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72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53개 세 글자:631개 네 글자:881개 다섯 글자:438개 여섯 글자 이상:525개 🍬모든 글자: 2,729개

  • 놀이 : (1)아이들 놀이의 하나. 두 아이가 손을 맞잡고 문을 만들면 다른 아이들이 그 문을 드나들면서 노래를 한다.
  • : (1)‘문어’의 방언
  • : (1)전통 직물의 하나로, 능직으로 짠 무늬가 있는 비단.
  • : (1)‘무느다’의 준말.
  • 다다리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닥지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대기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드리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스레기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어 : (1)오스트로ㆍ아시아 어족에 속한 어파(語派). 인도 비하르주 남부의 초타나그푸르고원을 중심으로 인도의 중앙부와 북부에 산재하는 민족의 언어이다.
  • 다 전투 : (1)기원전 45년에 에스파냐 남부의 문다에서 카이사르파와 원로원파가 벌인 전투. 카이사르파가 승리하여 로마의 내전이 끝났다. 그 결과 카이사르가 종신 독재관에 취임하여 로마를 장악하였다.
  • 다조리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족 : (1)인도 동부 초타나그푸르고원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살고 있는 민족. 장두(長頭), 흑갈색 피부, 곱슬머리, 낮은 코, 눈구멍의 융기가 특징이다. 문다어를 따로 사용하지만 글자는 없다.
  • 다지다 : (1)‘문지르다’의 방언
  • 닥문닥 : (1)‘문덕문덕’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닥닥’으로도 적는다.
  • 닥문닥하다 : (1)‘문덕문덕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문닥문닥다’, ‘닥닥다’로도 적는다.
  • 닥하다 : (1)‘문덕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문닥다’, ‘닥다’로도 적는다.
  • : (1)긴 글을 내용에 따라 나눌 때, 하나하나의 짧은 이야기 토막. (2)문인(文人)들의 사회. (3)무늬가 있는 비단.
  • 단 경향 : (1)문단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태도나 사조(思潮).
  • 단계 : (1)글을 짓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
  • 단 금지 : (1)조선 시대에 무늬 있는 비단의 사용을 금한 일.
  • 단론 : (1)문단의 현상을 계통적으로 체계 있게 논한 글.
  • 단류 : (1)온대 남부에서 열대에 걸쳐서 재배되는 감귤류의 한 종류. 문단, 자몽 따위가 이에 속한다.
  • 단 문학 : (1)문단에서 이루어져 그 소재가 일반성이 없고 대중성이 희박하며, 규모가 작고 오직 기교와 형식에만 중점을 두는 예술파에 딸린 문학.
  • 단별 : (1)문단에 따라 나눈 구별.
  • 단 블록 : (1)자신들의 주장이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문단의 몇몇 사람이 모여 하나의 세력을 이룬 집단.
  • 단속 : (1)사고가 없도록 문을 잘 닫아 잠그는 일.
  • 단속하다 : (1)사고가 없도록 문을 잘 닫아 잠그다.
  • 단 시론 : (1)그 당시의 문단 현상을 관찰하여 논하는 글이나 말.
  • 단인 : (1)문단에서 활동하는 사람.
  • 단 주류 : (1)문단의 중심이 되는 세력이나 사조(思潮).
  • 단주의 : (1)문예 창작을 신비한 것으로 보면서, 이름 있는 몇몇 작가의 작품만을 내세워 사회의 문예 활동을 독점하려는 경향을 부정적으로 이르는 말.
  • : (1)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짐.
  • 달문달 : (1)‘는적는적’의 방언
  • 달문달하다 : (1)‘는적는적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문달문달다’로도 적는다. (2)‘는적는적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문달문달다’로도 적는다.
  • 달하다 : (1)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다.
  • : (1)문장이나 문학에 관한 이야기. (2)글로 주고받는 이야기.
  • : (1)글로 하는 회답(回答). (2)물음과 대답. 또는 서로 묻고 대답함.
  • 답가 : (1)한 사람이 선창(先唱)하면 다른 사람들이 노래로 답하는 형식의 고대 가요.
  • 답법 : (1)대화법의 첫 단계. 지식을 갖고 있는 자가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에게 자신이 어떠한 것에 대하여 모르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깨달을 때까지 어려운 단계의 질문에서 쉬운 단계의 질문으로 계속해서 물어 가는 방법이다.
  • 답식 : (1)서로 묻고 대답하는 방식. (2)학습자의 자기 활동을 중요시하여 질문과 대답을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
  • 답실 : (1)독자들이 제기하는 물음에 답을 하여 주는 부서.
  • 답암호 : (1)적군과 아군을 가려내기 위하여 경비 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서로 묻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쓰는 암호.
  • 답조 : (1)묻고 대답하는 말투.
  • 답체 : (1)질문자와 응답자가 등장하여 문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서술된 문학 형식.
