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56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10개 세 글자:589개 네 글자:699개 다섯 글자:417개 여섯 글자 이상:549개 🤞모든 글자: 2,565개

  • 과거인과 : (1)석가모니가 인과응보의 이치를 설명한 경전. 모두 네 권으로 되어 있다.
  • 국 데이터 변 : (1)전자 교환기에서, 설비 증설에 따라 국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일. 국 데이터의 변경 방법으로는 차분 데이터 파일 방식과 현국 변경 방식이 있다.
  • 삼공육 : (1)조선 시대에, 삼정승과 육조 판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 (2)중국 주나라 때에, 삼공과 총재ㆍ사도(司徒)ㆍ종백(宗伯)ㆍ사마(司馬)ㆍ사구(司寇)ㆍ사공(司空)을 통틀어 이르던 말.
  • 주반사 : (1)복수의 반사경이 있는 안테나의 최대 반사경.
  • 틈새 빛 현미 : (1)각막 후면의 내피세포를 검사할 수 있는 특수 장치가 부착된 현미경. 길고 가는 빛을 비추어서 각막과 수정체의 상태를 관찰한다. 조명계와 관찰계로 이루어져 있다.
  • 들새 : (1)머슴살이를 시작할 때 미리 받는 새경.
  • 살풍 : (1)보잘것없이 메마르고 스산한 풍경. (2)매몰차고 흥취가 없음. (3)살기를 띤 광경.
  • 전사골 신 : (1)눈구멍 속의 구멍을 통하여 머리뼈안으로 들어간 다음 체판을 통하여 코안으로 들어가 분포하는 신경. 삼차 신경인 눈신경의 코 섬모체 신경의 가지이다.
  • 환류식 수 : (1)양액을 탱크에서 베드로, 베드에서 다시 탱크로 계속 환류시키는 순환형 수경의 하나. 작물을 재배할 때 뿌리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촉진하며, 양액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 안쪽 아래팔 피부 신 : (1)팔 신경얼기의 안쪽 다발에서 일어나 아래팔의 앞면과 안쪽 면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
  • 원발 무월 : (1)월경이 있어야 할 연령의 여성이 한 번도 월경을 하지 않은 상태. 생식 구조의 선천적 이상 따위가 원인이 될 수 있다.
  • 작은 궁둥 신 : (1)큰 돌기에서 넓적다리 중앙에 이르는 피부에 분포하는 후방 넙다리 피부 신경.
  • : (1)깨어진 거울. (2)이지러진 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부부가 헤어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각종 악귀를 몰아내는 내용을 볶는타령 장단에 얹어 부르는 서도 잡가.
  • 공소장의 변 : (1)사건의 동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공소장에 기록된 공소 사실이나 적용 법규의 추가, 취소, 변경 따위를 할 수 있는 제도.
  • : (1)조(兆)와 경(京)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은 수를 이르는 말. (2)경치를 아름답게 꾸밈. (3)새나 겨우 통할 정도로 좁은 산속 길. (4)물건을 비추어 보는 거울. (5)거울에 물건을 비추어 봄. (6)조선 인조ㆍ효종 때의 문신(1586~1669). 자는 일장(日章). 호는 용주(龍洲)ㆍ주봉(柱峯). 대제학, 이조 판서 따위를 지냈다. 병자호란 때에 화친을 배척할 것을 주장하였고, 숙종 때에 이르러 청렴한 관리로 뽑혔다. 저서에 ≪용주집≫이 있다. (7)조선 시대의 무신(1541~1609). 자는 사척(士惕). 1591년 강계(江界) 부사(府使) 시절에 귀양 온 정철(鄭澈)을 우대하였다가 파직되었다. 임진왜란 때에 경상우도 방어사로 활약하고, 뒤에 훈련대장이 되었다. (8)성질이 다른 해류가 만나서 불연속선을 이루는 수렴선. 그 경계에는 소용돌이가 생겨 해류의 교환과 혼합이 심해서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부유 생물이 모임에 따라 고기 떼가 몰려 큰 어장이 된다. (9)월경(月經)을 고르게 함. (10)사람을 겉만 보고도 그 인격을 알아보는 식견. (11)마음을 조급히 굴면서 권세를 다툼.
  • : (1)큰 고래. (2)우러르고 받드는 마음으로 삼가고 조심하는 태도를 가짐. (3)주자학의 학문 수양 방법의 하나. 늘 한 가지를 주로 하고 다른 것으로 옮김이 없이, 심신이 긴장되고 순수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덕성(德性)을 함양함을 이른다. (4)3개월에 한 번씩 있는 월경(月經). (5)덧없이 빨리 지나감.
