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56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10개 세 글자:589개 네 글자:699개 다섯 글자:417개 여섯 글자 이상:549개 🍷모든 글자: 2,565개

  • 살상 반 : (1)총이나 포탄 따위를 쏘았을 때 생물을 죽이거나 상하게 할 수 있는 넓이의 반경.
  • 개결 이 : (1)개경(開經)과 결경(結經)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다육 : (1)물기가 많아서 살이 두툼하게 된 줄기. 선인장의 줄기 따위가 있다.
  • 결석 : (1)방광 내의 결석을 검사하는 기구.
  • 삼릉 : (1)광선을 굴절ㆍ분산시킬 때 쓰는, 유리나 수정 따위로 된 다면체의 광학 부품. 용도에 따라 분산 프리즘, 편각 프리즘, 편광 프리즘 따위가 있다.
  • 사십이장 : (1)중국에 전래된 최초의 경전. 출가 후의 학문의 도리와 일상생활에 관한 교훈을 적은 책이다. 1권.
  • 삼복지 : (1)삼복 기간 동안.
  • 박종 : (1)조선 순조 때의 권신(1765~1817). 자는 여회(汝會). 호는 돈암(敦巖). 순조 1년(1801)에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 승지를 거쳐 병조ㆍ이조 판서를 지냈으며, 순조와 그 왕후의 총애를 받아 정사(政事)를 장악하여 권세를 부렸다.
  • 대성 : (1)발해의 사신(?~?). 왕족으로 보이며, 733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 누적 효과형 변 : (1)변경된 감가상각 방법을 취득 연도로 소급해 적용하여 얻은 감가상각 누계액과 현재의 감가상각 누계액의 차이를 구하여, 이 차이를 당기 손익 계산서에 회계 방법의 변경으로 인한 누적 효과로 보고하는 방식의 회계 변경.
  • 사영 엑스선 현미 : (1)고도의 해상도를 얻기 위하여 연한 엑스선을 이용하는 현미경. 영상은 사진으로 촬영하거나 형광 물질이 있는 스크린을 통해 직접 관찰한다.
  • : (1)‘풍경’의 방언 (2)‘풍뎅이’의 방언
  • 해부 현미 : (1)생물체를 해부할 때 쓰는, 비교적 낮은 배율의 현미경.
  • : (1)‘노경’의 북한어. (2)‘돋보기’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노경’이다.
  • 오대진언수구 : (1)조선 시대에, 브라흐미 문자에 한글과 한자를 병기하여 펴낸 진언집. 선조 37년(1604)에 간행되었다. 1권 1책.
  • 스캐닝 전자 현미 : (1)표면 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전자 현미경의 한 종류.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선이 시료의 표면에 부딪쳐 반사되어 나오는 전자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고배율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혀밑 신 : (1)열두째 머릿골 신경으로, 혀의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 숨뇌에서 여러 개의 잔뿌리로 일어나 혀밑 신경관을 지나 머리뼈를 빠져나가며 목에서 혀로 들어가 혀의 모든 근육에 분포한다.
  • 기아지 : (1)굶주리는 지경.
  • 다발 과다 월 : (1)월경의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잦고 출혈량도 많은 상태.
  • 원구 직 : (1)벌채목에서 나무 줄기의 가장 아랫부분, 곧 뿌리와 가장 가까운 줄기 부위의 직경.
  • : (1)경치의 주된 풍경이나 대상. 원림 풍경의 경우에는 폭포, 못, 꽃밭 따위로 이루어진다. (2)주의 경계. (3)‘안견’의 호. (4)월경을 일 년에 한 번 함. (5)그림이나 글씨 따위에서 붓의 힘이 굳셈. (6)지방 공무원이나 외국인 등이 공무를 띠고 서울에 와 머물러 있음. (7)식물체가 발아하여 자라서 중심이 되는 줄기.
  • 표준 배 : (1)표준 크기의 고정된 정지 배경.
  • : (1)돌로 만든 경쇠. 아악기의 하나이다.
  • 투사 전자 현미 : (1)고전압의 전자 빔을 쏘아 얇게 자른 생물의 조직을 투과하게 함으로써 수십만 배 이상으로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
  • 효과 배 : (1)만화에서, 사건의 시공간적 배경을 통해 인물의 감정이나 상황 따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일.
