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1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17개 세 글자:246개 네 글자:145개 다섯 글자:79개 여섯 글자 이상:523개 🎄모든 글자: 1,111개

  • 사리 : (1)부처의 사리를 모셔 둔 탑.
  • : (1)깨끗한 의자.
  • 더블 스 글리산도 : (1)중음 주법으로 누른 두 개의 현을 동시에 글리산도로 연주하는 기법. 인접한 두 개의 현을 누른 채로 첫 음에서 같은 현의 다른 음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하고, 일반적으로 한 번의 활 긋기나 스트로크로 연주한다. ⇒규범 표기는 ‘더블 스톱 글리산도’이다.
  • 환기 : (1)환기를 위하여 지붕 위에 만들어 놓는 탑.
  • 감시 : (1)일정한 지역을 살피고 통제할 목적으로 탑 모양으로 높이 세워서 만든 시설물.
  • 양산 통도사 삼층 석 : (1)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 신라 시대의 양식을 보이며, 하층 기단에 우주와 탱주를 생략한 채 안상을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1471호.
  • 오륜 : (1)오륜(五輪)을 상징하는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진 탑. 맨 밑은 땅을 상징하여 네모꼴이며, 그 위는 물을 상징하여 둥글고, 그 위는 불을 상징하여 세모꼴이고, 그 위는 바람을 상징하여 반달꼴이며, 맨 위는 하늘을 상징하여 끝이 뾰족한 공 모양이다.
  • 지지 : (1)다리에서 밧줄이나 쇠사슬 따위를 고정하는 탑 모양의 시설.
  • 벽화 : (1)야외에 세우는 독립적인 기념물이나 탑의 면에 그리는 벽화. 유적지와 공원, 유원지, 광장 따위와 같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하는 대중적이며 기념적인 성격을 띠는 벽화이다.
  • 포 및 포 구동 장치 기술 : (1)차량 정지 및 기동 시 사격이 가능하도록 무기의 주포 및 포탑의 구동 및 안정화와 관련된 기술. 에너지 저장기 기술, 직류 전압 승압기 기술, 고저 및 선회 장치 기술, 전력 증폭기 기술, 구동 및 전력 제어기 기술 따위가 있다.
  • 관제 항로 관제 업무 : (1)둘 이상의 인접 접근 관제 시설 사이에 위임된 공역 내에서 계기 비행 규칙에 따른 항로 교통의 관제. 신속한 교통 흐름과 관제사와 조종사 간의 통신 감소를 위해 계획된다.
  • : (1)‘흠축’의 방언 (2)탑의 건립 사유, 중수(重修), 건축에 관련된 내용과 관련 인물들을 상세히 밝힌 기록.
  • 진주 묘엄사지 삼층 석 : (1)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의 옛 절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기단의 일부가 땅에 묻혀 있고,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층마다 한 돌로 되어 있다. 보물 제379호.
  • 무연 : (1)자손이나 관리해 줄 사람이 없는 무덤.
  • 공주 청량사지 칠층 석 : (1)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청량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탑.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양식은 백제의 석탑을 따랐다. 청량사 터에는 이 탑과 함께 오층 석탑이 남아 있는데, 두 탑과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보물 제1285호.
  • 고정 : (1)휨 강성이 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하단을 하부 구조에 묻어 넣어 고정시킨 탑.
  • 하남 동사지 오층 석 : (1)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동사(桐寺) 터에 있는, 고려 시대 5층 석탑. 1층 몸돌이 2단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고려 시대에 처음 나타난 양식이다. 10세기 후반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12호.
  • 기구 재 장치 : (1)케이블 중계 및 관로 시스템에서 중계 및 관로 길이에 추가된 스위치, 콘센트, 차단기, 전화기 콘센트 등과 같은 전기 기구에 사용되는 임의의 구성 요소.
