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16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80개 세 글자:588개 네 글자:681개 다섯 글자:249개 여섯 글자 이상:367개 🌸모든 글자: 2,166개

  • 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 석탑 : (1)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기가 나란히 동서로 배치된 쌍탑이다. 동탑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으나 서탑은 무너져 있던 것을 1979년에 복원하였다. 이중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동일한 형식으로 보인다. 세부 수법으로 보아 9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677호.
  • 도 차산 농악 : (1)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동에 전하여 오는 풍물놀이. 춤과 민요가 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도하다 : (1)임금이 거둥할 때, 잡인의 출입을 막고 길을 치우다.
  • : (1)‘멍’의 방언
  • : (1)도밋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40cm 정도로 길고 둥글며, 회색을 띤 청색에 옆구리에는 회색을 띤 황색의 얼룩점이 있다. 조개류, 갑각류 따위를 잡아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남아프리카, 미국의 캘리포니아 등지에 분포한다.
  • : (1)벽오동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5미터 정도이고 껍질은 녹색이며, 잎은 넓고 크며 끝은 손바닥 모양으로 세 갈래 또는 다섯 갈래로 갈라졌다. 잎자루는 길고 잎 뒷면에 잔털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여름철에 누런 녹색의 오판화(五瓣花)가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10월에 익는다. 재목은 단단하고 결이 곧으므로 악기ㆍ나막신 따위의 재료가 되고, 껍질에서는 올실을 뽑아내며, 나뭇진은 종이를 만드는 풀로 쓰인다. 열매는 식용한다. 중국, 대만 등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의 전라ㆍ경상 등지에서 재배한다. (2)신선의 시중을 든다는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 (3)구리와 주석의 합금. 용도에 따라 알루미늄, 납 따위를 첨가한 구리 합금을 포함하여 이르는 말로 쓰기도 한다. 구리나 그 밖의 비철 금속에 비하여 주조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다. (4)푸른 눈동자. (5)‘멍’의 방언
  • 동 거울 : (1)청동으로 만든 거울. 청동기 시대 이후부터 나타나며 거친무늬 거울, 잔무늬 거울, 본뜬거울 따위가 있다.
  • 동경 : (1)청동으로 만든 거울.
  • 동 그릇 : (1)청동으로 만든 각종 그릇.
  • 동기 : (1)청동으로 만든 그릇이나 기구.
  • 동기 시대 : (1)무기, 생산 도구와 같은 주요 기구를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석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중간 시대로, 중국에서는 은(殷)나라ㆍ주(周)나라가 이 시기에 해당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1천년경에 시작되었는데, 이때에 청동기의 사용으로 생산력이 향상되고 강력한 군대가 조직되어 강대한 왕국이 출현하게 되었다.
  • 동 꺾창 : (1)청동으로 만든 창. 찍거나 베는 데 쓰는 무기의 하나이다. 긴 자루가 옆으로 직각이 되도록 끼워서 사용한다.
  • 동 단추 : (1)청동으로 만든 단추 모양의 장식물. 앞면은 볼록 렌즈 모양이며, 오목한 뒷면의 중앙에 끈을 거는 고리가 한 개 달려 있다.
  • 동 도자 : (1)청동으로 만든 작은 손칼.
  • 동 뒤꽂이 : (1)청동으로 만든 뒤꽂이.
  • 동릉 : (1)중국 허베이성(河北省) 탕산(唐山)에 있는 청나라 황족의 능원. 15기의 왕릉에 황제 15명, 황후 15명, 비빈 136명, 공주 2명, 왕자 3명이 묻혀 있다.
  • 동 바라기 : (1)음식을 담는 데 쓰던 조그마한 청동 그릇.
  • 동 방울 : (1)청동으로 만든 방울. 모양은 여러 가지이며, 수레나 말에 달거나 악기(樂器) 또는 의식(儀式)에 사용한 듯하다.
  • 동빛 : (1)청동의 빛깔과 같이 푸른 빛.
  • 동색 : (1)청동의 빛깔과 같은 탁한 갈색.