  • 요면 : (1)반사면이 오목한 구면(球面) 거울. 물체가 구심보다 밖에 있으면 실물보다 작은 거꾸로 선 실상(實像)이 구심과 초점의 가운데 생기고, 물체가 구심과 초점과의 사이에 있으면 실물보다 큰 거꾸로 선 실상이 구심 밖에 생긴다. 탐조등이나 반사 망원경 따위에 쓴다.
  • 코란 : (1)이슬람교의 경전. 교주 마호메트가 천사 가브리엘을 통하여 받은 알라의 계시 내용과 계율 따위를 기록한 것으로, 이슬람교도의 신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규범을 서술하고 있다. 7세기 중기에 제3대 칼리프 오스만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된 것으로, 총 30편 114장 6,342구절로 되어 있다.
  • 고문 : (1)중국 한나라 경제(景帝) 때 발견된, 주나라 때 쓰인 고문(古文)으로 된 경전. 왕망이 세운 신(新)나라 정권에 참가한 유흠은 탁고개제(托古改制)로 모든 것을 개혁하고자 고문경을 내세웠다. 청나라 말의 학자 강유위는 고문 경전이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하여 수구파의 비난을 받았다.
  • 경도 측정 원자 현미 : (1)탐침과 시료의 접촉을 통하여 진폭의 세기를 파악하고 시료의 경도를 측정하는 현미경.
  • : (1)생물에게 직접ㆍ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자연적 조건이나 사회적 상황. (2)생활하는 주위의 상태. (3)수도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4)정신 의학에서, 정신 질환 환자의 가정 환경, 병원 단위 따위의 사회적 배경을 이르는 말.
  • 등량 교환식 담액 수 : (1)담액형 수경법의 하나. 서로 다른 재배 베드의 양액을 펌프를 이용하여 같은 양을 교환하면서 작물을 재배한다. 양액을 교환할 때 뿌리를 간헐적으로 노출시켜 산소를 공급한다. 과채류의 양액 재배에 많이 이용된다.
  • 중간 쇄골상 신 : (1)목 신경얼기에서 일어나 빗장뼈를 넘어 내려가는 세 개의 피부 신경 중 가운데 신경. 빗장뼈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며 가슴 윗부분의 피부에 분포한다.
  • 골신 : (1)척추동물에서 뇌와 가슴 부분의 근육이나 감각 기관을 직접 연결시켜 주는 신경. 후신경, 시신경, 동안 신경, 활차 신경, 삼차 신경, 외선 신경, 안면 신경, 내이 신경, 설인 신경, 미주 신경, 부신경, 설하 신경의 12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동이나 감각을 맡고 있다.
  • 최종 사용자 컴퓨팅 환 : (1)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는 시스템을 이용해 정보를 검색하고 처리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
  • : (1)뒤쪽의 경치. (2)사건이나 환경, 인물 따위를 둘러싼 주위의 정경. (3)앞에 드러나지 아니한 채 뒤에서 돌보아 주는 힘. (4)문학 작품에서, 주제를 뒷받침하는 시대적ㆍ사회적 환경이나 장소. (5)무대 뒤에 그리거나 꾸며 놓은 장치. (6)중국에서, 행정 조직상 수도(首都)에 준하는 취급을 받던 도시. 명나라 때의 금릉(金陵), 청나라 때의 심양(瀋陽),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의 중경(重慶) 따위가 있다. (7)임금을 모시고 함께 논밭을 갈고 심음. (8)대체로 배경과 인물을 염두에 두고 짜이는 영상 촬영에서, 인물의 움직임과 이야기의 성격에 따라 배치되거나 선택되는 공간. (9)인지 언어학에서, 화자가 인식한 세계를 언어로 개념화하는 방식의 하나. 대상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핵심과 그 외의 주변을 구분할 수 있는데, 중심을 제외한 바탕부가 이에 해당한다.
  • : (1)어려운 경우나 처지. (2)난초가 자라는 작은 길. 그윽하고 깊숙한 오솔길을 이른다. (3)난조(鸞鳥)를 뒷면에 새긴 거울. (4)거울을 통틀어 이르는 말. (5)중국의 의서. 편작이 지었다고 한다. 신라와 고려에서 의학 과목으로 채택되었다. 2권.
  • 김해 : (1)통일 신라 시대에 둔 오소경(五小京)의 하나.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에 설치했던 행정 구역으로, 경덕왕 때 금관 소경을 고친 것이다. (2)‘이상’의 본명.