  • : (1)머리와 목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내행 화문 : (1)안쪽의 화문대(花文帶)가 주된 문양을 이루는 구리거울. 중국 후한 때 사용하던 것으로, 도상문(圖像文)을 넣지 않은 기하학적 구도가 특징이다.
  • 일벽만 : (1)호수나 바다의 푸른 물이 한없이 넓게 펼쳐져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천체 망원 : (1)천체를 관측할 때 쓰는 망원경. 렌즈를 쓰는 굴절 망원경, 거울을 쓰는 반사 망원경, 전파를 포착하는 전파 망원경 따위가 있다.
  • 활차하 신 : (1)위눈꺼풀의 안쪽 부분, 결막, 콧부리에 분포하는 감각 신경. 이것은 삼차 신경의 눈신경의 가지이며 눈구멍 속에서 도르래 아래쪽을 지나 위눈꺼풀을 뚫고 나온다.
  • 빙하 환 : (1)빙하에 의하여 퇴적 작용이 발생하는 환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적외선 현미 : (1)적외선으로 이루어진 상을 가시광선의 상으로 바꾸어 관찰하는 현미경.
  • 아미타 : (1)정토 삼부경의 하나. 중국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아미타의 공덕과 극락의 일을 적은 경문을 한역한 경전이다.
  • 국역 장 : (1)한글로 번역한 불경. 조선 세조 때 설치한 간경도감에서 원각경, 법화경, 능엄경 따위를 번역하였다.
  • 밀랍 : (1)꿀벌의 배 부분의 살갗. 털이 없고 얇으며 아주 좁은 구멍을 통하여 밀을 내보낸다.
  • : (1)그 자리에서 보는 광경이나 눈앞의 경치.
  • 상당 직 : (1)관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경우, 이와 동일한 유체 역학적인 특성을 갖는 원형 관의 지름.
  • 외과 : (1)위팔뼈에서 큰 결절과 작은 결절 바로 아래에서 가늘어지기 시작하는 부분. 이곳은 충격을 받을 때 잘 부러지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 군사적 배 : (1)군대나 국방, 전쟁 따위에 관계되는 어떠한 사물이나 사건, 생각의 배후에 숨겨진 사정.
  • 광대 신 : (1)위턱 신경의 가지로 아래 눈구멍 틈새를 지나 눈구멍으로 들어가는 신경. 얼굴에 분포하는 감각 신경인 광대 얼굴 신경과 광대 관자 신경을 분지하고 눈물샘 신경과의 교통 가지로 계속된다.
  • 광학 망원 : (1)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별을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
  • 가쪽 팽대 신 : (1)가쪽 반고리관의 팽대 능선에 분포하는 타원 팽대 신경의 가지.
  • 등쪽 손가락 신 : (1)손가락의 첫 마디와 중간 마디 등쪽 면에 분포하는 자신경과 노신경의 마지막 가지.
  • 도원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 근안 : (1)근시인 사람이 쓰는, 오목 렌즈로 만든 안경.
  • 결연 : (1)성불할 인연을 맺게 하기 위하여 경문을 베껴 쓰거나 읽게 하는 일. 또는 그 경문. 주로 법화경을 읽거나 쓴다.
  • 평균 흉고 직 : (1)사람의 가슴 높이인 1.2m에서 측정한 나무줄기 직경의 평균치. 수목류의 크기를 표시할 때 쓰인다.
  • : (1)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2)어떤 정경이나 상황. (3)자연의 경치를 그린 그림. (4)처마 끝에 다는 작은 종. 속에는 붕어 모양의 쇳조각을 달아 바람이 부는 대로 흔들리면서 소리가 난다. (5)‘풍안’의 북한어. (6)소리 내어 경문(經文)을 읽음. (7)선원에서, 부처 앞에 경을 소리 내어 읽고 외우거나 예배하는 일.
  • 이규 : (1)조선 후기의 실학자(1788~?). 자는 백규(伯揆). 호는 오주(五洲)ㆍ소운거사(嘯雲居士).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조부(祖父) 덕무(德懋)가 이룩한 실학을 계승하여 이를 집대성하였다. 저서에 ≪오주연문장전산고≫ 따위가 있다.
  • 후상완 피신 : (1)노신경에서 일어나 위팔의 뒷면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
  • 행셋 : (1)행세를 잘못하여 남에게 경을 치는 일.
