설사가 나게 하는 약. ... (총 5개의 의미)
  • 하조 : 1 下調 당비파의 당악 연주에 쓰던 조현법(調絃法)의 하나. 첫째 줄인 무현(武絃)은 탁남려(濁南呂), 둘째 줄인 대현(大絃)은 태주(太簇), 셋째 줄인 중현(中絃)은 탁임종(濁林鍾), 넷째 줄인 자현(子絃)은 임종(林鍾)으로 조율한다. 2 夏鳥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남쪽에서 날아와 번식하고 가을에 다시 남쪽으로 날아가는 철새. 제비, 두견, 휘파람새 따위가 있다. 3 荷造 운송할 짐을 꾸림. ... (총 4개의 의미)
  • 하졸 : 1 下卒 예전에, 군대의 가장 낮은 직위인 병졸을 이르던 말. 2 下拙 ‘하졸하다’의 어근.
  • 하종 : 1 下從 아내가 죽은 남편의 뒤를 좇아 자결함. 2 下種 씨를 뿌림. 3 下種 신분이 낮거나 행실 따위가 천한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총 6개의 의미)
  • 하좌 : 1 下座 아래쪽에 있는 자리. 2 下座 지위 따위가 낮은 자리. 3 夏坐 승려들이 음력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修道)하는 일.
  • 하죄 : 何罪 무슨 죄.
  • 하주 : 1 河舟 하천을 오고 가는 배. 2 荷主 하물의 주인. 3 瑕州 발해의 지방 행정 구역인 62주(州)의 하나. 장령부에 속하여 있었다. ... (총 6개의 의미)
  • 하중 : 1 夏中 하안거를 행하는 동안. 2 荷重 어떤 물체 따위의 무게. 3 荷重 물체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 또는 무게.
  • 하즈 : HAZ 용접할 때의 열에 영향을 받아 금속의 성질이 본래 상태와 달라진 부분.
  • 하지 : 1 ‘동가리’의 북한어. 2 ‘늪’의 방언 3 下地 천상계에 상대하여 사람이 사는 이 세상을 이르는 말. ... (총 14개의 의미)
  • 하직 : 1 下直 먼 길을 떠날 때 웃어른께 작별을 고하는 것. 2 下直 무슨 일이 마지막이거나 무슨 일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3 下直 어떤 곳에서 떠남. ... (총 6개의 의미)
  • 하진 : 河津 강이나 내, 또는 좁은 바닷목에서 배가 건너다니는 일정한 곳.
  • 하질 : 1 下秩 낮은 지위. 2 下秩 하등의 품질. 또는 그 품질의 물건. 3 下質 품질이 썩 나쁜 것.
  • 학자 : 1 學者 학문에 능통한 사람. 또는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 2 學者 경학이나 예학에 능통한 사람을 이르던 말. 3 學資 공부하며 학문을 닦는 데에 드는 비용.
  • 학장 : 1 學匠 학문에 능통한 사람. 또는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 2 學匠 제자를, 스승인 사장(師匠)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3 學匠 불도를 닦아 스승이 될 자격을 갖춘 승려. ... (총 4개의 의미)
  • 학재 : 1 學才 학문에 대한 재능. 2 ‘학생’의 방언
  • 학적 : 1 學的 학문과 관련되어 있거나 학문으로서의 방법이나 체계가 서 있는. 또는 그런 것. 2 學績 학문에서의 업적. 3 學績 ‘학업 성적’을 줄여 이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학전 : 學田 고려ㆍ조선 시대에, 교육 기관의 경비에 충당하도록 지급한 토지. 국자감ㆍ양현고ㆍ성균관ㆍ사학(四學) 따위에 지급하였으며, 후에 성균관전으로 고쳤다.
  • 학점 : 1 學點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학생의 학과 이수를 계산하는 단위. 2 學點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한 학과에 대한 성적을 표시하는 단위. 보통 A에서 F까지 있으며, D 이상을 받아야 인정을 받는다.