  • 동결 식각법 전자 현미 : (1)생물학 시료를 빠르게 얼려 절단한 다음에 진공 승화법으로 얼음을 부식시켜 표본을 만들고, 전자 현미경으로 그 표본을 관찰하는 기법. 세포나 소기관에 있는 내외 막의 삼차원적 미세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 장골 서혜 신 : (1)허리 신경 계통에서 나오는 가늘고 긴 신경. 음경과 음낭을 지배한다.
  • 지상 망원 : (1)지상에 있는 물체의 확대된 정립상을 보기 위하여 만든 망원경.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사이에 상을 정립하는 렌즈 또는 프리즘을 넣어서 만든다.
  • 바깥귀길 신 : (1)귓바퀴 관자 신경에서 일어나 바깥귀길을 덮는 층에 분포하는 감각 신경.
  • 자연적 배 : (1)문학 작품에서, 사건이 진행되는 물리적 환경. 지리적 위치나 풍경 따위의 공간적 요소와 계절이나 밤낮 따위의 시간적 요소를 포함한다. 등장인물의 내면 상태나 심리 변화, 성격 따위를 드러내기 위하여 비유적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해부 : (1)위팔뼈에서 머리와 두 결절 사이의 부분. 이곳에 어깨 관절 주머니가 붙는다.
  • : (1)올바른 길. 또는 정당한 도리. (2)조선 시대에, 정이품 이상의 벼슬을 아경(亞卿)에 상대하여 이르던 말. 의정부 참찬, 육조(六曹)의 판서, 한성부 판윤, 홍문관 대제학 따위를 이른다. (3)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길. (4)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5)정치와 경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6)정서를 자아내는 흥취와 경치. (7)사람이 처하여 있는 모습이나 형편. (8)세 발 달린 옛날 가마의 손잡이. (9)일정한 길이의 날실을 필요한 수만큼 가지런히 펴서 도투마리에 감는 일. (10)조용한 장소.
  • 육조단 : (1)선종(禪宗)의 제6대조 혜능의 일대기. 남종선(南宗禪)의 근본이 되는 선서(禪書)이다. 엄밀히 말하면 경(經)이 아니라 조사 어록(祖師語錄)으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해박한 사상성과 간결한 문체로 우리나라ㆍ중국ㆍ일본 등의 여러 나라에서 경과 같은 존숭을 받고 있다. ≪육조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ㆍ≪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고도 한다. 이본으로 종보본(宗寶本)ㆍ흥성사본(興聖寺本)ㆍ돈황본(敦煌本) 등 5종이 있다. 1책.
  • 노자도덕 : (1)중국의 도가서. 춘추 시대 말기에 노자가 난세를 피하여 함곡관에 이르렀을 때 윤희(尹喜)가 도를 묻는 데에 대한 대답으로 적어 준 책이라 전하나, 실제로는 전국 시대 도가의 언설을 모아 한(漢)나라 초기에 편찬한 것으로 추측된다. 내용은 우주 간에 존재하는 일종의 이법(理法)을 도(道)라 하며, 무위(無爲)의 치(治), 무위의 처세훈(處世訓)을 서술하였다.
  • 화학적 환 : (1)토양, 수괴, 공기 등의 구성 요소가 갖고 있는 화학적 성질 중에서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환경.
  • : (1)아무 빛이 없는 알을 끼운 안경. (2)미국의 작가 멜빌이 지은 해양 소설. 흰 고래 모비 딕에게 한쪽 발을 잃은 후 복수의 화신이 되어 버린 노선장 에이하브의, 광기와도 같은 추격을 뼈대로 운명에 도전하는 인간을 상징적으로 그렸다. 1851년에 발표하였다.
  • 보적 : (1)중국 당나라의 보살 유지(流志)가 대승 경전 49부를 모아 번역한 불경. 이미 번역되어 있는 23권과 뜻이 통하지 않는 것을 다시 번역한 15권, 아직 번역하지 못한 12권을 번역하여 120권으로 만들었다. 693년에 번역하였다는 설(說)과 706년에 착수하여 713년에 완성하였다는 설(說)이 있다. 현존하는 권 59의 국보 정식 명칭은 ‘초조본대보적경권오십구’이다.
  • 주사 전자 현미 : (1)생물체 조직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전자 빔을 사용하여 고배율의 입체적인 상을 관찰할 수 있게 한 현미경.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비하여 그 배율이 제한을 받는다.
