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89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92개 세 글자:299개 네 글자:250개 다섯 글자:89개 여섯 글자 이상:68개 🍊모든 글자: 899개

  • 침파리 : (1)침파릿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4~1.8cm이다. 머리와 가슴은 노란색, 배는 검은 갈색에 등황색의 긴 털이 많고 각 배마디의 뒤쪽에는 검고 빳빳한 털이 줄지어 나 있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현. 주민의 약 3분의 1이 조선족이며, 삼림이 풍부하여 임업이 활발하다. 일제 강점기에 항일 독립 전쟁의 근거지였다.
  • 카이윈 : (1)중국 청나라의 학자ㆍ문인(1832~1916). 자는 임추(壬秋). 호는 상기(湘綺). 하휴(何休)의 학설을 계승하여 공양학(公羊學)을 연구하였으며, 변려문에 뛰어났다. 저서에 ≪상기루시문집≫, ≪상군지(湘軍志)≫, ≪춘추공양전전(春秋公羊傳箋)≫이 있다.
  • : (1)알이 굵은 콩.
  • : (1)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문인ㆍ서화가(1592~1652). 자는 각사(覺斯). 호는 숭초(崇樵). 글씨 획이 간소하고 활달한 연면체의 한 양식을 수립하였다. 저서에 ≪의산원집(擬山園集)≫이 있다.
  • : (1)큰 덩어리의 탄. (2)발해의 사신(?~?). 764년경 당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전당시≫ 권245에 <송왕탄발해사부이태수행영(送王誕渤海使赴李太守行營)>이라는 시가 전해진다.
  • : (1)조선 후기의 시인(?~?). 자는 보수(步廋). 호는 수리(數里). 시문에 뛰어나 윤행임의 추천으로 임금 앞에서 시를 짓기도 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조령별장에 이르렀다.
  • 태극나방 : (1)밤나방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10cm 정도이며 앞날개는 검은 갈색에 큰 태극 무늬가 있고 그 아래쪽은 약간 남빛을 띤다.
  • 태사 : (1)서른두 가닥의 실을 드려서 만든 굵은 끈목.
  • 태손 : (1)‘흙손’의 방언
  • 태자 : (1)자주국에서, 임금의 자리를 이을 임금의 아들.
  • 태자궁 : (1)조선 후기에, 왕태자의 궁사(宮事)와 시종(侍從) 및 시강(侍講)을 맡아보던 관청. 고종 33년(1896)에 왕태자시강원으로 고쳤다.
  • 태자궁시강원 : (1)조선 후기에, 궁내부에 속하여 왕태자의 궁사(宮事) 및 시종(侍從)과 시강(侍講)을 맡아보던 관청.
  • 태자비 : (1)왕태자의 아내.
  • 태자비궁 : (1)조선 후기에, 궁내부에 속하여 왕태자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광무 1년(1897)에 황태자비궁으로 고쳤다.
  • 태자시강원 : (1)조선 후기에, 궁내부에 속하여 왕태자의 궁사(宮事) 및 시종(侍從)과 시강(侍講)을 맡아보던 관청. 고종 33년(1896)에 왕태자궁을 고친 것으로 뒤에 황태자시강원으로 고쳤다.
  • 태후궁 : (1)임금의 어머니가 살던 곳.
  • : (1)임금의 은택.
  • 탱이 : (1)‘말벌’의 방언
  • 털기 : (1)‘왕잠자리’의 방언
  • 텡이 : (1)‘땅벌’의 방언
  • : (1)임금에게 소속된 영토.
  • 토 사상 : (1)모든 토지는 왕의 땅이라고 하는, 고대의 토지에 대한 사상. 중국 주(周)나라의 토지 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천하의 토지는 왕의 토지가 아닌 것이 없고, 천하의 신하는 왕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다’는 ≪시경(詩經)≫의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 토 왕신 사상 : (1)전국의 모든 토지는 왕의 땅이며 모든 백성은 왕의 신하라는 전근대적 사상.
  • 토칼 : (1)‘흙손’의 방언
  • : (1)중국 수나라의 유학자(584~617). 자는 중엄(仲淹).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일에 힘썼으며 저서에 ≪문중자(文中子)≫가 있다. (2)왕위를 계승하는 정통.
  • 통이 : (1)‘말벌’의 방언 (2)‘말벌’의 옛말.