  • 학정 : 1 虐政 포학하고 가혹한 정치. 2 學正 고려 시대에, 국자감ㆍ성균관에 속한 정구품 벼슬. 3 學正 조선 시대에, 성균관에 속한 정팔품 벼슬. ... (총 8개의 의미)
  • 학제 : 1 學制 학교 또는 교육에 관한 제도. 2 學製 ‘사학 합제’를 줄여 이르는 말. 3 學際 두 개 이상의 전문 분야에 걸친 학문의 영역과 그 영역의 연구에 관여하는 학문 간의 협동, 협업 관계.
  • 학조 : 1 學祖 조선 전기의 승려(?~?). 호는 등곡(燈谷)ㆍ황악산인(黃岳山人). 세조 때 다른 고승들과 함께 불경을 언해하였으며, 연산군 때 신비(愼妃)의 명을 받아 팔만대장경 3부를 간행하고, ≪남명집(南明集)≫을 언해하였다. 2 ‘학교’의 방언
  • 학중 : 1 學衆 불교의 학문을 연구하는 대중. 2 學衆 불법을 수행하는 사람.
  • 학지 : 1 學地 불경의 교리를 학습하는 곳. 2 學知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르는 말.
  • 학직 : 學職 대학 또는 과학 연구 기관에서 교수 교양 사업과 과학 간부 양성 사업에 복무하는 사람들에게 그의 공로와 업적을 평가하여 주는 직위. 교수와 부교수가 있다.
  • 학질 : 瘧疾 말라리아 병원충을 가진 학질모기에게 물려서 감염되는 법정 전염병. 갑자기 고열이 나며 설사와 구토ㆍ발작을 일으키고 비장이 부으면서 빈혈 증상을 보인다.
  • 한자 : 1 漢子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2 漢字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져 오늘날에도 쓰이고 있는 표의 문자. 은허에서 출토된 기원전 15세기경의 갑골 문자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이며, 현재 알려져 있는 글자 수는 약 5만에 이르는데 실제로 쓰이는 것은 5,000자 정도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사용한다. 3 韓子 ‘한유’를 높여 이르는 말. ... (총 6개의 의미)
  • 한잔 : 한盞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차나 술 따위.
  • 한잠 : 1 잠시 자는 잠. 2 깊이 든 잠.
  • 한장 : 거룻배 따위의 배 맨 한가운데의 칸
  • 한재 : 1 旱災 가뭄으로 인하여 생기는 재앙. 2 漢才 한학(漢學)에 대한 재주. 3 韓裁 한복을 재단하고 재봉하는 일.
  • 한저 : 1 ‘어서’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저’로도 적는다. 2 ‘얼른’의 방언
  • 한적 : 1 閑寂 ‘한적하다’의 어근. 2 閑適 ‘한적하다’의 어근. 3 漢籍 한문으로 쓴 책.
  • 한전 : 1 旱田 물을 대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때에만 물을 대어서 채소나 곡류를 심어 농사를 짓는 땅. 2 限前 기한이 되기 전. 3 寒戰 오한이 심하여 몸이 떨림. 또는 그런 증상. ... (총 4개의 의미)
  • 한절 : 1 限節 한 마디 또는 한 구절씩 나누어서 한정함. 2 寒節 추운 겨울철.
  • 한점 : 1 限點 한정하는 기준점. 2 寒點 차가움을 느끼는 피부의 감각점. 몸의 부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밀도는 1㎠에 6~23개이다.
