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89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92개 세 글자:299개 네 글자:250개 다섯 글자:89개 여섯 글자 이상:68개 🤟모든 글자: 899개

  • 생우 : (1)‘왕새우’의 방언
  • 생일정 : (1)믿음을 얻어 극락왕생을 할 것이 틀림없음.
  • 생정토론 : (1)인도의 승려 바수반두가 지은 염불 행자(念佛行者)의 수행 방법인 오념문의 행(行)을 논한 책. 531년에 보리 유지(菩提流支)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스물넷의 송(頌)과 그 송의 뜻을 해석한 장행석(長行釋)으로 된 단편이지만 불교 여러 종파 일반에 큰 영향을 준 책이다.
  • 생하다 : (1)목숨이 다하여 다른 세계에 가서 태어나다.
  • 샤 조약 : (1)1844년에 미국과 청나라가 마카오 교외의 왕샤에서 맺은 최초의 통상 조약. 12년 후에 조약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고 하여 뒷날 수약(修約) 교섭이 있었다.
  • : (1)‘제안공’의 본명.
  • : (1)이미 많은 세월이 지난 오래전 때. (2)‘바위’의 방언
  • 석작 : (1)중국 명나라 때의 정치가(1534~1614). 자는 원어(元馭). 호는 형석(荊石). 1562년에 진사에 급제하여 벼슬에 올랐고 1577년에 장거정과의 불화로 벼슬을 떠났다가 1584년에 다시 예부 상서와 문연도 대학사(文淵圖大學士)에 재수되어 이후 벼슬이 수보(首辅)에 이르렀다.
  • 선겸 : (1)중국 청나라 말기의 학자(1842~1917). 자는 이우(益吾). 호는 쿠이위안(葵園老人). 학관(學官)을 지냈으며, 저서에 ≪속황청경해(續皇淸經解)≫, ≪십조동화록(十朝東華錄)≫, ≪순자집해(荀子集解)≫가 있다. ⇒규범 표기는 ‘왕셴첸’이다.
  • 선산 : (1)‘왕부지’의 다른 이름. 만년에 헝양(衡陽)의 석선산(石船山)에서 살았다고 하여 이르는 말이다.
  • 선지 : (1)중국 당나라 말의 황소의 난을 일으킨 주동자(?~878). 소금 밀매상이었다가 수탈과 기근이 심하여지자 반란을 일으켰다.
  • : (1)왕궁이 있는 도시. (2)왕도의 성. (3)한창 성함.
  • 성기 : (1)한창 성한 시기.
  • 성하다 : (1)한창 성하다.
  • 성히 : (1)한창 성하게.
  • : (1)나라에 바치던 조세. (2)지난 지 꽤 오래된 시기를 막연히 이르는 말. (3)지나간 해.
  • 세손 : (1)왕세자의 맏아들.
  • 세손비 : (1)왕세손의 아내.
  • 세자 : (1)제후국에서, 임금의 자리를 이을 임금의 아들.
  • 세자비 : (1)왕세자의 아내. ⇒규범 표기는 ‘왕세자빈’이다.
  • 세자빈 : (1)왕세자의 아내.
  • 세자책례도감의궤 : (1)조선 시대에, 순종이 왕세자로 책봉될 때의 의식에 대하여 자세히 기록한 책. 1875년에 간행되었으며, 2011년에 일본 궁내청이 우리나라에 반환하였다.
  • 세자 탄강 진하도 병풍 : (1)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병풍. 고종 11년(1874년)에 왕세자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하여 거행한 진하례(陳賀禮) 의식 광경을 그린 것이다. 좌우의 양쪽 끝 폭에는 제작에 참여한 관원들의 관직과 성명이 적혀 있다. 당시 의례와 풍속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보물 제1443호.
