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48개

  • 하퇴골 : 下腿骨 정강이뼈와 종아리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하퇴근 : 下腿筋 종아리에 있는 근육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한탄강 : 漢灘江 강원도 평강군에서 시작하여 철원군을 지나 임진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141km.
  • 한테기 : ‘하나’의 방언
  • 항타기 : 杭打機 무거운 쇠달구를 말뚝 머리에 떨어뜨려 그 힘으로 말뚝을 땅에 박는 토목 기계.
  • 해태관 : 獬豸▽冠 법관이 쓰던, 해태의 뿔 모양을 만들어 붙인 관. 해태가 시비ㆍ선악을 판단하여 알고 선하지 못한 사람을 뿔로 받는다는 전설에서 유래하였다.
  • 허탈감 : 虛脫感 몸에 기운이 빠지고 정신이 멍하여 몽롱한 느낌.
  • 허텅간 : 1 허텅間 ‘광’의 방언 2 허텅間 ‘헛간’의 방언
  • 허튼굿 : 농악 십이채 판굿의 하나. 치배들이 사방으로 흩어지며 풍물놀이를 한다.
  • 헐티개 : ‘채칼’의 방언
  • 혀튀김 : ‘텅잉’의 북한어.
  • 혈통견 : 血統犬 다른 품종이 섞이지 않고 순수하게 같은 품종의 핏줄만을 이어받은 개.
  • 혈투극 : 1 血鬪劇 치열하게 벌어지는 싸움을 연극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 血鬪劇 치열하게 싸움이 벌어지는 장면이 있는 영화나 드라마.
  • 형타각 : 型打刻 금속의 겉면을 형타로 눌러 오목, 볼록한 모양을 만드는 일. 또는 그런 조작. 화폐, 훈장, 메달, 시계 부품, 예술 장식품 따위를 만들 때에 쓴다.
  • 형타공 : 型打工 형타 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직공.
  • 호탈굿 : 虎탈굿 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호텔값 : hotel값 호텔에서 묵는 데 드는 비용.
  • 호텔급 : hotel級 시설이나 서비스 따위가 호텔에 가까운 등급.
  • 혼타기 : 混打機 ‘혼타면기’의 북한어.
  • 혼탁계 : 混濁計 비탁분석법에 쓰는 측정 장치.
  • 홀태기 : ‘벼훑이’의 방언
  • 홀통개 : ‘올가미’의 방언
  • 홈타기 : 옴폭하게 팬 자리나 갈라진 곳.
  • 홈태기 : 옴폭하게 팬 자리나 갈라진 곳. ⇒규범 표기는 ‘홈타기’이다.
  • 홍태기 : 팔을 옆으로 폈을 때 아래로 축 처지게 지은 넓은 소매. ⇒규범 표기는 ‘큰소매’이다.
  • 화통간 : 火筒間 ‘기관차’를 속되게 이르는 말.
  • 화통군 : 1 火筒군 기관차나 기선 따위에서 불을 때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남한 규범 표기는 ‘화통꾼’이다. 2 火㷁軍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화통으로 무장한 기술 병종(兵種).
  • 화투군 : 花鬪군 ‘화투꾼’의 북한어.
  • 환탕곡 : 還蕩穀 깎아 줄여 주던 환곡.
  • 환태가 : 換駄價 예전에, 환전(換錢)을 부치는 데에 들던 비용. 환표(換票)를 해 주는 사람에게 요금을 내었다.
  • 황태국 : 黃太국 황태를 잘게 뜯어 파를 넣고 달걀을 풀어 끓인 장국. ⇒규범 표기는 ‘황탯국’이다.
  • 황태극 : 皇太極 ‘홍타이지’의 음역어.
  • 황탯국 : 黃太ㅅ국 황태를 잘게 뜯어 파를 넣고 달걀을 풀어 끓인 장국.
  • 황토기 : 黃土記 김동리가 지은 단편 소설. 작가의 초기 문학관을 보여 주는 소설로, 한 여인을 사랑하는 두 장사가 끝없이 다투는 줄거리를 통하여 인생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허무적인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다.
  • 황톳길 : 黃土길 누르고 거무스름한 흙으로 이루어진 길.