  • 한정 : 1 限定 수량이나 범위 따위를 제한하여 정함. 또는 그런 한도. 2 限定 어떤 개념이나 범위를 명확히 하거나 범위를 확실히 함. 사고의 대상이 되는 성질이나 한계를 확실히 정하여 그것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일로, 개념의 외연을 좁히고 내포를 넓히는 일을 이른다. 3 寒庭 겨울빛이 가득 차서 쓸쓸해 보이는 뜰. ... (총 9개의 의미)
  • 한젙 : ‘한옆’의 방언
  • 한제 : 1 旱祭 고려ㆍ조선 시대에, 하지(夏至)가 지나도록 비가 오지 않을 때에 비 오기를 빌던 제사. 나라에서나 각 고을 또는 각 마을에서 행하였는데, 제주(祭主)는 왕 또는 지방 관원이나 마을의 장이 맡았다. 2 限制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나 그 한도를 넘지 못하게 막음. 또는 그렇게 정한 한계. 3 寒劑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혼합한 냉각제. 얼음을 소금과 혼합하면 영하 21℃, 에탄올과 드라이아이스를 혼합하면 영하 72℃까지 냉각할 수 있다. ... (총 4개의 의미)
  • 한조 : 1 旱兆 가뭄의 징조. 2 寒鳥 겨울철의 새. 3 寒鳥 까마귓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대개 검은색이며, 번식기는 3~5월이다. 어미 새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하여 ‘반포조’ 또는 ‘효조’라고도 한다. 잡식성으로 갈까마귀, 떼까마귀, 잣까마귀 따위가 있다. ... (총 7개의 의미)
  • 한족 : 1 寒族 가난하고 문벌이 없는 집안. 2 漢族 중국 본토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중국의 중심이 되는 종족. 인종적으로 황인종에 속하고, 한어(漢語)를 쓰며, 중국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3 韓族 한반도와 그에 딸린 섬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우리나라의 중심이 되는 민족. 한국어를 쓰며 한반도와 남만주에 모여 살고 있다.
  • 한주 : 1 한酒 ‘소주’를 달리 이르는 말. 2 漢州 신라 때에, 구주(九州) 가운데 지금의 경기도 광주에 해당하는 주. 경덕왕 16년(757)에 한산주를 고친 것으로 신라, 고구려, 백제가 서로 쟁탈하던 곳이다. 3 翰注 조선 시대에, 한림(翰林)과 주서(注書)를 아울러 이르던 말.
  • 한죽 : 寒竹 볏과 대의 하나. 높이는 1~3미터이며, 겉껍질은 갈색 바탕에 자줏빛 무늬가 있고 작은 가지에 얇은 잎이 3~4개 달린다. 죽순은 식용하고 관상용 또는 산울타리용으로 재배한다. 한국의 제주도와 일본에 분포한다.
  • 한준 : 1 寒俊/寒畯 가난하나 재주와 지혜가 뛰어난 사람. 2 韓準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42~1601). 자는 공칙(公則). 호는 남강(南岡).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고발하여 공신이 되고, 임진왜란 때는 이조 판서로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였다.
  • 한줌 : 1 예전에, 소 장수들이 십 원이나 백 원을 이르던 말. 2 ‘외동’의 방언
  • 한중 : 1 寒中 소한(小寒)부터 대한(大寒)까지의 사이. 2 寒中 가장 추운 계절. 3 寒中 몸 안에 찬 기운이 들어가서 생기는 병. 중풍과 유사하다. ... (총 10개의 의미)
  • 한즉 : 그렇게 하니까.
  • 한증 : 1 汗蒸/汗烝 물리 요법의 하나로, 높은 온도로 몸을 덥게 하여 땀을 내어서 병을 다스리는 일. 2 寒症 병적으로 느끼는 추운 기운. 3 寒症 한사(寒邪)로 인하여 야기되거나 양기의 쇠약 또는 음기의 항진으로 인하여 신체의 기능과 대사 활동이 쇠퇴하고, 저항력이 감퇴됨으로써 나타나는 일련의 증세.
  • 한지 : 1 한地 ‘한데’의 방언 2 한地 ‘한데’의 북한어. 3 干支 신라ㆍ가야에서, 귀족 벼슬아치들을 높여서 부르던 말. 벼슬 이름 뒤에도 이 말을 덧붙였다. ... (총 12개의 의미)
  • 한직 : 1 限職 고려ㆍ조선 시대에,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벼슬아치를 서용(敍用)함. 또는 그런 제도. 양반은 정일품, 기술관과 양반 서얼은 정삼품 당하관, 토관ㆍ향리는 정오품, 서리는 정칠품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2 閑職 한가한 직위나 직무. 3 閑職 조직 안에서 중요하지 아니한 직위나 직무.