  • 세자 탄강 진하도 십첩병 : (1)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병풍. 고종 11년(1874년)에 왕세자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하여 거행한 진하례(陳賀禮) 의식 광경을 그린 것이다. 좌우의 양쪽 끝 폭에는 제작에 참여한 관원들의 관직과 성명이 적혀 있다. 당시 의례와 풍속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왕세자 탄강 진하도 병풍’이다.
  • 세정 : (1)중국 명나라의 문학자(1526~1590). 자는 원미(元美). 호는 엄주산인(弇州山人). 고문 복고 운동의 중심인물로 격조를 소중히 여기는 의고주의를 주장하였다. 저서에 ≪예원치언(藝苑巵言≫, 소설 <금병매>, 희곡 <명봉기(鳴鳳記)>가 있다.
  • 세제 : (1)왕위를 이어받을 왕의 아우.
  • 세줄나비 : (1)네발나빗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8cm 정도이며 검은 바탕에 톱날 모양의 흰 얼룩무늬가 있다. 애벌레는 매화나무, 살구나무 따위의 해충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세충 : (1)중국 수나라 말기의 군웅(?~621). 자는 행만(行滿). 본성은 지(支). 원래 서역 출신으로 수나라 양제의 신임을 얻어 여러 차례 반란군을 진압하였고, 618년에 양제가 살해되자 황손을 옹립하였으나 이듬해 황제를 폐위하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정(鄭)나라를 세웠다. 621년 이세민에게 패하여 살해되었다.
  • 셴첸 : (1)중국 청나라 말기의 학자(1842~1917). 자는 이우(益吾). 호는 쿠이위안(葵園老人). 학관(學官)을 지냈으며, 저서에 ≪속황청경해(續皇淸經解)≫, ≪십조동화록(十朝東華錄)≫, ≪순자집해(荀子集解)≫가 있다.
  • : (1)중국 북송 때의 무장(1030~1081). 자는 자순(子純). 진사에 올라 지방관을 역임한 후 섬서 지방을 여행하여 변방의 사정에 밝았다. 1068년에 서하 평정 삼책(西夏平政三策)을 상주하여 신종의 신임을 얻고 서방 경략에 힘써 그 공으로 벼슬이 친문전(親文殿) 대학사에 이르렀다.
  • 소군 : (1)중국 전한 원제(元帝)의 후궁(?~?). 이름은 장(嬙). 소군은 자. 기원전 33년 흉노와의 화친 정책으로 흉노의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와 정략결혼을 하였으나 자살하였다. 후세의 많은 문학 작품에 애화(哀話)로 윤색되었다.
  • 소군원가 : (1)조선 후기의 가사. 중국 전한 원제(元帝)의 후궁 왕소군의 고사(古事)를 소재로 한 내용으로, 모두 146구로 되어 있으며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과 ≪교주가곡집≫에 실려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소금 : (1)알이 거칠고 굵은 소금.
  • 소금구이 : (1)생선이나 고기 따위에 왕소금을 뿌려서 구움. 또는 그렇게 구운 고기.
  • 소새 : (1)‘솔새’의 방언
  • 소앵이 : (1)‘엉겅퀴’의 방언
  • 소왕이 : (1)‘엉겅퀴’의 방언
  • 소왱이 : (1)‘엉겅퀴’의 방언
  • 소파 : (1)중국 북송 때의 반란 지도자(?~994). 993년에 차남인 이순(李順)과 함께 균빈부(均貧富)를 주장하며 청성(靑城)현에서 봉기하여 균산(均産) 반란을 일으켰으며, 부호의 재물을 빈민에게 나누어 주고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한 달 남짓 만에 수만의 반란군을 모았으나 이듬해 전사하였다.
  • : (1)임금의 손자 또는 후손. (2)‘엄지손’의 방언
  • 손가 : (1)중국 춘추 시대 위(衛)나라의 정치가(?~?). 논어에 나오는 인물로 공자가 위나라에 왔을 때 영공(靈公)보다 자신에게 잘 보일 것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 손가락 : (1)‘엄지손가락’의 방언
  • 손교부 : (1)왕손을 기르고 가르치던 벼슬.
