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163 개
- 누운 나무에 열매 안 연다 : 죽은 나무에 열매가 열릴 리 없다는 뜻으로, 사람도 죽은 듯이 가만히 있으면 아무것도 되는 일이 없으므로 열심히 움직이고 일하여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말.
- 쉰 길 나무도 베면 끝이 있다 : 아무리 복잡해 보이는 일이라도 일단 시작을 하면 끝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업신여긴 나무가 뿌리 박힌다 : 하찮게 보이던 사람이 뜻밖에 잘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열 번 갈아서 안 드는 도끼가 없다 :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의 북한 속담.
- 나무에서 고기를 찾는다 : 물에서 사는 물고기를 솔밭에서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애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아무리 뜻이 굳은 사람이라도 여러 번 권하거나 꾀고 달래면 결국은 마음이 변한다는 말.
-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 자기의 능력 밖의 불가능한 일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
-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 자기의 능력 밖의 불가능한 일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
- 나무 접시 놋접시 될까 : 까마귀 같은 흔한 동물이 귀한 학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 : 자손이 빈한해지면 선산의 나무까지 팔아 버리나 줄기가 굽어 쓸모없는 것은 그대로 남게 된다는 뜻으로, 쓸모없어 보이는 것이 도리어 제구실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가 묵어야 쌀이 묵는다 : 살림살이에서 땔감이 되는 나무가 양식과 마찬가지로 귀한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가 묵어야 쌀이 묵는다 : 땔나무를 여유 있게 쌓아 두고 사는 집이라야 양식도 많은 법이라는 말.
- 나무가 커야 그늘[그림자]도 크다 : 훌륭한 사람일수록 그가 미치는 영향이나 혜택도 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공이 등 맞춘 것 같다 : 나무로 만든 공이의 등을 맞춘 것처럼 서로 잘 맞지 아니하고 대립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끝의 새 같다 : 오래 머물러 있지 못할 위태로운 곳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는 옮기면 죽고 사람은 (자리를) 옮겨야 산다 : 사람은 널리 활동하고 견문이 넓어야 큰일을 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는 큰 나무의 덕을 못 보아도 사람은 큰사람의 덕을 본다 : 다른 사람의 혜택을 입어 성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나이 들면 속이 빈다 : 무엇이나 오래되면 탈이 나거나 못 쓰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달라서 층암절벽에 선다[산다] : 어떤 생각이 있어서 남에게 의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달라서 층암절벽에 선다[산다] : 나무도 각기 달라서 위태로운 절벽에 사는 것이 있다는 뜻으로, 모든 것이 다 같을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쓸 만한 것이 먼저 베인다 : 능력 있는 사람이 먼저 뽑혀 쓰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쓸 만한 것이 먼저 베인다 : 능력 있는 사람이 일찍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곧은 나무 쉬[먼저] 꺾인다[찍힌다] : 능력 있는 사람이 일찍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옮겨 심으면 삼 년은 뿌리를 앓는다 : 어떤 일을 치르고 난 뒤에 그 뒷수습과 새로운 질서가 이루어지기 위한 어려움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옮겨 심으면 삼 년은 뿌리를 앓는다 : 무엇이나 옮겨 놓으면 자리를 잡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도 크게 자라야 소를 맬 수 있다 : 완전해야만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될 것은 떡잎 때부터 알아본다 : 잘될 사람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장래성이 엿보인다는 말.
- 잘 자랄 나무는 떡잎부터 안다[알아본다] : 잘될 사람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장래성이 엿보인다는 말.
- 나무때기 시집보낸 것 같다 : 사람이 변변치 못하여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뚝배기 쇠 양푼 될까
: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를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
: 부분만 보고 전체는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 없다
: ‘나무에도 못 대고 돌에도 못 댄다’의 북한 속담.