  • 답 통신 시스템 : (1)분산된 장소, 멀리 떨어진 곳, 데이터 통신망의 질의나 요청을 처리하여 주는 컴퓨터 통신 시스템. (2)전송 신호들에서 틀린 부호나 일그러진 부호를 수신기가 능동적으로 찾아내어 정확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 시스템.
  • 답통신체계 : (1)전송 신호에서 틀린 부호나 일그러진 부호들을 수신기에서 능동적으로 찾아내어 정확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 체계.
  • 답판 : (1)물음과 대답의 내용을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적어 붙이는 판.
  • 답 풀이 : (1)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설명함. 또는 그런 설명.
  • 답하다 : (1)글로 회답하다. (2)서로 묻고 대답하다.
  • 답형 : (1)묻고 대답하는 형식.
  • 답형체계 : (1)컴퓨터 이용자가 말단에 설치된 초소형 컴퓨터를 가지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중앙의 컴퓨터와 회화하면서 임의로 프로그램을 작성ㆍ실행ㆍ수정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
  • 당무가 : (1)조선 시대에, 문관의 정삼품 통정대부와 무관의 종이품 가선대부를 이르던 말. 모두 당상관으로, 당하관에서 승급하기가 어려웠다.
  • 당호대 : (1)대대로 내려오는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가 서로 상대가 될 만큼 비슷함.
  • 당호대하다 : (1)대대로 내려오는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가 서로 상대가 될 만큼 비슷하다.
  • : (1)축구, 핸드볼, 럭비 따위의 구기 경기에 쓰는 골문의 양쪽 기둥. (2)고려 고종 때의 충신(?~1231). 고종 18년(1231)에 낭장(郎將)으로 서창현(瑞昌縣)에서 몽고군과 싸우다가 포로가 되었으나 굴복하지 않고 군사들에게 항복을 거부하라고 하여 처형되었다. (3)구두시험으로 유학 경서의 뜻을 묻던 물음과 그 대답.
  • 대기 : (1)‘먼지’의 방언
  • 대다 : (1)여기저기 마구 문지르다. (2)‘훔치다’의 방언
  • 대령 : (1)문 열기를 기다림.
  • 대령하다 : (1)문 열기를 기다리다.
  • 대하다 : (1)구두시험으로 유학 경서의 뜻을 묻고 대답하다.
  • 댄스 잼 : (1)1992년부터 매년 미국 미네소타주 캐스 카운티 워커에서 열리는 록 페스티벌. 미네소타주에서 열리는 가장 큰 페스티벌이며, 미국 내에서 열리는 최고의 클래식 록 페스티벌로 알려져 있다.
  • 더이 : (1)‘문둥이’의 방언
  • : (1)제법 큰 덩이로 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는 모양. (2)학문의 덕. (3)문인(文人)이 갖춘 위엄과 덕망. (4)‘문득’의 방언 (5)중국 당나라 희종(僖宗) 때의 연호(888~889).
  • 덕곡 : (1)조선 태조 2년(1393)에 정도전이 지은 악장(樂章). 조선 창업을 송축한 것으로 태조의 문덕을 찬양하였다. 모두 4장으로 되어 있으며, ≪악학궤범≫에 실려 있다. (2)정재(呈才) 때에, 춤에 부르던 사(詞)의 이름. 여악(女樂)으로, 우리나라의 고유한 풍류를 지니고 있으며 군신이 연향(宴享)할 때에 썼다.
  • 덕군 : (1)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평안남도에 속하여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안주군의 일부 지역을 합해서 신설하였다.
  • 덕문덕 : (1)제법 큰 덩이로 자꾸 뚝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는 모양.
  • 덕문덕하다 : (1)제법 큰 덩이로 자꾸 뚝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다.
  • 덕식모기르기 : (1)벼의 모를 기르는 방법의 하나. 물을 대고 모판을 고른 다음 물을 빼고 볍씨를 뿌리며 모판에 비닐 막과 같이 얇은 막을 씌워 기르다가 흔히 겉껍질이 떨어지는 때 물을 대어 가꾼다.
  • 덕 왕후 : (1)고려 성종의 비(?~?). 성은 유(劉). 충주(忠州) 출생으로 광종의 딸이다. 홍덕원군(弘德院君) 왕규(王圭)와 혼인하여 1녀를 낳았으며, 이 딸은 선정 왕후가 되었다. 홍덕원군이 죽자 성종과 다시 혼인하였다.
  • 덕전 : (1)고려 초기에, 임금이 학사들과 경서를 강론하던 곳. 뒤에 수문전(修文殿)으로 고쳤다.
  • 덕지무 : (1)고려 시대에, 종묘의 초헌(初獻) 때에 추던 문무(文舞).
  • 덕하다 : (1)제법 큰 덩이로 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다.
  • 던지기 : (1)‘문투’를 다듬은 말.