  • 황복사 : (1)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삼층 석탑으로, 1943년 탑을 수리할 때 2층 옥개석(屋蓋石)에서 사리(舍利)와 금불상 2구(軀)가 발견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황복사지 삼층 석탑’이다.
  • 건물 : (1)탑을 이룬 건물. (2)평면의 너비와 길이에 비하여 높이가 훨씬 더 커 탑 모양으로 보이는 건물.
  • 모델 : (1)가장 인기 있는 모델. ⇒규범 표기는 ‘톱 모델’이다.
  • 항공기 재 시스템 : (1)항공기 화물실 내에 화물을 쌓는 틀이나 대 또는 화물 컨테이너를 실어 나르는 하역 장비 체계.
  • : (1)18세기 영국 사교계에서 문학에 취미를 가진 여성들을 조롱하여 이르던 말. 후에 여성 참정권을 주장하는 지식 계급의 여성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중심인물인 몬타규(Montague, E.) 부인의 응접실에 모인 사람들이 푸른 스타킹을 신은 데서 유래하였다.
  • : (1)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에 있는 절. 신라 선덕 여왕 6년(637)에 원효가 창건하였다가 정유재란 때에 소실된 것을 왕순(王淳)ㆍ궁현(窮玄) 대사가 중건하였다.
  • 조명 : (1)조명등이 설치된 탑.
  • 사심 : (1)실망하여 갑자기 마음이 언짢아짐.
  • 재기 : (1)물건을 실은 비행기.
  • : (1)춘앵전에서, 앞으로 세 걸음 나가는 춤사위.
  •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 석 : (1)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탑의 구성이나 전체적인 형태가 일반적인 석탑과는 다른 특이한 모습이다. 2단의 둥근 바닥돌에 10각의 돌을 짜 올리고, 그 위로 원형 탑신과 옥개석을 올렸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6층뿐이지만 원래는 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798호.
  • 승자 : (1)배나 비행기, 차 따위에 타고 있는 사람.
  • 데스크 피시 : (1)개인의 책상 위에 설치할 수 있는 크기의 소형 컴퓨터. 회계 업무, 사무 관리, 문서 처리 따위의 사무 자동화에 주로 쓴다. ⇒규범 표기는 ‘데스크톱 피시’이다.
  • 사다리형 : (1)방송탑 또는 송전탑처럼 독립해 있는, 받침대 없이 서 있는 격자 프레임 구조물. 예를 들면, 에펠탑이 있다.
  • 재 명령 : (1)인원과 화물을 함선이나 항공기로 이동하게 하는 일자, 시간, 통로 및 방법을 규제한 명령.
  • 비행기 : (1)탑처럼 생긴 수직 기둥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 하는 놀이용 비행기.
  • 의성 빙산사지 오층 석 : (1)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빙산사 터에 있는 석탑. 1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렸다. 돌을 벽돌 크기로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이며, 통일 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327호.
  • 텔레비죤중계 : (1)‘텔레비전 중계 탑’의 북한어.
  • 수이 : (1)‘소금’의 방언
  • 관제 : (1)비행장에서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을 지시하고 비행장 안을 통제하는, 탑처럼 생긴 높은 건물.
  • 인구 시계 : (1)초 단위로 늘어나는 인구 현황을 숫자로 보여 주는 전광판.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역 광장이나 터미널 앞, 도심의 중앙 따위에 세운다.
  • 모전 : (1)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서 쌓아 올린 탑. 경주의 분황사 석탑이 대표적이다.
  • 본하다 : (1)비석, 기와, 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내다. 흡습성(吸濕性)이 있는 종이를 대고 물을 뿌려 붙인 후 거의 마르면 솜뭉치에 먹을 묻혀 두드리거나, 흡습성이 없는 얇은 종이를 대고 탁본용의 연한 먹으로 종이 위를 문지른다.
  • 연선 : (1)수갱(垂坑)이나 사갱(斜坑)에서 자재나 사람을 끌어 오르내리기 위하여 갱 밖에 세운 탑 모양의 설비.