-
나무에도 못 대고 돌에도 못 댄다
: 아무 데도 의지할 곳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에서 고기를 찾는다
: 물에서 사는 물고기를 나무에서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애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에서 물고기 잡기
: 물에서 사는 물고기를 나무에서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애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다에 가서 토끼 찾기
: 물에서 사는 물고기를 나무에서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애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에 오르라 하고 흔드는 격
: 남을 꾀어 위험한 곳이나 불행한 처지에 빠지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에 잘 오르는 놈이 떨어져 죽고 헤엄 잘 치는 놈이 빠져 죽는다
: 사람은 흔히 자기가 지닌 재주 때문에 실수하거나 죽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헤엄 잘 치는 놈 물에 빠져 죽고 나무에 잘 오르는 놈 나무에서 떨어져 죽는다.
: 사람은 흔히 자기가 지닌 재주 때문에 실수하거나 죽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잘 타는 잔나비 나무에서 떨어진다
: 아무리 익숙하고 잘하는 사람이라도 간혹 실수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 아무리 익숙하고 잘하는 사람이라도 간혹 실수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칼로 귀를 베어도 모르겠다
: 어떤 일에 정신이 몹시 집중되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한 대를 베면 열 대를 심으라
: 나무를 베면 그보다 몇 배 더 많은 나무를 심어 숲을 키워야 한다는 말.
-
양식 없는 동자는 며느리 시키고 나무 없는 동자는 딸 시킨다
: 양식 없이 밥 짓는 일은 며느리를 시키고 나무 없이 밥 짓는 일은 딸을 시킨다는 뜻으로, 흔히 시어머니가 며느리보다 자기 딸을 사랑하고 위하여 준다는 말.
-
냅기는 과부 집 굴뚝이라
: 과부 집에는 나무를 뻐개고 말리고 할 사람이 없어서 마르지 않은 나무를 그대로 때므로 연기가 심하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보다 심히 곤란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녀편네 셋만 모이면 접시 구멍을 뚫는다
: ‘여자가 셋이면 나무 접시가 들논다’의 북한 속담.
-
노송나무 밑이다
: 마음이 음충맞고 우중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높기는 과부 집 굴뚝(이다)
: 과부 집에는 나무할 사람이 없어서 그때그때 해 오는 생나무를 때기 때문에 굴뚝을 높이 세운다는 뜻으로, 굴뚝 따위가 몹시 높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높은 나무에는 바람이 세다
: 지위가 높아질수록 더욱 지위의 안정성이 적고 신변이 위태로워진다는 말.
-
돌에도 나무에도 댈 데 없다
: ‘나무에도 못 대고 돌에도 못 댄다’의 북한 속담.
-
되는 집에는 가지 나무에 수박이 열린다
: 잘되어 가는 집은 하는 일마다 좋은 결과를 맺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뚝배기 쇠 양푼 될까
: 소나 말 같은 흔하고 천한 동물이 귀하고 상서로운 기린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 접시 놋접시 될까
: 소나 말 같은 흔하고 천한 동물이 귀하고 상서로운 기린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뒤에 볼 나무는 그루를 돋우어라
: 앞으로 희망을 걸 대상에 대해서는 뒷일을 미리부터 깊이 생각하여 보살피라는 말.
-
뒤에 볼 나무는 뿌리를 높이 잘라라
: 앞으로 희망을 걸 대상에 대해서는 뒷일을 미리부터 깊이 생각하여 보살피라는 말.
-
우습게 본 나무에[풀에] 눈 걸린다[찔린다]
: 대수롭지 아니하게 여겼던 사람이나 물건으로 인하여 크게 손해를 입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대수롭지 않게 보이더라도 조심해야 한다는 말.
-
딱딱하기는 삼 년 묵은 물박달나무 같다
: 오래된 물박달나무가 휘거나 부러지지 않듯이,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매우 센 사람을 이르는 말.