  • 한진 : 汗疹 ‘땀띠’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 한질 : 1 寒疾 주로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걸리는 호흡 계통의 병. 보통 코가 막히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다. 2 환으로 나무 따위를 다듬는 일. 3 ‘한길’의 방언
  • 한집 : 1 같은 집. 2 한집에서 사는 가족. 3 혈연관계가 있는 같은 집안. ... (총 6개의 의미)
  • 한징 : 1 旱徵 가뭄의 징조. 2 韓澄 국어학자(1887~1944). 호는 효창(曉蒼). 이윤재 등과 조선어 학회의 편찬 위원, 표준말 사정 위원으로 일하다가 1942년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검거되어 복역 중 옥사하였다.
  • 할재 : 割材 통나무를 세로로 쪼갠 목재.
  • 할접 : 割椄 대목(臺木)의 껍질 부분과 재질 사이를 세로로 가르고 여기에 접가지의 밑을 붙이는 접목 방법.
  • 할족 : 割足 발목을 부러뜨림.
  • 할주 : 割註 본문 사이에 두 줄로 잘게 단 주(註).
  • 할준 : halzoun 레바논에서 발생하는 볼 인두의 감염 질환. 감염된 양고기를 날로 먹었을 때 설충의 유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 할증 : 割增 일정한 값에 얼마를 더함.
  • 할질 : ‘배낚시’의 방언
  • 함자 : 1 ‘혼자’의 방언 2 銜字 남의 이름자를 높여 이르는 말.
  • 함장 : 1 函丈 ‘스승’을 달리 이르는 말. 스승과의 관계에서 존경을 표하거나 가까이 모신다는 뜻으로 한 장(丈)의 여지를 둔 데서 유래한다. 2 艦長 군함의 우두머리. 3 艦檣/艦艢 군함의 돛대.
  • 함재 : 艦載 군함에 실음.
  • 함적 : 艦籍 소속 군함들의 이름, 특징 따위를 적어서 모아 둔 문서.
  • 함점 : 含점 싫어하거나 미워하는 마음을 가짐. 또는 그 마음. ⇒규범 표기는 ‘함혐’이다.
  • 함정 : 1 陷穽/檻穽 짐승 따위를 잡기 위하여 땅바닥에 구덩이를 파고 그 위에 약한 너스레를 쳐서 위장한 구덩이. 2 陷穽/檻穽 빠져나올 수 없는 상황이나 남을 해치기 위한 계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艦艇 크거나 작은 군사용 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군함, 구축함, 어뢰정, 소해정 따위를 이른다.
  • 함족 : Ham族 노아의 아들인 함의 자손이라고 전하는 민족. 셈ㆍ아리안족과 더불어 유럽 3대 인종의 하나로 아프리카 동부와 북부에 사는 이집트인, 소말리아인, 에티오피아인 따위가 있다.
  • 함종 : 函鍾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여덟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미(未), 절후는 음력 6월에 해당한다.
  • 함주 : 복대기나 감흙을 일어 금을 잡는 데에 쓰는, 함지박 비슷한 그릇. ⇒규범 표기는 ‘함지’이다.
  • 함중 : 陷中 신주나 위패 속에 네모지게 파낸 홈. 여기에 죽은 사람의 이름, 별호, 관직 따위를 적는다.