  • : (1)고려 시대에, 동궁(東宮)에 속한 육품 벼슬. 공양왕 2년(1390)에 설치하였는데, 좌우 두 사람이 있었다. (2)조선 시대에, 경연청에 속한 정칠품 벼슬. 임금에게 경서(經書)를 강의하고 논평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3)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이다. (4)고려 시대에, 나라의 중심지로서 중요시하던 네 지역. 남경(南京), 동경(東京), 중경(中京), 서경(西京)을 이른다. (5)≪시경≫, ≪서경≫, ≪역경≫, ≪춘추≫의 네 가지 경서(經書). (6)≪좌씨춘추≫, ≪곡량춘추≫, ≪고문상서≫, ≪모시≫의 네 가지 경서. (7)동, 서, 남, 북 사방의 지경이나 경계. (8)천하 또는 세계를 이르는 말. (9)죽을 지경. 또는 죽음에 임박한 상태. (10)농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준 모래에 작물을 재배하는 일. (11)세균을 보존하는 방법의 하나. 멸균시킨 모래를 시험관에 담고 그 속에 배양한 세균을 넣어 둔다. (12)식물의 물 재배 방법의 하나. 깨끗한 모래나 자갈에 식물을 심고 배양액으로 기른다. (13)경쇠의 하나. (14)곧지 않은 구불구불한 길. (15)부정한 마음이나 행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사사로운 이익을 추구하는 떳떳하지 못한 길. (17)묘지기나 마름이 수고의 대가로 부쳐 먹는 논밭. (18)머슴이 주인에게서 한 해 동안 일한 대가로 받는 돈이나 물건. (19)교인들이 모여 성경을 공부함. (20)비탈진 언덕의 길. (21)한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짐. (22)목의 일부 근육이 뒤틀려 머리가 한쪽으로 기우는 증상. 또는 그 증상을 보이는 목. 목 근육이 선천적으로 짧아서 그런 경우가 많으며 후천적으로는 류머티즘, 뼈의 이상, 사시(斜視)나 심인 반응도 원인 된다. (23)후세에 전하거나 축복을 받기 위하여 경문(經文)을 베끼는 일. 또는 그런 경전. (24)위 골반문에서, 한쪽 엉치 엉덩 관절부터 반대쪽 엉덩 두덩 융기까지의 거리. (25)‘시쿄’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유영 : (1)조선 선조 때의 문신(1550~1608). 자는 선여(善餘). 호는 춘호(春湖).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고, 북인이 대ㆍ소로 분당될 때 소북의 영수가 되었으며, 선조 말 광해군 대신 영창 대군을 옹립하려다가 대북 일파의 탄핵으로 사약을 받았다.
  • : (1)더욱 공경함. (2)‘가경하다’의 어근. (3)빼어나게 아름다운 경치. (4)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5)경치가 좋은 곳. (6)집안의 경사. (7)거짓으로 꾸며진 정경. (8)즐겁고 경사스러움. (9)중국 청나라 인종 때의 연호(1796~1820). (10)조선 세종 때에, ‘특경’을 이르던 말. (11)잎의 엽초가 나선형으로 중첩되어 만든 거짓 줄기. 바나나에서 볼 수 있다.
  • 비교 대조 현미 : (1)두 개의 사물을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양자의 유사점이나 차이점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되는 현미경. 두 대의 대물렌즈로 확대된 두 개의 대상물을 한 개의 접안렌즈로 보며, 과학 수사에 쓴다.
  • 공초점 레이저 현미 : (1)대물렌즈의 뒤편에 미세한 구멍을 두어 시료의 한 점에서 출발한 빛만 통과하게 하여 명암비와 분해능을 높인 현미경. 한 번에 한 점만을 보기 때문에 시간 간격을 두고 이웃한 점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면 2차원 영상이나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 : (1)대물렌즈의 뒤편에 미세한 구멍을 두어 시료의 한 점에서 출발한 빛만 통과하게 하여 명암비와 분해능을 높인 현미경. 한 번에 한 점만을 보기 때문에 시간 간격을 두고 이웃한 점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면 2차원 영상이나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독서삼매 : (1)다른 생각은 전혀 아니 하고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는 경지.
  • 굴절 망원 : (1)렌즈와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을 이용하는 망원경.
  • 전요 : (1)스스로 서지 못하고 다른 물건을 감으면서 위로 뻗어 오르는 덩굴진 줄기. 칡, 으름덩굴 따위가 있다.