  • 투칼 : (1)‘흙손’의 방언
  • 퉁이 : (1)‘말벌’의 방언
  • 튕이 : (1)‘땅벌’의 방언
  • 티이 : (1)‘왕벌’의 방언
  • 팅이 : (1)‘땅벌’의 방언 (2)‘말벌’의 방언
  • : (1)굵은 파.
  • 파리 : (1)‘쉬파리’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파리매 : (1)파리맷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2.8cm이며 누런 갈색 또는 붉은 갈색이다. 가슴등판에는 검은 갈색의 굵은 세로띠와 두 쌍의 세로무늬가 있다. 날개는 연한 황갈색, 더듬이는 노란색이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 파초 : (1)파초과의 교목. 잎은 파초와 비슷하고 길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줄기 끝부분에 두 줄로 많이 붙어 있어 큰 부채 모양을 이룬다. 잎자루 아래에 빗물이 저장되는데 그 물로 길 가던 나그네들이 갈증을 풀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마다가스카르섬의 해발 1,500미터의 산지(山地)에서 자란다.
  • : (1)‘앙판’의 방언
  • 팔이 : (1)무당들의 은어로, 갓이나 모자를 쓴 사람을 이르는 말.
  • 팥배나무 :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4~5월에 흰 꽃이 방상(房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이과(梨果)로 10월에 익는다. 목재는 기구재나 땔나무로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 (1)임금이 종친이나 공신에게 논, 밭, 산판, 노비를 주거나 공이 있는 향리에게 부역을 면제하여 줄 때에 내리던 증명서. (2)왕도와 패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3)왕자(王者)와 패자(霸者)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특정한 운동선수나 연예인 등을 매우 좋아하는 사람.
  • 팽나무 : (1)느릅나뭇과의 낙엽 소교목.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 또는 원형이다. 4~5월에 꽃이 피는데 수꽃은 취산(聚繖) 화서로 암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둥근 핵과(核果)로 10월에 검게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나무는 땔감으로 쓰인다. 강원, 경북, 중부 이북에 분포한다.
  • : (1)대중가요 작사가(1908~1940). 본명은 이응호(李應浩). 자는 광희(光熙). 경상북도 영천 출생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유행했던 <황성의 적(황성 옛터)>의 작사가이며, <대한 팔경>, <비단 장사 왕 서방> 외에 많은 유행가 가사를 남겼다. 고향인 영천에 ‘황성 옛터 기념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왕평 가요제’가 해마다 열리고 있다.
  • 평 가요제 : (1)1996년부터 매년 경상북도 영천에서 열리는 가요제. 일제 강점기의 대중가요 작사가 왕평을 기리는 대중가요 경연이다.
  • : (1)중국 한나라 때의 학자(?~B.C.61). 사부(辭賦)를 잘 지어 선제(宣帝) 때 왕양(王襄)의 추천으로 관직에 올랐다.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올랐다. 작품으로 <통소부(洞簫賦)>와 <감천궁송(甘泉宮頌)>등 10여 편이 전하는데 초사(楚辭)의 영향을 받았다.
  • 포아풀 : (1)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80cm이고 뿌리에서 뭉쳐나며 잎은 좁고 길다. 6~7월에 수상화가 원추(圓錐) 화서로 피며, 짐승의 먹이로 쓴다. 풀밭에서 자라는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 풀이 : (1)진도 씻김굿의 한 절차. 시왕(十王)의 내력을 말하고 죽은 이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 줄 것을 축원한다.
  • 풍뎅이 : (1)검정풍뎅잇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6~3cm이며, 붉은 갈색 또는 검은 갈색에 노란색이나 잿빛 백색 털이 많으며 광택이 있다. 앞등판은 폭이 넓고 양쪽 가장자리에 테두리가 있으며 등은 볼록하고 점무늬가 많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풍뎅이파리 : (1)기생파릿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9~12mm 정도이며 붉은빛을 띤 황색이다. 배의 등 쪽 가운데에는 한 개의 검은색 세로줄이 있고 가슴, 등은 노란색 가루로 덮여 있는데 네 개의 검은색 세로줄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피천 : (1)경상북도 영양군에서 발원하여 울진군을 지나 동해로 흐르는 강. 길이는 60.95km.
  • 피천 계곡 : (1)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에 있는 계곡. 협곡을 흐르는 깨끗하고 맑은 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며, 생태 탐방로가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 : (1)중국 위나라의 학자(226~249). 자는 보사(輔嗣). 위진 시대 노장학(老莊學)의 시조로 불린다. 저서에 ≪노자주(老子注)≫, ≪주역주(周易注)≫가 있다. (2)‘상당후’의 본명.