  • 채광 : (1)채광을 목적으로 건물의 지붕 위에 세운 탑.
  • 표충사 삼층 석 : (1)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비교적 상륜부가 잘 보존되어 있다. 탑신부 1층의 몸돌이 지나치게 큰 것이 흠이지만, 각 부의 비례가 적당한 우수한 작품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밀양 표충사 삼층 석탑’이다.
  • 정혜사지 십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의 정혜사 터에 있는 석탑. 통일 신라 변형 석탑의 모습을 보여 주는 유일한 유물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 석탑’이다.
  • 음이온 교환 : (1)물속의 음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전한 탑.
  • 하다 : (1)손님을 맞아 극진히 대접하다. 걸상을 내린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중국 후한의 진번(陳蕃)이 높은 선비였던 주구(周璆)를 위하여 특별히 벽에 세워 놓고 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을 마련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수스 전투 : (1)기원전 46년에 북아프리카의 탑수스에서 카이사르파와 원로원파가 벌인 전투. 양측 모두 10여 개의 레기온을 동원하여 대규모로 이뤄진 싸움으로, 카이사르가 승리하여 원로원파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 원뿔형 첨 지붕 : (1)지붕 형상에서, 보통 작은 탑 위에 얹는 원뿔형 지붕.
  • 역 광장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역 앞에 있는 광장. 휴식 공간, 행사ㆍ문화 공연 장소 등으로 활용되며, 퍼걸러, 분수 따위가 있다.
  • 부석사 삼층 석 : (1)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에 있는 석탑. 통일 신라 시대에 건립된 것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영주 부석사 삼층 석탑’이다.
  • 함양 벽송사 삼층 석 : (1)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벽송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탑.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으며,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되었다. 조선 전기에 세워진 탑이지만 신라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보물 제474호.
  • : (1)함경남도 단천군 남두일면과 풍산군 천남면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2,003미터. (2)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과 길주군 양사면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2,204미터.
  • 쿼크 : (1)톱 쿼크의 반입자. 톱 쿼크와 동일한 질량을 지니며, 전하량은 같지만 부호가 반대이다. ⇒규범 표기는 ‘반톱 쿼크’이다.
  • 접지 저항 : (1)송전 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또는 철주의 밑부분과 대지 사이의 저항.
  • 재 소프트웨어 : (1)산업 기계나 가전제품 따위에 내장하는, 특정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 : (1)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세운 탑.
  • 영양 현리 삼층 석 : (1)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현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아래층 기단에는 십이지 신상이 새겨져 있고 위층 기단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에는 홈이 파여 있고, 4단의 받침을 두었다. 보물 제610호.
  • 낙하산 : (1)낙하산 강하 훈련을 하는 탑. 탑에 낙하산과 연결한 끈을 고정시켜 놓은 후에 낙하한다.
  • 각 저항 : (1)송전 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또는 철주의 밑부분과 대지 사이의 저항.
  • : (1)‘탑승’의 방언
  • 승지 : (1)배나 비행기, 차 따위에 올라타는 곳.
  • 천층 : (1)석송과에 속하는 뱀톱의 생약명. 전초(全草)를 약용하며 해열, 소염, 지혈에 효능이 있다.
  • : (1)나란히 세운 두 개의 탑.
  • 질안 : (1)질산과 암모늄을 중화하여 질산 암모늄을 합성하는 탑 모양의 장치.
  • : (1)군함ㆍ전차ㆍ요새 따위에 있는 대포에, 포신만 내놓고 그 나머지를 두꺼운 강철로 둘러싼 장치. 포나 포병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 금자 : (1)‘金’ 자 모양의 탑이라는 뜻으로, 피라미드를 이르던 말. (2)길이 후세에 남을 뛰어난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괴산 보안사 삼층 석 : (1)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1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형태이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이 3단으로 줄고 뭉툭한 점, 기단이 간략하게 표현된 점 따위로 보아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1299호.