  • 동색 아기 증후군 : (1)광선 요법을 받은 아기의 피부가 청동색으로 변하는 질환. 포합형 빌리루빈이 증가되어 있거나 담관 폐쇄증이 있는 아기에게서 주로 발병한다.
  • 동색 피부 : (1)청동색으로 색소 침착이 일어나는 피부. 애디슨병, 혈색소증, 당뇨병의 일부 경우, 간경변증 따위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 동 손칼 : (1)청동으로 만든 작은 손칼.
  • 동 시대 : (1)무기, 생산 도구와 같은 주요 기구를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석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중간 시대로, 중국에서는 은(殷)나라ㆍ주(周)나라가 이 시기에 해당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1천년경에 시작되었는데, 이때에 청동기의 사용으로 생산력이 향상되고 강력한 군대가 조직되어 강대한 왕국이 출현하게 되었다.
  • 동 신수경 : (1)충청남도 공주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세 개의 청동 거울. 국보 정식 명칭은 ‘무령왕릉 청동 거울 일괄’이다.
  • 동실잠자리 : (1)실잠자릿과의 곤충. 배의 길이는 2~2.1cm, 뒷날개의 길이는 1.2~1.5cm이며, 몸의 등 쪽은 금속광택이 나는 청록색, 배와 등의 앞쪽은 청동색이고 시맥은 폭이 넓고 갈색이다. 한국, 시베리아, 유럽,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동와 : (1)청동으로 만든 기와.
  • 동 은입사 보상 당초 봉황문 합 : (1)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정교한 장식 문양을 갖춘 합. 11~12세기경에 만들어진 불교 용기로 추정되며, 보상 당초문, 봉황문 따위를 은으로 상감(象嵌)하여 만들었다. 높이는 9.9cm, 지름은 18.3cm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청동 은입사 봉황문 합’이다.
  • 동 은입사 봉황문 합 : (1)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정교한 장식 문양을 갖춘 합. 11~12세기경에 만들어진 불교 용기로 추정되며, 보상 당초문, 봉황문 따위를 은으로 상감(象嵌)하여 만들었다. 높이는 9.9cm, 지름은 18.3cm이다. 국보 제171호.
  • 동 은입사 포류 수금문 정병 : (1)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정교한 장식 문양을 갖춘 정병. 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인물, 물새, 수양버들, 배, 구름 따위를 은으로 상감(象嵌)하여 만들었다. 불교 용기로 추정된다. 국보 제92호.
  • 동 은입사 포류 수금문 향완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삼성 미술관 리움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향로. 몸체에 버드나무, 물오리, 연꽃무늬 따위를 은으로 상감(象嵌)하였다. 보물 제778호.
  • 동 은입사 향완 : (1)고려 충목왕 2년(1346)에 제작된 고려 시대의 향로. 겉면은 은실을 이용해 장식하였고, 만든 시기와 절에 관한 90여 자의 글이 음각되어 있다. 금강산 용공사에 전해지던 것을 한국 전쟁 때 남쪽으로 가져온 것이다. 보물 제288호.
  • 동잠 : (1)청동으로 만든 비녀.
  • 동잠자리 : (1)북방잠자릿과의 곤충. 배의 길이는 3cm, 뒷날개의 길이는 2.9cm 정도이며, 금속광택이 나는 녹색에 털이 많이 나 있고 수컷의 배 세 번째 마디 앞쪽에 누런색 줄무늬가 있다. 한국, 동부 시베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동제 : (1)청동으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 동제 사각감 : (1)1960년에 경주 감은사지 서쪽 삼층 석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에 발굴된, 청동으로 만든 직육면체의 상자. 뚜껑이 덮여 있고, 상자 안쪽에는 사리병을 담을 때 고정하는 소형 자물쇠와 비녀못이 남아 있다. 겉에는 사천왕상이 장식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감은사지 서 삼층 석탑 사리 장엄구 금동 사리 외함’이다.
  • 동제 사리기 : (1)1960년에 경주 감은사지 서쪽 삼층 석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에 발굴된, 청동으로 만든 사리기. 연꽃과 덩굴, 신장상ㆍ주악상ㆍ동자상 따위로 장식하였다. 전체적으로 탑의 형태이며 수정으로 만든 사리병이 안치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감은사지 서 삼층 석탑 사리 장엄구 금동 사리기’이다.