  • 횡탄고 : 橫炭庫 보일러실의 앞뒤로 있어, 한쪽 선측에서부터 반대쪽 선측까지 이르는 석탄고.
  • 후퇴각 : 後退角 항공기에서, 동체(胴體)의 기준선에 대하여 날개의 기준선이 직각보다 뒤쪽으로 기울어진 각도.
  • 후퇴기 : 後退期 뒤로 물러나는 시기. 또는 물러나 있는 기간.
  • 훈탄경 : 薰炭耕 왕겨를 태워 만든 훈탄 배지로 양액을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 훈탄은 300℃ 정도로 가열하여 만들기 때문에 병충해가 없고, 공극률이 커서 통기성과 보수성이 뛰어나며, 잔근 처리도 쉬워서 간단한 햇볕 소독만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훈탄을 처음 사용할 때에는 알칼리성이므로 물로 충분히 씻어 주어야 한다.
  • 휘틀감 : 거푸집을 만들 재료. 종류와 크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나무, 철, 경금속, 합판, 합성수지 따위의 재료를 골라 쓴다.
  • 휘틀공 : 휘틀工 거푸집 만드는 일을 하는 노동자.
  • 흘태기 : ‘벼훑이’의 방언
  • 흘테기 : ‘훑이’의 방언
  • 흘트개 : ‘채칼’의 방언
  • 흙탕길 : 흙湯길 흙탕물이 질펀하게 깔린 길.
  • 히트곡 : hit曲 가수가 발표한 음반의 곡들 가운데 큰 인기를 얻은 곡.
  • 환 투기 : 換投機 시세의 변동에 따른 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환을 매매하는 일.
  • 후퇴 길 : 後退길 뒤로 물러날 길.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257 개의 단어) 🍀
  • 하탁 下託 : 주로 편지글에서,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하는 부탁을 아랫사람이 높여 이르는 말.
  • 하탑 下榻 : 걸상을 내린다는 뜻으로, 손님을 맞아 극진히 대접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의 진번(陳蕃)이 높은 선비였던 주구(周璆)를 위하여 특별히 벽에 세워 놓고 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을 마련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하탕 下湯 : 온천에서 물의 온도가 가장 낮은 곳.
  • 하태 下台 : 큰곰자리에 있는 삼태성(三台星) 가운데 중태성 아래에 있는 두 별.
  • 하택 荷澤 : 중국 산둥성(山東省) 서부에 있는 도시. 상업 중심지로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허쩌’이다.
  • 하톄 : ‘하체’의 옛말.
  • 하토 下土 : 농사짓기에 아주 나쁜 땅.
  • 하퇴 下腿 :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 부분.
  • 하투 下投 : 차를 우려낼 때, 먼저 더운물을 다기에 붓고 나중에 차를 넣는 방법.
(총 317 개의 단어) 🌶
  • 타가 他家 : 다른 집. 또는 남의 집.
  • 타각 他覺 : 다른 사람이 알아봄.
  • 타갑 鼉甲 : ‘천산갑’의 껍질을 말린 것. 경폐나 어혈로 인한 징가, 나력과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 타개 打開 : 매우 어렵거나 막힌 일을 잘 처리하여 해결의 길을 엶.
  • 타거 拖去 : 이 핑계 저 핑계로 기한을 끌어 나감.
  • 타검 打檢 : 망치 따위로 두드려서 하는 검사.
  • 타겟 target : 궁술이나 사격에 쓰는 과녁이나 표적. ⇒규범 표기는 ‘타깃’이다.
  • 타격 打擊 : 때려 침.
  • 타견 他見 : 다른 사람이 보는 바.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61 개의 단어) 🌾
  • : 다른 사람.
  • : 갑자기 세게 치거나 부딪거나 차거나 넘어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탄하다’의 어근.
  • : 얼굴을 감추거나 달리 꾸미기 위하여 나무, 종이, 흙 따위로 만들어 얼굴에 쓰는 물건.
  • : ‘틈’의 방언
  • : ‘따비’의 방언
  • :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까닭이나 원인.
  • : 무엇을 실어 나르거나 일정한 곳까지 다녀오는 횟수를 세는 단위.
  • : 질그릇이나 놋그릇의 깨진 금.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