  • 손님 : (1)‘천연두’의 방언
  • 솔나무 : (1)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 높이는 20미터 정도이며, 5월에 가지 끝에 노란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다음 해 10월에 익는다. 재목은 건축재, 도구재, 땔감으로 쓰고 나무껍질과 꽃가루는 식용한다. 주로 해변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남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송어 : (1)연어목의 바닷물고기. 몸무게는 보통 7.5~8.3kg인데 큰 것은 17kg까지 나간다. 머리와 등 쪽,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검은색의 둥근 점들이 흩어져 있다. 원산 이북에 분포한다.
  • 송이버섯 : (1)송이과의 버섯. 갓은 지름이 9.5~20cm인 반구형이며, 바깥으로 갈수록 편평해진다. 조직이 비교적 단단하고 살은 흰색이다. 다발로 자라는데, 다발의 직경이 1미터가 넘는 경우도 있다. 식용되며, 주로 여름에 유기물이 풍부한 밭이나 낙엽이 많은 숲에서 난다. 아시아,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 쇠등에 : (1)등엣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1~3.3cm이며 검은빛과 누런빛의 가로 얼룩무늬가 있다. 가슴등에는 다섯 개의 누런 잿빛 세로줄이 있고 더듬이는 황적색, 다리는 검은색 또는 검은 갈색이다. 소나 말의 피를 빨아 먹고 사는데 한국, 일본,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 : (1)진한 염산과 진한 질산을 3 대 1 정도의 비율로 혼합한 액체. 강한 산화제로, 산에 잘 녹지 않는 금과 백금 따위를 녹일 수 있다. (2)부당하게 잡아 가둠. (3)‘상안공’의 본명. (4)‘부여공’의 본명.
  • 수수 : (1)‘수수’의 방언
  • 수염패랭이꽃 : (1)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가 30~50cm이고 네모지며, 잎은 마주나고 넓은 피침 모양이다. 6~8월에 붉은색 바탕에 짙은 무늬가 있는 꽃이 원줄기 끝에서 원통형으로 뭉쳐 피며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관상용이고 한국, 유럽,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수인 : (1)‘왕양명’의 본명.
  • 수하다 : (1)부당하게 잡아 가두다.
  • : (1)중국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학자(195?~256). 자는 자옹(子雍). 정현(鄭玄)의 학설에 반대하고 많은 경서의 주석서를 만들었다. 저서에 ≪공자가어≫가 있다.
  • 슈난 : (1)중국 청나라 말과 중화민국 시대의 정치가ㆍ학자(1851~1936). 자는 진경(晉卿). 1886년 진사가 되어 각지의 지방관을 지냈고, 여러 의원직을 거쳐 1920년에는 청사관과 국사관의 총재로 임명되었다. 저서로 ≪도려총각(陶廬叢刻)≫ 따위가 있다.
  • 승기 : (1)발해의 사신(?~815?). 814년 일본에 판관으로 대사 왕효겸과 동행하였고, 일본으로부터 정오위하(正五位下)를 받았다. 일본에 있을 때 죽었는데 원인은 알 수 없다.
  • : (1)이미 많은 세월이 지난 오래전 때.
  • 시랑하다 : (1)‘앙상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왕시랑다’로도 적는다.
  • 시민 : (1)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문인ㆍ화가(1592~1680). 자는 손지(遜之). 호는 연객(烟客)ㆍ서려노인(西廬老人). 사왕오운의 한 사람으로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왕감(王鑑)과 같이 누동파(婁東派)를 이루었다. 저서에 ≪서려제발(西廬題跋)≫, ≪왕봉상서화제발(王奉常書畫題跋)≫이 있다.
  • 식렴 : (1)고려 초기의 공신(?~949). 태조의 종제(從弟)로 왕규의 난을 평정하였다.