  • 교근 신 : (1)음식물을 깨물거나 입을 다물 때 사용하는 교근에 분포하는 신경. 기시점은 삼차 신경의 아래턱 신경이며 교근 및 턱관절에 분포한다. 일반 감각과 턱 운동에 관여한다.
  • 셋째 뒤통수 신 : (1)셋째 목신경 뒷가지의 안쪽 가지. 머리덮개와 목덜미 부위의 피부에 분포한다.
  • 하둔 피신 : (1)볼기의 아래쪽 반에 해당하는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 뒤 넙다리 피부 신경의 가지이며, 큰볼기근의 아래 모서리를 감고 볼기로 올라간다.
  • 상악 신 : (1)삼차 신경의 둘째 가지. 윗니와 눈 아래 피부의 감각을 지배한다.
  • 문수사리보살 최상승 무생계 : (1)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불교 서적.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서 설법한 내용을 담은 경전으로, 고려 우왕 12년(1386)에 간행되었다. 보물 제738호.
  • 혈사 : (1)피로 옮기어 쓴 경전.
  • 구강 : (1)입안을 살펴보는 데 쓰는 치과용 기구. 작은 원형의 거울에 손잡이가 길게 달려 있다.
  • 디스플레이 전 : (1)사용자가 화면에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영역. 화면에서 실제로 정보가 나타나는 부분을 이른다.
  • 요도 : (1)요도의 내부를 검사하는 기구. 거울이 달려 있어 직접 검사할 수 있다.
  • 구주 오소 : (1)통일 신라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 상주(尙州), 양주(良州), 강주(康州), 웅주(熊州), 전주(全州), 무주(武州), 한주(漢州), 삭주(朔州), 명주(溟州)의 아홉 주와 금관(金官), 중원(中原), 북원(北原), 서원(西原), 남원(南原)의 다섯 소경을 이른다.
  • 과소 잦은 월 : (1)비정상적으로 월경의 횟수가 많고 출혈량이 적은 상태.
  • 빈발성 월 : (1)월경 주기가 정상보다 짧은 월경.
  • 일반 환 : (1)기업의 경영 활동을 둘러싼 환경 가운데에서 인구 변화나 경제, 자연, 기술, 문화, 국제 관계 따위와 같이 개별 기업이 직접 관여하지 않는 환경. (2)대상 조직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끼치지 않더라도 그 조직과 연관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특정 국가나 문화권를 이르는 말.
  • 뉴턴 반사 망원 : (1)대물렌즈에 큰 오목 거울을 사용하고, 그 초점의 약간 앞에 프리즘 또는 작은 평면거울을 놓아 광선을 직각으로 굴절시켜, 통의 옆면에 있는 접안렌즈에 이끄는 방식의 망원경. 1668년에 뉴턴이 고안ㆍ제작하였다.
  • 웰링턴형 안 : (1)네모난 테두리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안경. 테두리가 보스턴 셰이프보다 직선적이고 각이 졌다.
  • 불수반열반약설교계 : (1)대승 불교의 경전. 중국 후진(後秦) 때 인도 승려 쿠마라지바가 번역하였다고 전하여지며, 석가모니가 임종할 때 계법(戒法)을 지키고 빨리 깨달음을 얻고 펼쳐 나아갈 것을 설파한 당시의 정경을 그린 경전이다. 특히 선문(禪門)에서 중시하며, 불조 삼경(佛祖三經)의 하나이다. 1권.
  • 통합 개발 환 : (1)기본적으로 코드 편집기, 컴파일러, 프로그램 수정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치기 등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패키지의 프로그램 작성 환경. 자립형이거나 기존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고, 비주얼 베이식, 자바, 파워빌더와 같은 프로그램 작성 언어용 사용자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무신 : (1)감각이나 느낌 따위가 매우 둔함. (2)남의 감정이나 이목 따위를 고려하지 않고 어떤 자극에도 반응이 없음.
  • : (1)총신, 포신 따위의 구경. (2)관(管) 따위의 안쪽에서 잰 지름. (3)사개를 맞춰서 기둥을 세울 때, 밑동보다 위를 안쪽으로 조금 기울게 세우는 방법. (4)불교의 서적. (5)중국의 가장 오래 된 의서(醫書). 진나라ㆍ한나라 때에 편찬되었다고 전하며 황제와 명의(名醫)의 문답 형식으로 고대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身體觀)을 기술하였고, 침구 의학의 고전이다. 소문(素問)과 영추(靈樞)의 2부로 되어 있는데, 소문은 자연 철학의 처지에서 병리학설을 주로 다루었고, 영추는 침구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18권.