-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열린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의붓아비 돼지고기 써는 데는 가도 친아비 나무 패는 데는 가지 마라
: 의붓아비가 아무리 저를 미워하더라도 떡을 치는 데 가면 혹 떡 하나 줄지 모르지만 친아비가 아무리 사랑하더라도 도끼질하는 데서는 잘못하여 다칠 수도 있으니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해가 미칠 듯한 곳에는 가지 말라는 말.
-
주염나무 도깨비 꼬이듯
: 부정적인 대상들이 한데 모여 와글거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좋은 친구가 없는 사람은 뿌리 깊지 못한 나무와 같다
: 사람에게 좋은 친구가 없으면 위급한 때에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잘못될 수 있으므로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
-
죽은 나무 밑에 살 나무 난다
: 고생 가운데에서도 행운이 찾아오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죽은 나무 밑에 살 나무 난다
: 죽어 시드는 것이 있는 반면에 새로 나서 자라는 것도 있기 마련임을 이르는 말.
-
죽은 나무에 꽃이 핀다
: 아버지를 일찍 여읜 고아가 잘되어 집안이 번성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은 나무에 꽃이 핀다
: 보잘것없던 집안에 영화로운 일이 생기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은 나무에 꽃이 핀다
: 다 망하여 버렸던 것이 다시 소생하여 활기를 띠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쥐엄나무 도깨비 꼬이듯
: 인색한 사람이 너무 심하게 아끼고 다랍게 굴 때 하는 말.
-
향기가 있는 꽃은 가시 돋친 나무에 핀다
: 속이 훌륭한 것은 자신을 보호할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말.
-
향기가 있는 꽃은 가시 돋친 나무에 핀다
: 여자의 교태 속에 음흉한 계교가 숨어 있음을 경계하는 말.
-
홍제원 나무 장사 잔디 뿌리 뜯듯
: 무엇을 바드득바드득 쥐어뜯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큰 나무 밑에 작은 나무 큰지 모른다
: 크거나 뛰어나게 우수한 것과 나란히 있게 되어 그 우월성이 드러나기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타관에 섰어도 고향 나무
: 고향 나무는 타관에 서 있어도 고향 나무라 한다는 말 놀림으로 이르는 말.
-
토막나무 끈 자국과 같다
: 토막나무를 끌고 간 자리와 같이 사물의 형상과 자취가 뚜렷하여 숨길 수 없다는 말.
-
토막나무 끈 자국 지우지 못한다
: ‘토막나무 끈 자국과 같다’의 북한 속담.
-
토막나무에 낫걸이
: 도저히 당하여 낼 수 없는 대상한테 멋도 모르고 주제넘게 덤벼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장나무에 낫걸이
: 도저히 당하여 낼 수 없는 대상한테 멋도 모르고 주제넘게 덤벼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뿌리 없는 나무에 잎이 필까
: 원인이 없으면 결과가 있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뿌리 없는 나무가 없다
: 모든 나무가 다 뿌리가 있듯이 무엇이나 그 근본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뿌리 없는 나무가 없다
: 원인이 없이 결과만 있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사람은 키 큰 덕을 입어도 나무는 키 큰 덕을 못 입는다
: 나무는 키가 크면 먼저 잘리기 쉽지만 사람은 키가 크면 여러모로 뽑히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사람은 뭐니 뭐니 해도 키가 커야 함을 이르는 말.