  • : (1)마음이 올곧지 아니하여 좀처럼 건드리기 어려운 사람. (2)임금의 신하. (3)무당이 모시는 신의 하나. ‘수로왕’을 신격화하여 이르는 말이다. (4)남에게 보내는 통신이나 편지. (5)왕복 엽서에서 보내는 부분.
  • 신복 : (1)발해의 벼슬아치(?~?). 자수대부(紫綏大夫) 행정당성좌윤(行政堂省左允) 개국남(開國男)으로, 762년 일본에 대사로 파견되어 일본으로부터 정삼위(正三位)를 받았다.
  • : (1)임금의 집안.
  • 실림 : (1)왕실 소유림.
  • 실보 : (1)중국 원나라의 극작가(?~?). 이름은 덕신(德信). 실보는 자. 애정 심리 묘사에 뛰어나고 필치가 청려(淸麗)하고 낭만이 넘치는 최고의 원곡(元曲) 작가이다. 작품에 <서상기>, <여춘당(麗春堂)>, <파요기(破窰記)>가 있다.
  • 실 헌장 : (1)왕실에서 어떠한 사실에 대하여 이상으로서 규정한 원칙을 선언한 규범.
  • 심기 : (1)중국 북송 초기의 무장(925~974). 자는 중보(仲寶). 처음 후주(後周)에서 전공을 세워 후(侯)의 작과 목주 방어사(睦州防御使) 등의 직을 맡았다. 송나라 건국 후 969년에 태원 전투에 종군하였고, 이후 벼슬이 동평장사에 이르렀다.
  • 싱아 : (1)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고 높이가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호장근보다 크고 뒷면에 흰빛이 돈다. 암수딴그루로 8~9월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줄기는 이뇨제, 통경제로 쓰이고 한국의 울릉도와 일본, 러시아의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 쌀새 : (1)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50cm이며 6~7월에 꽃이 피는데 5~15개의 적자색, 백록색의 작은 이삭이 달린다. 습한 산지(山地)의 풀밭에서 자란다.
  • 쌀좀바구미 : (1)쌀좀바구밋과의 곤충. 성충은 몸이 약간 밋밋하며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띤다. 삼림에서 나무좀류를 잡아먹고 산다.
  • 씀배 : (1)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0cm 정도이며 잎은 화살촉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9월에 노란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줄기 끝에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산지(山地)에서 나는데 경기 광릉과 제주에 분포한다.
  • 씨용손 : (1)왕씨의 후손을 이르는 말. 고려 태조 왕건의 4대조가 용왕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 아치 : (1)‘방아깨비’의 방언
  • 안석 : (1)중국 북송의 정치가ㆍ학자(1021~1086). 자는 개보(介甫). 호는 반산(半山). 부국강병을 위한 신법(新法)을 제정하여 실시하였다.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저서에 ≪주관신의(周官信義)≫, ≪임천집≫이 있다.
  • : (1)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찾아가서 뵘.
  • 알하다 : (1)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찾아가서 뵈다.
  • 애기 : (1)‘어린아이’의 방언
  • : (1)‘왕약하다’의 어근.
  • 약수 : (1)‘왕연’의 성(姓)과 자(字)를 함께 이르는 말.
  • 약하다 : (1)몸이나 신체 따위가 약하다.
  • : (1)바다가 끝이 없이 넓음. (2)미루어 헤아리기 어려움.
  • 양노락 : (1)‘초당 사걸’을 달리 이르는 말. 왕발, 양형, 노조린, 낙빈왕의 성(姓)을 딴 것이다.
  • 양명 : (1)중국 명나라의 유학자(1472~1528?). 이름은 수인(守仁). 자는 백안(伯安). 양명은 호. 양명학의 주창자이다.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과 심즉이설(心卽理說) 및 치양지설(致良知說)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왕문성전서(王文成全書)≫, ≪전습록≫이 있다.