  • 동 조각칼 : (1)끝을 날카롭게 만들어 돌이나 뼈에 그림을 새기거나 뼈를 쪼개는 데 쓴 석기.
  • 동 진솔선예백장 인장 : (1)경상북도 포항시 신광면 마조리에서 출토된 청동 도장. 높이 2.7cm, 폭 2.4cm로, 중국 진(晋)나라 때에 제작된 것이다. 도장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진솔선예백장(晋率善濊伯長)’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보물 제560호.
  • 동 질병 : (1)청동이 부식되는 현상. 이 과정은 한번 시작되면 멈추거나 되돌릴 수 없으며, 염화 동이 청동에 접촉했을 때 일어난다.
  • 동 촛대 : (1)청동으로 만든 촛대.
  • 동치레거리 : (1)청동으로 만든 장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가락지, 팔찌, 구슬옥 따위가 있다.
  • 동풍뎅이 : (1)풍뎅잇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4cm 정도이고, 앞등판에 점 구멍이 많으며, 풍뎅이와 비슷하나 몸의 색깔이 풀빛이고 더듬이는 짙은 고동색이다. 농작물의 잎과 도토리나무 따위의 진을 빨아 먹는 해충이다.
  • 동화 : (1)청동으로 만든 돈.
  • 동화로 : (1)청동으로 만든 화로. 둥글고 넓적하며 가장자리에 넓은 전이 있고 발이 셋 달려 있다.
  • 동회 : (1)1969년에 서울 대학교 미술 대학 조소과 출신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국내 미술 단체. 모더니즘 조각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 동 휘석 : (1)사방 정계에 속하는 휘석의 하나. 짧은 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짙은 녹색을 띠며, 청동 광택이 있다. 완화 휘석과 자소 휘석의 중간 변종이다.
  • : (1)고려 시대에, 합문(閤門)에 속하였던 이속(吏屬). (2)중국 쓰촨(四川) 분지 서부에 있는 도시. 중국 서남부 교통의 요충지로 삼국 시대 촉한의 도읍이었다. 쓰촨성(四川省)의 성도(省都)이다.
  • 두건 : (1)내명부가 궁을 출입할 때 행차를 수행하는 인로가 청의와 함께 착용하던 청색의 두건.
  • 두미에기 : (1)‘청풍뎅이’의 방언
  • : (1)‘멍’의 방언
  • : (1)‘멍’의 방언
  • 둥오리 : (1)오릿과의 새. 수컷은 머리와 목이 광택이 있는 녹색이고 흰 띠가 둘려 있으며 부리는 갈색, 꽁지는 흰색이나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어두운 갈색의 무늬가 있다. 농경지 등지에서 사는데 4월 하순에서 7월에 걸쳐 6~12개의 알을 낳는다. 남쪽에서 겨울을 보내며 우리나라에는 흔한 겨울새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북반구에 분포한다.
  • 둥호박 : (1)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
  • 둥호박나물 : (1)늙은 호박의 껍질을 벗기고 넓적하게 썰어서 볶아 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하고 참기름과 깨소금, 고춧가루를 쳐서 만든 나물.
  • : (1)청하여 허락을 얻음.
  • 득하다 : (1)청하여 허락을 얻다.
  • : (1)푸른빛을 내는 등.
  • 등롱 : (1)조선 시대에, 정삼품부터 정이품의 벼슬아치가 밤에 다닐 때 쓰던 품등(品燈). 푸른 사로 둘러씌웠다.
  • 등에잎벌 : (1)등에잎벌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1cm 정도이며, 검은색에 푸른 남색의 광택이 있고 더듬이는 검으며 다리는 누런 백색과 검은색이다. 한국, 사할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등홍가 : (1)푸른 등과 붉은 거리라는 뜻으로, ‘화류계’를 달리 이르는 말.
  • : (1)쪽에서 얻는 짙푸른 물감. ⇒규범 표기는 ‘청대’이다.