  • 염불 송 : (1)마음속으로 부처를 생각하고 불경을 외는 일.
  • 프리즘 쌍안 : (1)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사이에 두 개의 직각 프리즘을 끼워 넣어 네 번 전반사하여, 배율을 크게 하고 영상을 바로 서게 한 쌍안경.
  • 판종정 : (1)조선 시대에, 종친부에 속한 정일품 벼슬. ≪국조어첩(國朝御牒)≫을 작성하고 ≪선원보략≫을 찬수하는 일에 참여하였다.
  • : (1)질그릇, 벽돌 따위에 경문(經文)을 새긴 경판(經板). 죽은 이를 위하여 또는 자신의 보리(菩提)를 성취하기 위하여 땅속에 묻는다. (2)기와로 만든 편경이나 편종.
  • 대반야바라밀다심 : (1)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결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것으로 260자로 되어 있다.
  • 외측 팽대부 신 : (1)가쪽 반고리관의 팽대 능선에 분포하는 타원 팽대 신경의 가지.
  • 신주 : (1)신의 영험을 나타내기 위하여 외는 글.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 : (1)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불경. 당나라의 반자밀제가 번역하고 송나라의 계환이 해석한 것을, 조선 태종 1년(1401)에 간행하였다. 보물 제759호. (2)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서울 역사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불경. 중국 당나라의 반자밀제가 번역하고 송나라 계환이 주해를 단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에서 10을 15세기 초 조선에서 2책으로 엮은 것이다. 판각이 정교하고 보관 상태가 좋아 연구의 가치가 높다. 보물 제1603호.
  • : (1)외따로 뚝 떨어져 있는 궁벽한 땅.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교통이 불편하고 문화의 혜택이 적은 곳을 이른다. (2)≪서경(書經)≫의 고본(古本). 진시황이 책을 모두 불사를 때 없어진 것을 한나라 때 복생(伏生)이 입으로 외어 전하였는데, 뒤에 노나라 공왕 때 공자의 옛집 벽 속에서 발견하였다. (3)납거밋과의 하나. 몸은 작으며, 가슴은 누런 갈색이고 다리는 갈색에 검은 털이 있다. 발은 비교적 굵으며 배에는 점이 있다. 집 안의 벽에 동글납작한 집을 짓는데 밤에 활동하여 벌레를 잡아먹는다. 거미집은 창독의 지혈제로 쓴다.
  • 프로그래밍 환 : (1)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작성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전체 환경.
  • 용감수 : (1)997년에 중국 요나라의 승려 행균(行均)이 펴낸 자전(字典). ≪설문 해자≫, ≪옥편≫ 따위의 책에서 26,430여 자를 뽑아 한자를 부수에 따라 분류하고, 부수의 글자를 사성에 따라 분류하여 각 글자 밑에 정(正)ㆍ속(俗)ㆍ고(古)ㆍ금(今)의 자체(字體)를 나열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의 목각본 1권, 3권, 4권만이 전한다. 4권의 인본(印本).
  • 사이 뜬 과다 월 : (1)월경의 양이 많고, 월경이 35일에서 6개월에 한 번 정도로 정상보다 드물게 일어나는 증상.
  • : (1)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이르는 말. (2)‘장축’의 전 용어. (3)목이 긴 것. (4)키가 큰 등잔걸이. 또는 그 위에 켜는 등잔. (5)‘장경하다’의 어근. (6)그 장면의 광경. (7)거울을 버티어 세우고 그 아래에 화장품 따위를 넣는 서랍을 갖추어 만든 가구. (8)식물 줄기의 한 형태. 크고 살진 모양으로 물을 담아 두는 조직이 있고 동화 작용을 한다. 선인장 줄기 따위가 있다. (9)불경을 집대성한 경전. 석가모니의 설교를 기록한 경장(經藏), 모든 계율을 모은 율장(律藏), 불제자들의 논설을 모은 논장(論藏)을 모두 망라하였다. (10)중국 당(唐)나라 목종(穆宗) 때의 연호(821~824).
  • 물길 직 : (1)물길의 단면이 원과 유사한 형태라고 가정하였을 때, 물길 단면의 최소 지름.