  • 안테나 철 : (1)무선 통신용 공중선 안테나를 지지하는 철탑.
  • : (1)탑과 비석.
  • 요금 : (1)중국의 동북 지방에서 허베이성에 걸쳐 있는 불탑. 다각 다층의 전탑으로 랴오닝성과 차오양 인근의 사각형의 것을 제외하고는 육각형 또는 팔각형을 이루며, 대개 요나라와 금나라 때에 만들어졌다.
  • 보령 성주사지 낭혜 화상 : (1)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성주사 터에 남아 있는 석제 탑비. 신라 진성 여왕 4년(890)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하는 무염 선사(禪師)의 탑비로, 비문은 최치원이 지었다. 신라의 골품 제도를 알 수 있는 기록이 있다. 국보 제8호.
  • 벽송사 삼층 석 : (1)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벽송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탑.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으며,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되었다. 조선 전기에 세워진 탑이지만 신라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함양 벽송사 삼층 석탑’이다.
  • 경주 석굴암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토암산 동쪽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원형ㆍ팔각의 2층 기단 위에 탑신을 올린 것으로, 경주 석굴암 석굴에서 동북쪽으로 약 150미터 떨어진 언덕에 있다. 독특한 기단의 모습에 대해서는 유래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조각 수법으로 보아 8세기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911호.
  • 안성 죽산리 오층 석 : (1)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봉업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단층의 기단 위에 5층짜리 탑신을 올린 것으로,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다. 신라의 양식을 계승하였으나, 탑의 전체적인 체감 비율이 일정하지 않으며 각 부의 조각이 형식화된 점에서 고려 석탑의 형식이 나타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안성 봉업사지 오층 석탑’이다.
  • 창림사 무구정원기 : (1)경상북도 경주시 창림사지의 무구정탑(無垢淨塔) 안에 들어 있던 탑지. 신라 문성왕이 공덕을 쌓기 위해 무구정탑을 만들었다는 내용으로, 조선 순조 24년(1824)에 발견되었다. 찬자는 김입지이며, 왕희지의 글씨를 모아서 새겼다. 현재 국립 경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문경 봉암사 정진 대사 : (1)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탑비.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동한 정진 대사 긍양의 것으로, 고려 광종 16년(965)에 세워졌다.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인 이몽유(李夢游)가 짓고, 명필인 장단열이 글씨를 썼다. 보물 제172호.
  • 화엄사 서 오층 석 사리 장엄구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소장된 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 유물. 화엄사 경내 서 오층 석탑에서 발견된 것으로, 백지 묵서 다라니경, 청동 불상범 외에 청동 방울과 장식, 철제 칼, 금속편, 수정 따위가 있다. 서지학, 미술사 등 학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1348호.
  • 감은사지 서 삼층 석 내 유물 : (1)1960년에 경주 감은사지 서쪽 삼층 석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에 발굴된 사리 장엄구. 청동제 사각감의 네 옆면에는 각각 사천왕상이 한 구씩 새겨져 있으나 부식이 심하다. 사리병은 고리가 달린 그릇 모양의 외피 속에 넣고, 그 위에는 수정으로 만든 보주(寶珠)를 올려놓았다. 보물 정식 명칭은 ‘감은사지 서 삼층 석탑 사리 장엄구’이다.
  • : (1)쟁기질하는 사람이 쥐는 쟁기의 손잡이. (2)‘보습’의 방언 (3)귀한 보배로 장식한 탑. (4)미술적 가치가 있는 탑. (5)절의 탑을 높여 이르는 말. (6)묘법연화경에서, 다보여래를 안치한 탑을 이르는 말. (7)임금이 앉는 자리. 또는 임금의 지위.