  • : (1)‘시각 장애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 (2)세상 물정에 어둡거나 글을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신라 때에, 정치적ㆍ군사적으로 중요한 지방에 특별히 둔 작은 서울. (4)작은 줄기. (5)좁은 길. (6)자그마한 경치. (7)작은 규모의 풍경화. (8)경서(經書)를 분량에 따라 구분한 것 가운데 분량이 적은 것을 이르는 말. (9)‘아미타경’을 무량수경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10)작은 거울. (11)잠시 동안. (12)고려 시대에, 태상시ㆍ전중성ㆍ위위시ㆍ태복시ㆍ예빈성ㆍ대부시 따위에 둔 종사품 벼슬. 경(卿)의 아래이다. (13)조선 전기에, 봉상시ㆍ전중시ㆍ내부시ㆍ사복시ㆍ예빈시 따위에 둔 종사품 벼슬. 경의 아래이다. (14)대한 제국 때에 둔 태의원ㆍ장례원의 버금 벼슬. (15)땅을 갈지 아니하고 괭이로 땅의 겉을 헤치어 씨를 뿌린 다음 거두어들일 때까지 전혀 손질을 하지 아니함. 또는 그런 원시적 농경 방법. (16)화창한 봄 경치. (17)‘담금질’의 북한어. (18)소엽(蘇葉)의 줄기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기(氣)를 잘 통하게 하고 태아를 안정시키는 데 쓴다. (19)‘소구유’의 방언 (20)중국 남조 양나라 때의 정치가(477~523). 양무제(梁武帝)의 종제(從弟)로 변방을 지켰다. 무제가 총애하였다. 후에 관직이 영주 자사(郢州刺史)까지 올랐다. (21)중국 한나라 때의 정치가(?~?). 광무제(光武帝) 때 대군태수(代郡太守)가 되어 흉노(匈奴)로부터 변방을 지켰다. 후에 시중이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
  • 안진 : (1)중국 당나라 때의 정치가ㆍ서예가(709~785). 자는 청신(淸臣). 안녹산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저서에 ≪안노공집(顔魯公集)≫ 따위가 있다.
  • 개방형 시스템 환 : (1)사용자 관점에서의 응용, 데이터, 이식성 및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서비스, 지원 포맷 및 이들의 프로필로 구성된 포괄적 집합. (2)사용자 서비스와 표준 사양을 제공하는 포직스 표준에 대응하는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표준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참조 모델.
  • 이온 반 : (1)이온을 둥근 구슬 모양으로 생각했을 때의 반경. 이온 결정 속에서 서로 닿아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각 이온 반지름의 합이 되는데, 이는 엑스선 회절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 국소 환 : (1)부속품의 통상 상태에서 나온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오염을 제외한 고려 조건에서, 이격 거리와 연면(沿面) 거리를 즉시 둘러싸는 주위 환경 조건. 이격 거리 또는 연면 거리의 미세 환경은 절연에 대한 영향을 결정하나 부속품의 환경은 그렇지 않은데, 이것은 부속품의 환경보다 더 좋을 수도 있고 더 나쁠 수도 있다.
  • 후사 : (1)운전자가 자동차의 뒤쪽을 볼 수 있도록 차량 뒤쪽의 유리 바깥에 붙인 거울. (2)뒤쪽을 보기 위하여 자동차나 자전거 따위에 붙인 거울.
  • : (1)인체 경맥의 하나. 십이 경맥과 달리 오장육부와 직접적인 연계가 없는 여덟 가지 종류의 경맥을 이르는데, 십이 경맥의 기혈 순행을 돕는다. (2)‘기경하다’의 어근. (3)논밭을 갊. (4)묵힌 땅이나 생땅을 일구어 논밭을 만듦. (5)‘기경하다’의 어근. (6)‘구경’의 방언
  • : (1)산에 나 있는 길. (2)산의 경치. (3)예전에, 수학책을 이르던 말. (4)중국의 고전 수학서 10종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주비산경(周髀算經)≫, ≪구장산술(九章算術)≫, ≪손자산경(孫子算經)≫, ≪해도산경(海島算經)≫, ≪오조산경(五曹算經)≫, ≪하후양산경(夏侯陽算經)≫, ≪장구건산경(張邱建算經)≫, ≪오경산술(五經算術)≫, ≪집고산경(緝古算經)≫, ≪철술(綴術)≫이다.
