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2개

  • 하하년 : 下下年 조선 세종 26년(1444)에 실시한 연분구등법의 아홉 번째 등급. 토지 1결당 네 말의 세액을 부과하였다.
  • 한학년 : 한學年 같은 학년.
  • 행혀나 : 幸혀나 ‘행여’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행여나’이다.
  • 호흡낭 : 呼吸囊 전신 마취 혹은 인공호흡 시에 기체를 흡입하거나 배출시키는, 탄력성이 있는 주머니.
  • 호흡능 : 呼吸能 생물체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 능력.
  • 혼합눈 : 混合눈 꽃이 될 눈과 잎이 될 눈이 함께 있는 눈.
  • 화학농 : 化學農 화학의 힘을 빌려 짓는 농사 방법. 비료, 제초제, 살충제 따위로 농작물을 가꾼다.
  • 화훼농 : 花卉農 화초를 길러 경제적 활동을 하는 농업. 또는 그런 농가.
  • 후후년 : 後後年 후년의 바로 다음 해.
  • 휭하니 : 중도에서 지체하지 아니하고 곧장 빠르게 가는 모양.
  • 화학 뇌 : 化學腦 항암제를 사용하는 과정이나 항암제 사용 종료 후에 나타날 수 있는 뇌 기능 장애. 주된 증상은 기억 상실, 집중력 저하, 작업 능률 저하 따위이다.
  • 황화 납 : 黃化납 납과 황을 직접 반응하여 얻는 납의 황화물. 천연으로는 방연석으로 산출되며, 광전지ㆍ적외선 검출기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화학식은 PbS.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516 개의 단어) 🦢
  • 하하 : 입을 벌리고 거리낌 없이 크게 웃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하학 下學 : 학교에서 그날의 수업을 마침.
  • 하한 下限 : 위아래로 일정한 범위를 이루고 있을 때, 아래쪽의 한계.
  • 하합 下合 : 수성과 금성 따위의 내행성(內行星)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들어와서 세 천체가 일직선 위에 놓이는 현상.
  • 하항 河港 : 하천에 있는 항구.
  • 하해 河海 : 큰 강과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 하행 下行 : 아래쪽으로 내려감.
  • 하향 下向 : 아래로 향함. 또는 그 쪽.
  • 하허 下虛 : 몸 아랫도리 또는 하초(下焦)의 원기가 허약하여진 증세.
(총 211 개의 단어) 🍍
  • 하나 : 수효를 세는 맨 처음 수.
  • 하낙 : ‘하나’의 방언
  • 하날 : ‘하늘’의 방언
  • 하남 河南 : 경기도 중앙에 있는 시. 1989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광주군의 동부읍과 서부면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93.07㎢.
  • 하납 下納 : 세곡 따위를 중앙에 바치지 아니하고 지방 관아에 바치던 일.
  • 하낭 : ‘함께’의 방언
  • 하내 河內 : ‘하노이’의 음역어.
  • 하냠 : ‘할머니’의 방언
  • 하냥 : ‘늘’의 방언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118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7음 체계에서, 일곱 번째 음이름. 계이름 ‘시’와 같다.
  • : ‘낙하다’의 어근.
  • : 물방아 따위의 사용료로 떠 내던 곡식.
  • :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 : 곡식의 알.
  • :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자정에서 다음 자정까지의 동안으로 24시간이다.
  • : ‘나루’의 방언
  • :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 : 푸르스름한 잿빛의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가장 무겁고 연하며, 전성(展性)은 크나 연성(延性)은 작다.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튼튼한 산화 피막을 만들어 안정하며, 불에 잘 녹는다. 연판, 연관, 활자 합금 따위로 쓴다. 원자 기호는 Pb, 원자 번호는 82, 원자량은 207.19.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