  • 군산 발산리 오층 석 : (1)전라북도 군산시 발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 석탑. 원래 완주 봉림사 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였으나, 한 층이 없어져서 4층까지만 남아 있다. 보물 제276호.
  • 충주 억정사지 대지 국사 : (1)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억정사 터에 남아 있는 대지 국사의 탑비. 조선 태조 2년(1393)에 대지 국사의 행적을 기록하기 위하여 세웠으며, 사면에 해서체의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박의중이 글을 짓고 승려 선진이 글을 썼으며 승려 혜공이 새겼다. 보물 제16호.
  • 운주사 구층 석 : (1)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기단을 삼아, 그 위에 9층의 탑신을 세운 형태이다. 옥개석의 밑면 받침이 생략된 점이나 탑신에 새겨진 조각 따위에서 고려 시대의 지방색을 엿볼 수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화순 운주사 구층 석탑’이다.
  • 청룡사 보각 국사 정혜 원융 : (1)조선 태조 3년(1394)에 건립된 충청북도 충주시 청룡사에 있는 부도. 팔각 원당형을 따르면서도 새로운 양식이 도입된 부도로 지표에 높은 팔각 지대석이 있고 그 위에 하대석이 놓여 있다. 높이는 263cm. 국보 정식 명칭은 ‘충주 청룡사지 보각 국사 탑’이다.
  • 직교류식 냉각 : (1)탑으로 유입하는 공기를 상부에서 분무하는 차가운 상태의 물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뒤섞여 충진재를 통과하게 한 다음,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 공기를 강제로 내보내는 장치.
  • 군위 인각사 보각 국사 및 비 : (1)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인각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과 탑비. 고려 말에 활동한 보각 국사 일연(一然)의 것이다. 승탑은 팔각 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몸돌에 탑명과 사천왕 따위가 새겨져 있다. 탑비는 현재 손상이 심하지만 비문의 사본이 월정사에 전해져 내용을 알 수 있다. 비는 고려 충렬왕 21년(1295)에 세워졌으며, 승탑 또한 일연이 입적한 1289년에서 1295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428호.
  • 의령 보천사지 삼층 석 : (1)경상남도 의령군 보천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로 3층의 탑신을 올렸다. 1967년에 사리 유물을 도난당했을 때 사리를 장치하였던 흔적과 청동으로 만든 불상, 광배 모양의 구리 조각, 흙으로 만든 탑 따위가 발견되었다. 보물 제373호.
  • 양주 회암사지 무학 대사 앞 쌍사자 석등 : (1)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 터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등. 바닥돌과 아래 받침돌을 하나로 붙여서 만들었으며 중간 받침돌에 쌍사자를 두었다. 기본적으로 사각의 형태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보물 제389호.
  • 불굴사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불굴사(佛窟寺)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일반적인 신라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규모가 축소된 점이나 지붕돌의 반전이 지나친 점 따위로 미루어 통일 신라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경산 불굴사 삼층 석탑’이다.
  • 공중 재 진동 모니터 : (1)항공기에 탑재되어, 항공기가 비행할 때 엔진의 진동 정도를 감지하는 장치.
  • 상형 아파트 : (1)초고층 건물과 같이 위로 높이 올리는 아파트. 몇 세대를 묶어 탑을 쌓듯이 ‘와이(Y)’ 자형, ‘미음(ㅁ)’ 자형, ‘이응(ㅇ)’ 자형 등의 타워 형태로 짓는다. 동과 동의 거리가 더 멀고 동이 서로 엇갈려 많은 동의 일조권과 조망권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 정토사 홍법 국사 실상 : (1)충청북도 충주시 개천산 정토사 터에 있던 탑비. 통일 신덕왕 대에 태어나 당나라에 유학한 후 선(禪)을 일으키고 정토사에서 입적한 홍법 국사를 위하여 고려 목종이 자등(慈燈)이라는 탑명을 내려 손몽주에게 비의 글을 짓게 하였다. 고려 현종 8년(1017)에 건립된 비의 앞면에는 대사의 행적이 있고, 뒷면에는 제자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나, 표면의 훼손이 심하다. 거북 받침돌 위로 비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충주 정토사지 홍법 국사 탑비’이다.