  • 딱따구리 : (1)딱따구릿과의 새. 몸의 길이는 25cm 정도이며, 등 쪽은 누런 갈색, 허리는 붉은 황색, 머리의 앞쪽은 검고 배는 녹색을 띤 회백색인데 꽁지에 ‘V’ 자 모양의 무늬가 있다. 단독 생활을 하고 부리로 나무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으며, 발가락과 굳은 꽁지깃을 써서 나무에 수직으로 붙어 앉아 나무를 빙빙 돌면서 올라가는 습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한 텃새이며 중국 본토와 만주, 일본의 홋카이도 등지에 분포한다.
  • 딱정이 : (1)먼지벌렛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4cm 정도이며, 위쪽은 초록색, 아래쪽은 검은색이다. 온몸에 금빛의 짧은 털이 촘촘히 나 있고 딱지날개에 다섯 줄의 고랑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딸기 : (1)‘블루베리’를 달리 이르는 말.
  • : (1)‘청태’의 방언
  • 떡갈나무 : (1)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와 비슷하나 잎의 뒷면에 털이 없다. 열매는 식용하고 잎은 풋거름 또는 누에 먹이로 쓴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경기도에 분포한다.
  • : (1)‘이끼’의 방언
  • : (1)‘뜰’의 방언
  • 띠깡충거미 : (1)깡충거밋과의 곤충. 두흉부는 검은색에 청색의 털이 촘촘히 나 있고 달걀 모양의 배 앞쪽에는 청록색의 털이, 뒤쪽에는 검은색 띠무늬가 있다. 성숙기는 6~8월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띠신선나비 : (1)네발나빗과의 곤충. 날개의 표면에는 푸른 띠가 있고 계절에 따라 몸 색깔의 변이가 많으며 대개 수컷은 암컷보다 앞날개의 뒤쪽이 날카롭다.
  • 띠제비나비 : (1)호랑나빗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8cm 정도이고 날개 가운데에 청록색의 띠가 있는데, 봄에는 그 폭이 넓고 빛깔이 연하고 여름에는 폭이 조금 좁고 빛깔이 진한데, 청색에서 백색에 이르기까지 그 무늬의 변화가 심하다. 5~9월에 보이며 애벌레는 해충이다. 한국, 대만,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 띠푸리 : (1)‘밴댕이’의 방언
  • : (1)푸른색의 소라. (2)푸른 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푸른색의 가볍고 얇은 비단. (4)푸른 담쟁이덩굴.
  • 라삼 : (1)‘청나삼’의 북한어.
  • : (1)꿩과의 새. 공작을 닮았는데 수컷은 머리가 검은색, 얼굴과 목은 털이 없는 푸른 회색, 깃털은 갈색이며 날개에는 둥근 고리 무늬가 있어 아름답고 암컷은 수컷보다 작다. 번식기에는 날개를 펴고 구애의 춤을 춘다. 말레이반도, 보르네오, 수마트라 등지의 밀림에 분포한다.
  • : (1)멀리 보이는 산의 푸르스름한 기운. (2)‘문세영’의 호. (3)쪽의 잎에 들어 있는 천연 색소. 물과 알칼리에 용해되지 않는 푸른 가루로, 감색(紺色)의 물감으로 쓰인다. (4)맑고 깨끗한 조망(眺望). (5)남이 자신의 글이나 그림 따위를 보아 줌을 높여 이르는 말. (6)화창한 날에 아른거리는 아지랑이. (7)화창하게 갠 날씨.
  • 람색 : (1)푸른빛을 띤 남색.
  • : (1)맑고 명랑함. (2)‘청랑하다’의 어근. (3)관아에서 종이나 심부름꾼들이 살던 방. 또는 거기에 살던 종이나 머슴.
  • 랑하다 : (1)맑고 명랑하다. (2)날씨가 맑고 화창하다.
  • : (1)손님을 청하여 오게 함.
  • 래관 : (1)조선 시대에, 중국에서 보낸 사신을 맞아들이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벼슬.
  • 래하다 : (1)손님을 청하여 오게 하다.
  • : (1)‘청랭하다’의 어근.
  • 랭하다 : (1)바람, 이슬, 물 따위가 맑고 시원하다.