  • : (1)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열한 시에서 새벽 한 시 사이이다. (2)밤의 경치. (3)밤사이에 화재나 범죄 따위가 없도록 살피고 지킴. (4)밤사이에 화재나 범죄가 없도록 살피고 지키는 사람. (5)성문 밖의 들. (6)들에 난 길. (7)들의 경치.
  • 지도 망원 : (1)적도의(赤道儀)의 주(主) 망원경에 대상의 별을 추적하기 쉽도록 덧단 작은 망원경.
  • 고려 대장 : (1)고려 시대에 두 차례 간행한 대장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 처음에 만든 것은 몽고군의 침입 때에 없어졌고, 두 번째의 해인사 대장경판이 지금 남아 있다. 해인사 대장경판은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1)젖소의 젖통 부위에 짧은 털로 덮인 부분. 이것이 클수록 젖이 많이 난다고 알려져 있다. (2)아주 외떨어지고 조용한 곳. (3)‘평양’의 다른 이름. (4)고려 시대의 문신(1211~1289). 자는 천년(天年)ㆍ장지(藏之). 고종 45년(1258)에 김준(金俊) 등과 모의하여 최의(崔竩)를 죽이고 정권을 왕실에 반환, 그 공으로 상장군이 되었다. 또 문장에 뛰어나 신종ㆍ희종ㆍ강종ㆍ고종의 4대 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많은 인재를 문하에서 배출하였다. (5)해가 질 무렵의 경치. (6)시골 사람이 서울에 와서 잠시 머물러 묵음. (7)오로지 객관적인 대상만이 존재함. (8)유가(儒家)에서 쓰는, 유학에 관한 책. (9)놋쇠로 만든 등잔 받침. (10)아스파라거스 따위의 어린 줄기. 장대 자루 끝에 뾰족한 촉이 달려 있는 모양이다. (11)땅위줄기가 있는 상태.
  • 도덕 : (1)중국의 도가서. 춘추 시대 말기에 노자가 난세를 피하여 함곡관에 이르렀을 때 윤희(尹喜)가 도를 묻는 데에 대한 대답으로 적어 준 책이라 전하나, 실제로는 전국 시대 도가의 언설을 모아 한(漢)나라 초기에 편찬한 것으로 추측된다. 내용은 우주 간에 존재하는 일종의 이법(理法)을 도(道)라 하며, 무위(無爲)의 치(治), 무위의 처세훈(處世訓)을 서술하였다.
  • 금강반야바라밀다 : (1)지혜의 정체(正諦)를 금강의 견실함에 비유하여 해설한 불경으로 우리나라 조계종의 기본 경전.
  • : (1)발해 때의 행정 구역. (2)고려 시대에, 사경(四京) 가운데 지금의 평양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3)지구의 서반구의 경도. 본초 자오선을 0도로 하여 서쪽으로 180도까지의 사이를 이른다. (4)‘서역’의 북한어. (5)직업적으로 붓글씨를 많이 쓰는 사람이 글씨를 과도하게 쓴 결과로 생기는 신경증. 평소에는 괜찮다가 글씨를 쓰려고 하면 동통 또는 경련을 일으켜, 손이 떨리면서 글씨를 못 쓰게 된다. (6)유학(儒學) 오경(五經)의 하나. 공자가 요임금과 순임금 때부터 주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정사(政事)에 관한 문서를 수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이다. 20권 58편. (7)글을 읽을 때 켜 놓는 등불. (8)자연의 경치를 글로 나타냄. (9)여름철에 더위를 먹고 경련이 일어나는 병. (10)임금이 새 관원을 임명한 뒤에 그 성명, 문벌, 이력 따위를 써서 사헌부와 사간원의 대간(臺諫)에게 그 가부(可否)를 묻던 일. (11)고을 원이 부임할 때에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고별하던 일. (12)동이 틀 무렵의 경치.
  • 공상 군 : (1)임무 수행 중에 부상을 당한 군인 또는 경찰.
  • : (1)목을 벰. (2)해고 또는 해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중이 문 앞에 와서 경문을 외며 시주를 청하는 일. (4)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 쌀ㆍ보리ㆍ고치ㆍ잎담배 따위의 각종 농산물 외에 무연탄, 석회석이 생산되며 현대식 시멘트 공장이 있다. 명승지로 조령(鳥嶺), 마고성지, 진남교, 금룡사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점촌시와 문경군이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로 신설되었다. 면적은 911.73㎢.