  •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감은사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세워진 것으로, 동서 두 탑이 같은 규모와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규모가 비교적 큰 석탑이다. 국보 제112호.
  • 재형 산소 발생 장치 : (1)조종사의 정상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기내 탑재 장치.
  • 공주 청량사지 오층 석 : (1)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청량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탑.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양식은 백제의 석탑을 따랐다. 청량사 터에는 이 탑과 함께 칠층 석탑이 남아 있는데, 두 탑과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보물 제1284호.
  • 갈항사 삼층 석 : (1)경상북도 김천시 갈항사 절터에 있던 2기(基)의 삼층 석탑. 신라 경덕왕 17년(758)에 세워진 것으로, 두 탑 모두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세우고 그 위에 상륜부를 설치한 전형적인 신라식 석탑이다. 기단에 이두문(吏讀文)이 새겨져 이두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될 위기에 처하여 1916년 경복궁으로 옮겼던 것을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옮겨 놓았다. 국보 정식 명칭은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 석탑’이다.
  • 보천사지 삼층 석 : (1)경상남도 의령군 보천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로 3층의 탑신을 올렸다. 1967년에 사리 유물을 도난당했을 때 사리를 장치하였던 흔적과 청동으로 만든 불상, 광배 모양의 구리 조각, 흙으로 만든 탑 따위가 발견되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의령 보천사지 삼층 석탑’이다.
  • 감은사지 동 삼층 석 사리 장엄구 : (1)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기 세트. 경주 감은사지의 동쪽 석탑을 보수할 때에 발견된 유물이다. 외함과 안쪽의 사리기, 그리고 사리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물 제1359호.
  • 금둔사지 삼층 석 : (1)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금둔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이중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상륜부(相輪部)는 훼손되어 사라졌다. 위층 기단과 1층 몸돌에는 각각 팔부중상(八部衆像)과 공양상(供養像) 따위의 장식을 새겼다. 세련된 수법과 알맞은 비례로 보아 9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순천 금둔사지 삼층 석탑’이다.
  • 경주 구황리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삼층 석탑으로, 1943년 탑을 수리할 때 2층 옥개석(屋蓋石)에서 사리(舍利)와 금불상 2구(軀)가 발견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황복사지 삼층 석탑’이다.
7 8 9 11 1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타, 탁, 탄, 탈, 탐, 탑, 탓, 탕, 태, 택, 탬, 탭, 탱, 터, 턱, 턴, 털, 텀, 텅, 텋, 테, 텍, 텐, 텔, 템, 텝, 텡, 텨, 텹, 톄, 토, 톡, 톤, 톨, 톱, 톳, 통, 퇴, 툅, 투, 툭, 툰, 툴, 툼, 툽, 퉁, 퉤, 튀, 튈, 튐, 튝, 트, 틀, 틈, 틉, 틔, 티, 틱, 틴, 팀, 팁

실전 끝말 잇기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 (205개) : 탑, 탑 가수, 탑각, 탑각 저항, 탑각 확장 지지대, 탑객, 탑 건물, 탑골 공원, 탑골미투리, 탑골치, 탑교, 탑구, 탑구름, 탑국, 탑기단, 탑 기중기, 탑꼴, 탑꽃, 탑다운 개발, 탑돌이, 탑동 공원, 탑두, 탑등, 탑 라이트, 탑 러너 방식, 탑 로프 고릴라 프레스 드랍, 탑 로프 스타일스 클래쉬, 탑 로프 스피닝 힐 킥, 탑 로프 싯아웃 인버티드 수플렉스 슬램, 탑 로프 오버헤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 ...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0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탑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1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