  • 오페레이팅 환 : (1)사용자들이 좀 더 간편하게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복잡하고 불편한 운영 체제 위에 설치하는 작업 환경. 예를 들면, 도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윈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 사용자들에게 편리하다고 할 때, 윈도 시스템이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알맞은 컴퓨터 시스템 운영 환경이 된다. ⇒규범 표기는 ‘오퍼레이팅 환경’이다.
  • : (1)지방에서 서울로 감. (2)발해 때의 행정 구역. 발해의 3대 문왕(文王)이 755년에 중경 현덕부에서 옮긴 후 멸망할 때까지의 수도. 중간에 잠시 도읍을 옮긴 적이 있으며, 지금의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寧安市) 동경성 일대이다. (3)조선 시대에, 정일품과 종일품의 판서를 이르던 말. (4)의무 경찰 계급의 하나. 수경의 아래, 일경의 위이다. (5)조선 시대에, 내시부에 속한 정구품 벼슬. (6)마주 이야기를 할 때에 서로에게 경어를 씀. (7)서로 상대편을 존중함. (8)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올바른 도리. (9)기껍고 경사스러운 일. (10)‘파상풍’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안와하 신 : (1)위턱 신경이 안와 속으로 들어가 눈 아래 고랑, 안와하관, 안와하공을 지나 얼굴로 나오는 감각 신경. 아래 눈꺼풀, 코, 윗입술 부위의 피부, 그리고 위쪽 잇몸과 치아에 분포한다.
  • 식도 관찰 : (1)입으로부터 식도의 안으로 삽입하여 식도 내의 병변을 관찰하는 내시경. 빛을 직접 비추어 광원(光源)으로써 직접 조명하여 그 내벽을 관찰하고 이물을 제거하는 데 쓴다.
  • 음핵 해면체 신 : (1)방광 신경얼기에서 일어나 음핵 해면체에 분포하는 신경.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을 포함하며, 남성의 음경 해면체 신경에 해당한다.
  • 부교감 신 : (1)교감 신경과 더불어 자율 신경 계통을 이루는 신경. 교감 신경이 촉진되면 억제하는 일을 하고, 신체가 흥분되면 심장의 구실을 억제하며 소화 기관의 작용을 촉진한다.
  • 교차 신 : (1)척수 반대쪽 위로 지나는 돌기를 가진 척수 신경 세포를 이르는 말.
  • : (1)아주 경사스러운 일. (2)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3)조선 시대에 처용무의 복식에 사용하는 긴 천. 신라 여자 복식의 대(帶)와 비슷한 것으로 홍초로 안팎을 하고 양 끝에 녹색 비단을 잇대어 단다. 양 끝은 제비부리 모양이며, 세 개의 노란 구슬이 달려 있다.
  • : (1)서울 안. (2)목이 멤. (3)농산물의 값이 생산 비용과 같아 경제적 견지에서 경작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한계에 서 있는 토지. 또는 그 한계. (4)빛이 조금 환함. (5)불빛이 깜박거림. (6)마음에서 사라지지 않고 염려가 됨. (7)올바르고 용감함. (8)사물이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 (9)나라와 나라의 영역을 가르는 경계. (10)‘경경하다’의 어근. (11)‘경경하다’의 어근.
  • 가쪽 넙다리 피부 신 : (1)허리 신경얼기에서 일어나 넙다리의 가쪽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 대개 둘째와 셋째 허리 신경 섬유를 포함한다.
  • 지중 : (1)땅속에 있는 식물의 줄기. 연(蓮)의 뿌리줄기, 감자의 덩이줄기, 토란의 알줄기, 백합의 비늘줄기 등으로 그 모양에 따라 구별된다.
  • 근접장 주사 현미 : (1)수십 나노미터 대의 구멍이 있는 뾰족한 광섬유를 통하여 광자를 방출하거나 받아서 광회절 현상에 의해 제한되는 배율과 해상력을 극복한 현미경. 빛의 파장보다 더 작은 구멍을 만들면 광회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 고유 바닥 쪽 손가락 신 : (1)손가락의 바닥 쪽 옆면으로 달리는 신경. 엄지부터 넷째 손가락의 엄지 쪽으로는 정중 신경, 넷째 손가락의 새끼손가락 쪽과 새끼손가락에는 자신경의 가지가 달리며 분포한다.