  • 신라사 : (1)신라 경덕왕 13년(754)에 시작하여 그 이듬해에 완성한 화엄경의 필사본. 두루마리 2축(軸)으로, 황룡사(黃龍寺)의 연기 법사(緣起法師)가 그의 부모를 위하여 발원하여 만든 것으로, ≪신역(新譯) 화엄경≫ 제44권과 45권을 닥나무 백지에 붓글씨로 적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이다.
  • : (1)큰 지름. (2)나사의 최대 지름. 수나사의 경우는 나사산의 꼭대기에서 잰 바깥지름을, 암나사의 경우는 나사골의 밑부분에서 잰 안지름을 이른다. (3)사람이 지켜야 할 큰 도리. (4)경서(經書)를 분량에 따라 구분한 것 가운데 분량이 비교적 많은 것을 이르는 말. ≪예기≫, ≪춘추좌씨전≫ 따위를 이른다. (5)가장 근본이 되는 경전. ≪화엄경≫, ≪열반경≫, ≪무량수경≫, ≪대일경≫ 따위를 이른다. (6)큰 경사. (7)크게 놀람. (8)국경의 맞은편. (9)객관의 사물이나 대상. (10)중국 서하 경종 때의 연호(1036~1037). (11)중국 서하 인종 때의 연호(1139~1143). (12)‘오카가미’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태양면 망원 : (1)태양을 관측하는 망원경. 태양의 가열 효과에 의하여 상(像)이 비뚤어지거나 초점 거리가 변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고안되었다. 탑 망원경, 코로나그래프 따위가 있다.
  • 관동 팔 : (1)강원도 동해안에 있는 여덟 명승지. 간성의 청간정, 강릉의 경포대, 고성의 삼일포, 삼척의 죽서루, 양양의 낙산사, 울진의 망양정, 통천의 총석정, 평해의 월송정을 이르며 옛날에는 모두 강원도에 속해 있었으나, 망양정과 월송정은 현재 경상북도에 편입되어 있고 삼일포와 총석정은 휴전선 이북에 있다. 평해의 월송정 대신에 흡곡의 시중대를 넣기도 한다.
  • 장 구 : (1)장에서 파는 물품 따위를 둘러보며 즐기는 일.
  • 정강 신 : (1)궁둥 신경이 오금 부위에서 갈라진 두 줄기 가운데 하나. 종아리 뒤쪽부터 곧게 발바닥까지 계속 이어지며, 종아리 뒤쪽과 발바닥의 근육과 피부에 분포한다.
  • 공통 운용 환 : (1)한 기관의 전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표준화되어 있는 환경. 시스템 통합과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며, 소프트웨어와 자료가 호환되고 문제 해결을 쉽게 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 맥관 운동 신 : (1)척추동물의 말초 혈관 가운데 세동맥의 관벽근을 지배하여, 혈관의 수축과 확장을 일으키는 원심성 신경.
  • 천안 광덕사 고려사 : (1)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 중앙 박물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경.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사에 전해진 것으로, 묘법연화경을 옮겨 적었다.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 2ㆍ3ㆍ4ㆍ5의 네 권과, 크기가 다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권 4 두 권이 있다. 6첩. 보물 제390호.
  • 솥따 : (1)‘솥뚜껑’의 방언
  • 동력학적반 : (1)수직의 힘과 틀음 모멘트를 동시에 받거나 수직 힘만을 받으면서 구르고 있는 바퀴에서부터 바퀴 축으로 미치는 표면력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남한 규범 표기는 ‘동역학적 반경’이다.
  • 반사현미 : (2)대물렌즈 대신에 두 개의 거울을 쓴 현미경. 하나는 오목 거울이고 다른 하나는 볼록 거울이다.
  • 뒤 위팔 피부 신 : (1)노신경에서 일어나 위팔의 뒷면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
  • 깊은 바위 신 : (1)눈물샘, 코샘, 입천장샘으로 가는 교감 신경으로 이루어진 신경. 이것은 속목동맥 주위에 얽힌 신경 얼기에서 일어나며, 큰 바위 신경과 만나 날개관 신경을 이루고, 날개 입천장 신경절을 통과하여 분포한다.
22 23 24 2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경으로 시작하는 단어 (4,768개) : 경, 경가, 경가극, 경가미, 경가파산, 경가파산하다, 경가하다, 경각, 경각간, 경각계, 경각부, 경각사, 경각성, 경각심, 경각하다, 경간, 경간 거리, 경간 구조, 경간기, 경간 브리지 컷아웃 장치, 경간 오목도, 경간와, 경간 장, 경간하다, 경간핵, 경간형 나무 통신 규약, 경갈, 경갈되다, 경갈하다, 경감 ...
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4,76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경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56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