  • : (1)‘뭍’의 방언 (2)제법 큰 덩이로 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는 모양. ⇒규범 표기는 ‘문덕’이다.
  • 덩농사 : (1)‘밭농사’의 방언
  • 데기 : (1)‘먼지’의 방언
  • 데기다 : (1)‘문대다’의 방언
  • 데꺼리 : (1)‘문젯거리’의 방언
  • 데다 : (1)‘문대다’의 방언
  • 데방 : (1)문지방 위가 붙게 되는 두 문설주 사이에 가로 끼워 있는 나무
  • 데비 : (1)‘먼지’의 방언
  • 데이 : (1)‘문둥이’의 방언
  • 데이벵 : (1)‘문둥병’의 방언
  • 뎅이 : (1)‘문둥이’의 방언
  • 뎌귀 : (1)‘돌쩌귀’의 방언
  • 뎔귀 : (1)‘돌쩌귀’의 방언
  • : (1)전라남도 영암군 삼호면 나불리에 속하여 있던 섬. 1981년에 영산강 하굿둑 준공으로 길이 4,351미터의 대방조제와 동양 최대의 호수가 만들어졌다. 면적은 0.02㎢. (2)학문의 길. (3)문인(文人)이 닦아야 할 도리. (4)이름난 학자 밑에서 배우는 제자. (5)신도를 이르는 말. (6)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에 속하는 섬. 면적은 0.94㎢. (7)도를 들음. 또는 도를 듣고 깨달음.
  • 도그 : (1)미국의 작곡가ㆍ음악가(1916~1999). 지하철이나 거리에서 나는 소리, 무적(霧笛) 따위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하였다.
  • 도르래 : (1)창틀에서 창이 좌우로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파여 있는 홈과 그 위를 구르는 바퀴.
  • 도하다 : (1)도를 듣다. 또는 도를 듣고 깨닫다.
  • 도합일 : (1)도와 문이 모여 하나로 합치되는 것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 때의 작가 왕우칭(王禹偁)과 고문가 유개가 내세운 문학 운동 방법이다. 궁극적으로는 도를 목적으로 하고 문은 도를 위한 수단이 되는데, 문과 도가 서로 하나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 (1)백제의 십육 관등 가운데 열두째 등급. 고이왕 27년(260)에 정한 것으로, 무독(武督)과 함께 문무(文武)의 구별을 나타내는 우리나라 최초의 관등이었다. 푸른빛의 공복(公服)에 흰 띠를 둘렀다.
  • : (1)참복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40cm 정도이며, 갈색 바탕에 파란빛을 띤 백색의 불규칙한 구름무늬가 있다. 난소와 간에 맹독이 있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매리복’이다.
  • 돋이 : (1)돋을무늬로 짠 비단.
  • 돋히칠 : (1)면에 도드라진 무늬가 생기도록 하는 칠.
  • 돌쩌귀 : (1)문짝을 문설주에 달아 여닫는 데 쓰는 두 개의 쇠붙이. 암짝은 문설주에, 수짝은 문짝에 박아 맞추어 꽂는다.
  • 돌쩌귀에 불 나겠다 : (1)문을 자주 여닫음을 이르는 말. (2)찾아오는 사람이 많거나 사람이 계속 쉴 새 없이 드나듦을 이르는 말.
  • : (1)중국 북송의 문인ㆍ화가(1018~1079). 자는 여가(與可). 호는 금강도인ㆍ소소 선생ㆍ석실 선생. 지호주(知湖州)로 임명되었으나 부임 전에 죽어서 문호주(文湖州)라고 불리었다. 산수ㆍ화조(花鳥)를 잘 그렸고, 묵죽(墨竹)에 뛰어났다. (2)서당에서 함께 글공부하는 아이. (3)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50cm이고 뿌리는 짧고 굵으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 또는 선상 피침 모양으로 부추의 잎과 비슷하다. 5~6월에 담자색의 작은 꽃이 총상 화서로 잎 사이에서 나온 가는 꽃줄기 끝에 밀착하여 피고 열매는 검푸른 장과(漿果)로 익는다. 덩이뿌리는 약재로 쓴다. 산지(山地)의 나무 그늘에 나는데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등지에 분포한다.
  • 동개 : (1)대문의 아래 돌쩌귀나 문장부 따위를 꽂아 받치는 문둔테의 구멍.
1 2 4 5 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문으로 끝나는 단어 (2,626개) : 다자문, 보수계 신문, 새살문, 전붕판문, 판정 의문, 비터 문, 귀신문, 속아문, 무전문, 고팡문, 작은어문, 박학다문, 접형골 천문, 백화문, 사생문, 비장문, 서리문, 바깥소문, 권왕문, 초화문, 구산선문, 영지문, 운학문, 밭삼문, 부귀다남문, 벽사문, 안 부정문, 싸문, 목적부문, 에뜨왈개선문 ...
문으로 끝나는 단어는 2,62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문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72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