  • : (1)중국 남제(南齊)의 조호(祖𣅥)가 천산(天算)에 관하여 쓴 책. 삼국 시대 이래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산술을 익히는 데 많이 쓰였다. (2)논밭의 경작을 중도에서 그만둠. (3)고구려 고분에서 나온, 쇠로 만든 거울. (4)‘철도 경찰’을 줄여 이르는 말.
  • : (1)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시각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하룻밤을 다섯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맨 마지막 부분. 새벽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이다. (3)발해 선왕 때 둔 행정 구역. 상경 용천부, 중경 현덕부, 동경 용원부(東京龍原府), 서경 압록부(西京鴨綠府), 남경 남해부(南京南海府)를 이른다. (4)선천적으로 원기(元氣)가 허하거나 풍사(風邪)를 받아서 어린아이의 손, 다리, 허리, 살, 목의 다섯 곳이 뻣뻣하여지는 증상. (5)유학의 다섯 가지 경서.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가 있다. (6)구약 성경의 처음 다섯 권.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이른다. (7)오식(五識)으로 깨닫는 다섯 가지 대상. 빛, 소리, 냄새, 맛, 닿는 느낌이다. (8)검은 빛깔의 수정 알을 박은 안경. (9)속 깊은 곳. (10)심오한 경지. (11)깨달음의 경지.
  • 단면 이차 반 : (1)부재의 단면에 대하여 도형의 도심(圖心)을 지나는 축에 대해 단면 이차 모멘트를 단면적으로 나눈 것의 제곱근값. 곧, ix=√Ix/Ax의 식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ix는 단면 이차 반경, Ix는 x축에 관한 단면 이차 모멘트를, A는 단면적을 이른다. 단위는 길이의 제곱이다.
  • 전자 내시 : (1)내시경 관의 끝에 원격 카메라가 붙어 있어 장기 내부의 영상을 모니터나 컴퓨터로 전송하는 의료용 기기.
  • : (1)‘원지름’의 전 용어. (2)규모가 작은 농지에서 괭이 따위의 작은 농기구와 인력(人力)으로 하는 집약적 농업. (3)둥근 거울. (4)‘만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멀리 보이는 경치. 또는 먼 데서 보는 경치. (6)사진이나 그림에서 먼 곳에 있는 것으로 찍히거나 그려진 대상. (7)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국경. (8)작은 글자나 물체를 또렷하게 보이도록 볼록 렌즈로 만든 안경. 흔히 노인들이 쓴다.
  • : (1)서울에서 지방으로 내려가거나 내려옴. (2)아래쪽으로 기울어짐. (3)여름에 농토를 갊. (4)여름 경치. (5)하안거(夏安居) 동안에 쓴 경전. (6)하안거 동안에 경전을 읽음. 또는 그 경전. (7)하안거를 지냄. (8)경사스러운 일에 대하여 고마움이나 칭찬의 뜻을 나타냄.
  • 이상 : (1)조선 중기의 무신(1609~1674). 자는 이석(頥奭). 인조 14년(1636)에 무과에 급제하여, 군직(軍職)인 수군절도사와 삼도 수군통제사를 지냈다. (2)토마토 줄기에 발생하는 생리 장해. 일반적인 줄기와는 달리 본줄기의 절간이 짧고 두꺼우며, 줄기에 홈이 생긴다. 심한 경우에는 홈이 갈라져서 갈변하는데, 구멍이 생겨서 반대쪽이 보이기도 한다. 육묘할 때 붕소가 결핍되는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다.
  • : (1)밥을 먹을 동안이라는 뜻으로, 잠깐 동안을 이르는 말. (2)한참 갈 만한 넓이라는 뜻으로, 논밭의 하루갈이를 여섯으로 나눈 넓이. 논밭의 면적을 어림으로 헤아리는 말이다. (3)매우 좋은 경치. (4)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본과 기술을 지닌 구미인이 현지인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쌀ㆍ고무ㆍ솜ㆍ담배 따위의 특정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영 형태. (5)‘석경’의 방언
  • 서도 팔 : (1)평안도에 있는 여덟 군데의 명승지. 곧, 강계의 인풍루(仁風樓), 의주의 통군정(統軍亭), 선천의 동림폭(東林瀑), 안주의 백상루(百祥樓), 평양의 연광정(練 光亭), 성천의 강선루(降仙樓), 만포의 세검정(洗劍亭), 영변의 약산 동대(藥山東臺)이다.