  • : (1)차조의 하나. 이삭에 털이 있고 알이 잘며 빛이 푸르다. (2)인품이나 성격이 깨끗하고 선량함. 또는 그런 사람. (3)‘청량하다’의 어근. (4)‘청량하다’의 어근.
  • 량감 : (1)맑고 시원한 느낌.
  • 량궁 : (1)‘달’을 달리 이르는 말.
  • 량답순종심요법문 : (1)당나라 순종이 당시의 진국 국사인 청량(淸涼)과 유심(唯心)에 관하여 문답한 내용을 실은 책. 고려 충렬왕 23~24년(1297~1298)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마지막 쪽에 금속 활자로 인쇄된 86자의 발문(跋文)이 따로 붙어 있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으로 알려져 있다.
  • 량미 : (1)차조의 하나인 생동찰의 알맹이.
  • 량사 : (1)임진왜란 때에, 군량미를 청하기 위해 명나라에 보내던 사신.
  • 량사 삼층 석탑 : (1)경상남도 합천군 청량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균형미와 조각 수법이 뛰어나 9세기경에 만들어진 탑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이다. 1958년에 탑을 수리하면서 사리를 두던 둥근 공간이 3층 지붕돌에서 확인되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합천 청량사 삼층 석탑’이다.
  • 량사 석등 : (1)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청량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등. 평면이 팔각인 석재를 층층이 쌓아 올렸으며, 머리 장식 부분은 형태가 분명하지 않다. 화사석의 네 면에 창을 내고, 그 옆에 사천왕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보물 정식 명칭은 ‘합천 청량사 석등’이다.
  • 량사 석조 여래 좌상 : (1)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청량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불신, 대좌,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전체적으로 양감을 강조하여 풍만함과 탄력성이 드러난다. 만들어진 기법으로 볼 때 9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합천 청량사 석조 여래 좌상’이다.
  • 량사육 : (1)난방을 하지 아니하고 자연 온도로 누에를 기르는 일.
  • 량산 : (1)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에 있는 산. 명승지로 김생굴(金生窟), 공민왕당(恭愍王堂), 오산당(吾山堂) 따위가 있다. 높이는 870미터. (2)중국 산시성(山西省) 동북부 우타이현(五臺縣)에 있는 산. 불교 삼대 영장(靈場)의 하나로 다타사(大塔寺), 칭량사(淸凉寺), 진가오사(金閣寺)ㆍ베이산사(北山寺) 따위의 유명한 절이 있다. 높이는 3,058미터. (3)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산. 정상에 올라서면 송도 국제도시가 한눈에 보이며, 인근에 인천 시립 박물관, 인천 상륙 작전 기념관 따위가 있다. 청룡산, 청릉산, 척량산이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172미터.
  • 량산 도립 공원 : (1)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에 있는 청량산을 중심으로 한 도립 공원. 청량 폭포, 선학정, 청량사, 하늘다리 따위의 명소가 있으며, 1982년에 도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총면적은 49.509㎢.
  • 량 선풍 : (1)7월에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벌들이 날개를 흔들어 바람을 일으켜 벌통 내부를 시원하게 하는 현상.
  • 량음료 : (1)이산화 탄소가 들어 있어 맛이 산뜻하고 시원한 음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이다, 콜라 따위가 있다.
  • 량제 : (1)맛이 산뜻하고 시원하여 복용하면 기분이 상쾌해지는 약. 은단(銀丹) 따위가 있다.
3 4 5 7 8 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

실전 끝말 잇기

청으로 끝나는 단어 (966개) : 금군 삼청, 융청, 착청, 구세청, 혜청, 파당청, 시 교육청, 임신 말 혈청, 군공청, 산명수청, 강제 경매 신청, 로홍소청, 재청, 마상청, 중기청, 기계획 임무 요청, 소청, 돌청, 다중 요청, 특이 혈청, 노년 난청, 삼정이정청, 보청, 인증 등본 촉탁 신청, 소음성 난청, 유럽 증권 시장 감독청, 피리청, 산실청, 얼렁충청, 산 유청 ...
청으로 끝나는 단어는 96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청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16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