  • 양하다 : (1)바다가 끝이 없이 넓다. (2)미루어 헤아리기 어렵다.
  • : (1)중국 칭하이(靑海)의 특산물인, 비늘이 없는 물고기.
  • : (1)임금의 말.
  • 언니 : (1)여자들끼리 모여 있는 무리에서 맏이의 노릇을 하는 사람.
  • 얽이 : (1)굵은 새끼로 친 얽이. (2)볼품없게 마구 삼은 짚신.
  • 얽이짚신 : (1)볼품없게 마구 삼은 짚신.
  • : (1)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대업. 또는 그런 업적.
  • : (1)‘방아깨비’의 방언
  • 여드름 : (1)크기가 매우 큰 여드름.
  • 여어 : (1)뱅엇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12cm 정도로 가늘고 길며 투명하다. 벚꽃이 만발하는 4~5월에 큰 강의 어귀에서 산란하고 부화한 새끼 고기는 바다로 내려가서 해를 지내며 산란 뒤 어미는 바로 죽는다. 가공하여 건포를 만들며 한국의 압록강ㆍ대동강ㆍ금강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원나라의 화가(?~?). 자는 약수(若水). 호는 담헌(澹軒). 조맹부의 제자로 철저한 복고주의자였으며, 화조화(花鳥畫)에 뛰어났고 명나라의 화조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2)바다나 호수 따위가 깊고 넓은 모양. (3)눈에 눈물이 쏟아질 듯이 가득한 모양. (4)‘왕연하다’의 어근.
  • 연덕 : (1)중국 북송 때의 사신(939~1006). 976년에 태종이 제위에 오르자 공봉관(供奉官)이 되었고, 981년에 태종의 명을 받아 고창국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고창행기(高昌行記)≫를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 연하다 : (1)바다나 호수 따위가 깊고 넓다. (2)눈에 눈물이 쏟아질 듯이 가득하다. (3)빛이 매우 아름답다. (4)사물이 매우 왕성하다.
  • 연히 : (1)빛이 매우 아름답게. (2)사물이 매우 왕성하게. (3)바다나 호수 따위가 깊고 넓게. (4)눈에 눈물이 쏟아질 듯이 가득하게.
  • 염손 : (1)중국 청나라의 훈고학자(1744~1832). 자는 회조(懷祖). 호는 석구(石臞). 음훈(音訓)과 의훈(義訓)의 두 가지 방법을 구사하여 고전의 독법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저서에 ≪광아소증(廣雅疏證)≫, ≪독서잡지(讀書雜誌)≫가 있다.
  • : (1)중국 송나라 때의 무장(947~1016). 어려서부터 활쏘기를 잘해 사람들이 왕경궁(王硬弓)이라 하였다. 성격이 경솔하여 병사의 노고를 위로하거나 하지 않았다. 북방을 정벌하러 갈때 군량을 잃어 균주(均州)로 유배를 갔다.
  • 오색나비 : (1)네발나빗과의 나비. 편 날개의 길이는 7.5~10.5cm이며 날개 뒷면은 수컷이 흰 은빛, 암컷이 녹황색인데 앞날개의 안쪽은 검은 갈색에 흰 얼룩무늬가 있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3 4 5 7 8 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왕으로 끝나는 단어 (572개) : 소지왕, 십선지왕, 암기왕, 장엄왕, 홀드왕, 투수왕, 오대 명왕, 김겸왕, 양헌왕, 친왕, 태조왕, 숙지왕, 왕중왕, 산상왕, 경덕왕, 흥덕왕, 미왕, 숙친왕, 진왕, 이덕왕, 영양왕, 좌왕우왕, 지미왕, 대행대왕, 혜공왕, 비유왕, 종자이왕, 헌강왕, 덩크 슛 왕, 엉큼대왕 ...
왕으로 끝나는 단어는 57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왕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89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