  • 하늘가재 : (1)사슴벌렛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3.5~6cm이며, 검은색에 배는 조금 갈색을 띠고 뒷가슴 양옆에는 노란 털이 있다. 수컷은 굵고 큰턱이 뿔처럼 나왔는데 안으로 굽었고, 그 끝에 한 개의 긴 돌기와 작은 이가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하늘소 : (1)하늘솟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40~53mm이며, 칠흑색 또는 검은 갈색에 누런 털이 많이 나 있고 주둥이는 삐죽하며 더듬이는 길다. 애벌레는 밤나무, 굴밤나무 따위의 해충이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하르방 : (1)‘증조부’의 방언
  • : (1)중국 명나라 때에, 왕양명(王陽明)이 주창했던 새로운 유교 학설. 마음 밖에 사리(事理)가 따로 없으며 사람마다 양지(良知)를 타고났으나 물욕이 있는 탓에 성인과 범인(凡人)이 구별되는 것이므로 물욕의 장애를 물리칠 때 비로소 지행합일이 된다고 하였다.
  • 학파 : (1)양명학을 연구하는 학파. 우리나라에서는 이황의 비판으로 따르는 사람이 드물다가 영조 때 정제두가 평생 이 학문을 연구하였고 그 뒤 이광사, 이광려(李匡呂) 등이 계승하였다.
  • : (1)중국 당나라 초기의 시인(687~726). 자는 자우(子羽). 웅장하고 화려한 작풍의 시를 지었다. 작품에 〈양주사〉가 있다.
  • 할망 : (1)‘증조모’의 방언
  • : (1)비행기나 배 따위가 목적지로 향하여 운항함.
  • 항하다 : (1)비행기나 배 따위가 목적지로 향하여 운항하다.
  • 해국 : (1)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인데 두껍다. 7~9월에 자주색의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수과(廋果)로 11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바닷가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중부 이남, 일본에 분포한다.
  • 헌지 : (1)중국 진(晉)나라의 서예가(344~388). 자는 자경(子敬). 예서(隷書),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작품에 〈낙신부십삼행(洛神賦十三行)〉, 〈지황탕첩(地黃湯帖)〉, 〈중추첩(中秋帖)〉 따위가 있다.
  • 현책 : (1)중국 당나라의 인도 사절(使節)(?~?). 인도를 세 번 다녀와 인도 사정을 중국에 알렸다.
  • 현호색 : (1)‘들현호색’의 북한어.
  • : (1)고조선의 장군(?~?). 한 무제의 군대가 침입해 왔을 때에 노인(路人)ㆍ참(參)ㆍ한음(韓陰) 등과 함께 항복하였다.
  • : (1)왕이라는 칭호.
  • 호장 : (1)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고 높이가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호장근보다 크고 뒷면에 흰빛이 돈다. 암수딴그루로 8~9월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줄기는 이뇨제, 통경제로 쓰이고 한국의 울릉도와 일본, 러시아의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 호장근 : (1)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고 높이가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호장근보다 크고 뒷면에 흰빛이 돈다. 암수딴그루로 8~9월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줄기는 이뇨제, 통경제로 쓰이고 한국의 울릉도와 일본, 러시아의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 : (1)도리를 어기어 현혹시킴.
  • 혹하다 : (1)도리를 어기어 현혹시키다.
  • : (1)유럽 군주의 권력과 위엄을 나타내는, 손에 드는 상징물. 상아나 금속으로 만들며, 꼭대기에는 화려한 장식이 붙어 있다. 길이는 1미터 이상이다.
  • 홍서 : (1)중국 청나라 때의 정치가이자 학자(1645~1723). 자는 계우(季友). 호는 엄제(儼齊). 1673년 진사가 되어 벼슬이 호부 상서에 이르렀고 ≪명사(明史)≫ 편찬의 총재관에 임명되어 열전 부분을 맡았으며, 실각하자 원고를 가지고 고향에 내려가 1723년 ≪명사고(明史稿)≫ 310권을 완성하여 진상하였다.
  • : (1)임금의 덕행으로 감화하게 함. 또는 그런 감화.
  • 화기 : (1)왕화의 근본.
  • 화살나무 : (1)‘화살나무’의 북한어.
  • 화상 : (1)‘혜통’의 다른 이름.
  • 화지기 : (1)왕화의 근본.
  • : (1)갔다가 돌아옴.