  • 함증 : ‘함정’의 방언
  • 함지 : 1 나무로 네모지게 짜서 만든 그릇. 둘레의 높이가 조금 높으며 밑은 좁고 위는 넓다. 2 통나무의 속을 파서 큰 바가지같이 만든 그릇. 전이 없다. 3 복대기나 감흙을 일어 금을 잡는 데에 쓰는, 함지박 비슷한 그릇. ... (총 9개의 의미)
  • 함질 : ‘하품’의 방언
  • 합자 : 1 合字 둘 이상의 글자를 합하여 한 글자를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글자. 2 合資 기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두 사람 이상이 자본을 한데 모음. 또는 그런 기업 형태. 3 盒子 음식을 담는 놋그릇의 하나. 그리 높지 않고 둥글넓적하며 뚜껑이 있다. 큰 합, 작은 합, 중합, 알합 따위가 있다. ... (총 5개의 의미)
  • 합작 : 1 合作 어떠한 것을 만들기 위하여 힘을 합함. 2 合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함께 협력함. 3 合作 둘 이상의 기업이 함께 자금을 내어 기업을 경영함. 또는 그런 기업 형태.
  • 합장 : 1 合杖 장구의 북편과 채편을 한꺼번에 치는 장단. 2 合掌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냄. 또는 그런 예법. 본디 인도의 예법으로, 보통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한다. 밀교에서는 정혜 상응(定慧相應), 이지 불이(理智不二)를 나타낸다고 한다. 3 合葬 여러 사람의 시체를 한 무덤에 묻음. 또는 그런 장사. 흔히 남편과 아내를 한 무덤에 묻는 경우를 이른다. ... (총 4개의 의미)
  • 합저 : 合著 두 사람 이상이 힘을 합하여 저술함. 또는 그런 저술.
  • 합전 : 合戰 경기나 전투에서 서로 맞붙어 싸움. 또는 그런 경기나 전투.
  • 합절 : 閤節 주로 편지글에서, 남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 합점 : 1 合點 점수를 합함. 또는 합한 점수. 2 合點 밑씨와 배병(胚柄)의 부착점. 밑씨에서 주공의 반대쪽이며 주피(珠皮)와 주심(珠心)이 주병(珠柄)에서 합치는 부분이다.
  • 합접 : 1 合接 여러 개의 명제를 접속사 ‘그리고’나 그 동의어로 연결한 합성 명제. 2 合接 두 명제를 ‘그리고’나 ‘및’으로 연결한 합성 명제. 기호는 ‘∧’을 사용하며, p∧q가 참이 되는 것은 p와 q가 모두 참일 때뿐이다. 3 合椄 접붙이할 나무와 접가지가 비슷한 크기일 때 서로 비스듬히 깎아 맞붙이는 접목 방법.
  • 합정 : 合釘 자연치의 뿌리에 인공 치관 또는 코어를 장착하거나 치관, 인레이, 부분 의치 따위의 작업 모형에 주형을 부착하는 데 사용하는 금속제의 못 또는 바늘.
  • 합제 : 1 合祭 여러 사람의 제사를 함께 지냄. 또는 그 제사. 2 合祭 한데 모아 놓고 일정한 날에 두루 어울려 제사를 지냄. 3 合製 사학 고강과 사학 시제를 통틀어 이르던 말. ... (총 4개의 의미)
  • 합조 : 1 合條 물레를 돌려 실을 뽑으려고 만들어 놓은 솜방망이를 모음. 2 合調 라디오 수신기를 조정하여 방송국의 파장과 맞춤. 3 合操 각 영문(營門)의 군사를 한데 모아 조련하던 일.
  • 합졸 : 合卒 장기에서, 졸을 가로 쓸어 옆으로 나란히 한데 모음.
  • 합종 : 1 合從/合縱 굳게 맹세하여 서로 응함. 2 合從/合縱 중국 전국 시대에, 소진이 주장한 외교 정책. 서쪽의 강국 진(秦)나라에 대항하기 위하여 남북으로 위치한 한ㆍ위ㆍ조ㆍ연ㆍ제ㆍ초의 여섯 나라가 동맹할 것을 주장하였다. 3 合從/合縱 합종설에 따른 정책.
  • 합좌 : 合坐 조선 시대에, 당상관이 모여 중대한 일을 의논하던 일.
2 3 4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