  • 박막 수 : (1)양액 재배의 하나. 베드의 바닥에 극히 얇은 막의 상태로 양액이 흐르도록 하고 그 위에 뿌리가 닿게 한다. 뿌리의 일부는 공중에 노출되고, 나머지는 흐르는 양액에 닿아 공중 산소와 수중 산소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 공격 잠망 : (1)잠수함에서 적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잠망경. 헤드가 탐색 잠망경에 비하여 소형이므로, 신속하게 해수 표면 위의 공중이나 수면을 관측하거나 확인할 때에 사용한다.
  • 허블 우주 망원 : (1)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실려서 지구 상공 610km 궤도에 진입하여 우주 관측 활동을 하는 고성능 망원경.
  • 권리 변 : (1)권리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그 주체, 내용, 작용이 변하는 것. 권리 변동 가운데 하나이다.
  • 화엄 : (1)석가모니가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설법한 경문. 법계 평등(法界平等)의 진리를 증오(證悟)한 부처의 만행(萬行)과 만덕(萬德)을 칭양하고 있다. 정식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이다. (2)장선우 감독이 1993년에 만든 영화. 주인공이 어린 시절 자신을 버린 어머니를 찾아가는 여정을 통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내용을 그린 종교 드라마 영화이다.
  • 보관 환 : (1)기기 및 부속품이 가동되지 않는 상태, 또는 지정된 조건에서의 기기 및 부속품 관리.
  • 비갱신형 괴 : (1)줄기 또는 지하경(地下莖)이 비대해진 구근류에서, 눈이 정단부에만 있고, 배축에 해당하는 부위가 해마다 커지는 덩이줄기 구근류. 분구하지 않기 때문에 종자 또는 삽목(揷木)으로 번식한다. 시클라멘, 글록시니아, 구근베고니아 따위가 있다.
  • 귀걸이안 : (1)안경다리 대신 실로 꿰어서 귀에 걸게 되어 있는 안경.
  • 초조대장 : (1)고려 현종 때에 간행된 고려 대장경의 초간본. 대반야바라밀다경은 대장경 가운데 제일 먼저 수록되어 있는 경전으로, 글자의 생김이나 먹의 색, 지질, 보존 상태 등이 좋아 표지 등에서 원형을 잘 살필 수 있다. 이 가운데 권 249는 국보 제241호이며, 국보 정식 명칭은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이다. 대방광불화엄경은 석가의 크고 넓은 깨달음과 장엄하고 방정한 이치가 담긴 대승 경전으로, 권 1과 권 29는 각각 국보 제256호와 제257호, 권 13권과 권 2ㆍ75는 국보 제265호와 제266호, 권 36과 권 74는 국보 제277호, 제279호이며, 국보 정식 명칭은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이다.
  • 제칠 뇌신 : (1)일곱째 머릿골 신경으로, 주로 얼굴 근육에 분포하여 얼굴의 표정 운동을 관장하는 운동 신경. 미각이나 침의 분비를 맡는 신경 섬유를 포함한다.
  • 전자 현미 : (1)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자류를 전자 렌즈에 집속시켜, 그 통로에 놓인 시료(試料)의 상(像)을 확대하는 장치. 광학 현미경보다 훨씬 뛰어난 분해 능력을 가진다.
  • 지목 변 : (1)토지의 형태 또는 사용 목적이 바뀜에 따라 그 땅의 용도를 바꾸는 일.
  • 재식 : (1)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본과 기술을 지닌 구미인이 현지인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쌀ㆍ고무ㆍ솜ㆍ담배 따위의 특정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영 형태.
21 22 23 25 2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경으로 시작하는 단어 (4,768개) : 경, 경가, 경가극, 경가미, 경가파산, 경가파산하다, 경가하다, 경각, 경각간, 경각계, 경각부, 경각사, 경각성, 경각심, 경각하다, 경간, 경간 거리, 경간 구조, 경간기, 경간 브리지 컷아웃 장치, 경간 오목도, 경간와, 경간 장, 경간하다, 경간핵, 경간형 나무 통신 규약, 경갈, 경갈되다, 경갈하다, 경감 ...
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4,76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경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56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