  • 환하다 : (1)갔다가 돌아오다.
  • : (1)고려의 왕족(?~1170). 숙종(肅宗)과 명의 왕후(明懿王后) 유씨의 아들이다. 이자겸(李資謙)의 난 때 역모와 관련되었다는 죄명으로 유배되었다.
  • 효렴 : (1)발해의 사신(?~815). 814년 일본에 대사로 파견되어 정왕의 상(喪)을 알리고 일본으로부터 종삼위(從三位)를 받았다. 815년 귀국하는 도중에 병으로 사망하자 정삼위(正三位)를 추증받았다.
  • : (1)임금의 아내. (2)제왕과 제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후궁 : (1)대한 제국 때에, 왕후에 관한 서무와 내정(內廷)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광무 원년(1897)에 황후궁으로 고쳤다.
  • 후령 : (1)인도에서 영국령에는 속하지 아니하면서 영국의 지도와 감독 아래 현지인 전제 군주가 통치하던 나라. 카슈미르가 대표적이다.
  • 후박 : (1)목련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20미터, 지름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거나 가지 끝에서 뭉쳐나고 도란형이다. 꽃은 5월에 가지 끝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타원형이며 익으면 벌어져 붉은 종자가 나온다. 나무껍질은 한약재, 재목은 기구재 따위로 쓰이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일본 특산종이다.
  • 후장상 : (1)제왕ㆍ제후ㆍ장수ㆍ재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 후장상이 씨가 있나 : (1)높은 자리에 오르는 것은 가문이나 혈통 따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에 따른 것임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씨가 따로 있나’
  • 후지상 : (1)제왕과 제후가 될 상.
  • : (1)중국 청나라의 문인화가(1632~1717). 자는 석곡(石谷). 호는 경연산인(耕煙散人)ㆍ청휘주인(淸暉主人). 남송과 북송의 화풍을 절충하여 우산파(虞山派)를 창시하였다.
  • : (1)중국 전국 시대 진나라의 무장(?~B.C.244). 군대를 이끌고 한(韓)나라와 조(趙)나라를 공격하여 크게 이겼으며 소왕 47년에는 상당(上黨)을 점령하는 전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 흠약 : (1)중국 북송 때의 정치가ㆍ학자(?~1025). 자는 정국(定國). 진종 때 한림학사와 상서직을 거쳐 대학사에 올랐고 ≪책부원구(冊府元龜)≫의 찬수와 국사의 편찬을 맡았으나, 재상 구준을 참소하고 도교를 신봉하여 후대에 간신으로 평가되었다.
  • : (1)‘왕흥하다’의 어근.
  • 흥사 : (1)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던 백제 때의 절. 무왕 1년(600)에 착공하여 35년(634)에 완성하였다. 전형적인 백제 승가람마로 강가에 있었다.
  • 흥사지 : (1)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백제의 절터. 이곳에서 목탑지, 금당지를 비롯하여 사역 중심부의 건물터, 기와 가마터 따위가 발견되었다. 사리기가 출토되어 왕흥사의 창건 시기를 밝히고 백제사 문헌을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사적 정식 명칭은 ‘부여 왕흥사지’이다.
  • 흥하다 : (1)번창하고 세력이 매우 왕성하다.
  • : (1)왕의 딸.
  • 희지 : (1)중국 진(晉)나라의 서예가(307~365). 자는 일소(逸少). 우군 장군(右軍將軍)을 지냈으며 해서ㆍ행서ㆍ초서의 3체를 예술적 완성의 영역까지 끌어올려 서성(書聖)이라고 불린다. 작품에 〈난정서(蘭亭序)〉, 〈상란첩(喪亂帖)〉, 〈황정경(黃庭經)〉, 〈악의론(樂毅論)〉 따위가 있다.
  • 다 : (1)‘왕래하다’의 옛말.
6 7 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왕으로 끝나는 단어 (572개) : 소지왕, 십선지왕, 암기왕, 장엄왕, 홀드왕, 투수왕, 오대 명왕, 김겸왕, 양헌왕, 친왕, 태조왕, 숙지왕, 왕중왕, 산상왕, 경덕왕, 흥덕왕, 미왕, 숙친왕, 진왕, 이덕왕, 영양왕, 좌왕우왕, 지미왕, 대행대왕, 혜공왕, 비유왕, 종자이왕, 헌강왕, 덩크 슛 왕, 엉큼대왕 ...
왕으로 끝나는 단어는 57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왕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89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