-
산골 나무장수가 소 다리 꺾고 살랴
: 산골의 나무장수는 소가 있어야 나무를 실어 나를 수 있는데 그가 소의 다리를 부러뜨리고는 일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할 때 꼭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것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산 밑 집에 방앗공이(가) 논다[귀하다]
: 산과 같이 나무가 많은 고장에서 방앗공이가 없다는 뜻으로, 그 고장의 산물이 도리어 그 산지에서는 더 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에서 고기를 찾는다
: 물에서 사는 물고기를 산에서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애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피나무 껍질 벗기듯
: 물오른 소나무의 속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겉에 두르고 있는 의복이나 껍데기 따위를 말끔히 빼앗거나 벗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물은 근원이 없어지면 끊어지고 나무는 뿌리가 없어지면 죽는다
: 어떤 사물이나 그 근본이 없어지면 존재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믿는 나무에 곰이 핀다
: 잘되리라고 믿고 있던 일에 생각지 못한 변화가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무에서 고기를 찾는다
: 땅에서 사는 토끼를 바다에서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애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박달나무 그루에 싸리나무 가지가 돋아날 수 없다
: 박달나무의 그루터기에서 싸리나무가 돋아날 수 없다는 뜻으로, 건강하고 튼튼한 부모에게서 연약한 자식이 태어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박달나무도 좀이 슨다
: 나무의 질이 매우 단단하여 건축 및 가구재에 쓰는 박달나무에도 좀이 슬 때가 있다는 뜻으로, 아주 건강한 사람도 허약해지거나 앓을 때가 있음을 이르는 말.
-
반드럽기는 삼 년 묵은 물박달나무 방망이
: 삼 년씩이나 가지고 다루면서 반들반들하게 된 물박달나무 방망이 같다는 뜻으로, 말을 잘 안 듣고 요리조리 피하기만 하는 몹시 약삭빠른 사람을 이르는 말.
-
반드럽기는 삼 년 묵은 물박달나무 방망이
: 반들반들하여 쥐면 미끄러져 나갈 것 같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배꼽에 노송나무 나거든
: 사람이 죽은 뒤 무덤 위에 소나무가 나서 노송이 된다는 뜻으로,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굽은 나무는 길맛가지가 된다
: 세상의 모든 것은 다 쓸데가 있고 버릴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신에 복숭아나무 방망이
: 귀신이 복숭아나무 방망이를 무서워한다는 데서, 무엇이든 그것만 보면 꼼짝 못 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른나무에 꽃이 피랴
: 별로 기대할 것이 없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을 필요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뛸 수 있고 잣 껍질을 배 삼아 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사람이 작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이 말세(末世)가 되면 있을 괴상망측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 불가능한 잔꾀를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곧은 나무는 가운데 선다
: 곧고 좋은 나무는 한가운데 세우게 된다는 뜻으로, 재간 있고 훌륭한 사람을 기둥으로 내세우게 됨을 이르는 말.
-
곧은 나무 쉬[먼저] 꺾인다[찍힌다]
: 겉으로는 강직한 듯한 사람이 의외로 약하여 잘 굴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쓰러져 가는 나무는 아주 쓰러뜨려라
: 잘될 가능성이 없는 일은 빨리 치우고 새 일을 시작하라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 #나무에 관한 163개의 속담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ㄴ
ㅁ
(총 247개)
:
나마, 나만, 나말, 나망, 나매, 나맥, 나머, 나멀, 나멘, 나멩, 나면, 나명, 나모, 나목, 나묘, 나무, 나문, 나물, 나므, 나믈, 나미, 나민, 낙마, 낙막, 낙망, 낙매, 낙맥, 낙면, 낙명, 낙모, 낙목, 난마, 난막, 난만, 난망, 난매, 난맥, 난면, 난명, 난모, 난목, 난무, 난문, 난물, 난민, 날망, 날매, 날메, 날멜, 날명, 날목, 날문, 날물, 날믈, 날밑, 남만, 남매, 남면, 남명, 남모, 남목, 남묘, 남무, 남문, 남물, 남미, 납막, 납매, 납명, 납물, 납미, 납밀, 낫멘, 낫면, 낫몸, 낫물, 낭만, 낭말, 낭못, 낭묘, 낭무, 낮말, 낮물, 낯면, 낱말, 낱뭇, 내마, 내막, 내만, 내말, 내맥, 내면, 내명, 내모, 내목, 내무, 내문, 내물, 내미, 내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