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1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17개 세 글자:246개 네 글자:145개 다섯 글자:79개 여섯 글자 이상:523개 🍩모든 글자: 1,111개

  • 비보사 : (1)신라 말ㆍ고려 초에 도선이 주장한 풍수지리설. 땅의 기운이 쇠하는 곳에 사찰과 탑을 세워 인위적으로 땅의 기운을 보완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 충렬 : (1)충성스러운 열사를 기념하기 위한 탑.
  • 전하교하다 : (1)왕이 그 자리에서 명령을 내리다.
  • 추출 : (1)추출을 공업적으로 하는 추출 장치의 하나. 추출 대상 물질이 선택적으로 용해될 수 있는 용제와 향류(向流) 접촉을 통하여 용액에서 추출 대상 물질을 분리하는 수직형 조작 용기이다.
  • 식형 : (1)‘탑형’의 북한어.
  • 봉암사 정진 대사 원오 : (1)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리탑.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동한 정진 대사 긍양의 것으로, 고려 광종 16년(965)에 세워졌다. 봉암사 지증 대사 탑을 모방하고 있으나, 비례감과 조각 수법 따위에서 다소 떨어진다. 보물 정식 명칭은 ‘문경 봉암사 정진 대사 탑’이다.
  • 경주 마동사지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마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불국사 서북쪽 언덕에 세워져 있다. 장식이나 조각을 하지 않은 소박한 모습의 석탑으로, 8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경주 마동 삼층 석탑’이다.
  • : (1)‘족답기’의 방언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경주 남산 정상 부근의 자연 암석을 아래층 기단으로 삼아 세워진 것으로, 자연과 융화를 이룬다. 보물 제186호.
  • 용암 : (1)거의 뭉쳐서 굳어진 용암이 화구 안에서 지표로 천천히 떠밀려 올라와 분화구 위에 기둥 모양으로 돌출한 것. 1902년 소앤틸리스 제도 마르티니크섬의 몽펠레 화산 활동 때에는 최고 300미터에 달했다.
  • 남원 실상사 승 : (1)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 팔각 원당형의 사리탑으로, 아래 받침돌과 위 받침돌에 구름무늬와 연꽃이 각각 새겨져 있다. 탑신은 한 면에만 문을 조각하고 다른 면에는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소박하며, 고려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36호.
  • 공항 교통관제 : (1)공항 내에서 모든 항공기의 이착륙, 출발과 진입, 항공기나 차량의 지상 이동 따위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곳.
  • : (1)전선을 늘이거나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높이 세운 철탑. (2)흙을 구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납작한 벽돌 모양으로 만든 전으로 쌓아 올린 탑.
  • 봉감모전 오층 석 : (1)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폐사(廢寺)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화강암 석탑. 국보 정식 명칭은 ‘영양 산해리 오층 모전석탑’이다.
  • 울주 청송사지 삼층 석 : (1)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청송사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1층 몸돌이 지나치게 크고, 굄돌이 다른 돌로 되어 있다. 1962년에 해체하여 수리할 때, 위층 기단에서 청동 여래 입상 1구와 유리구슬 따위가 들어 있는 동제 사리함이 발견되었다. 보물 제382호.
  • 영국사 망봉 삼층 석 : (1)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절의 동쪽에 있는 망탑봉의 정상에 있다. 커다란 자연석 화강암을 기단으로 삼고, 3층의 탑신을 올렸다. 1층 탑신에는 네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고, 지붕돌의 받침 수는 1층만 5단이고 나머지는 3단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 석탑’이다.
  • 고양 태고사 원증 국사 : (1)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에 있는 원증 국사 보우의 탑비. 우왕 11년(1385)에 세워졌다. 태고사 법당의 옆에 있으며, 거북 받침돌 위에 비의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형상이다. 보물 제611호.
  • : (1)뾰족한 탑.
  • 영천 화남동 삼층 석 : (1)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남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지금은 없어진 한광사(閑曠寺)의 불전 앞에 세워져 있던 쌍탑 가운데 하나로, 한 기는 훼손되고 한 기만 온전히 남아 있다.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렸으며,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다. 조성 수법 따위로 보아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정식 명칭은 ‘영천 화남리 삼층 석탑’이다.
  • 담양읍 오층 석 : (1)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기단이 다른 탑에 비해서 매우 낮고 맨 윗돌의 너비가 1층 지붕돌보다 좁은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정식 명명칭은 ‘담양 남산리 오층 석탑’이다.
  • 합천 청량사 삼층 석 : (1)경상남도 합천군 청량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균형미와 조각 수법이 뛰어나 9세기경에 만들어진 탑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이다. 1958년에 탑을 수리하면서 사리를 두던 둥근 공간이 3층 지붕돌에서 확인되었다. 보물 제266호.
  • : (1)탑의 꼭대기.
  • : (1)황금으로 만들거나 겉에 도금을 하여 만든 탑.
  • 사사석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화강암 삼층 석탑. 신라 불교 전성시대의 대표작으로, 경주의 불국사 다보탑과 더불어 이형 석탑(異型石塔)의 쌍벽을 이룬다. 국보 정식 명칭은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 석탑’이다.
  • : (1)모가 진 탑.
  • 태고사 원증 국사 : (1)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 원증 국사 보우의 사리를 안치한 탑으로, 고양 태고사 원증 국사 탑비가 세워진 우왕 11년(1385) 무렵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고양 태고사 원증 국사 탑’이다.
  • 류산 : (1)유산을 넣어 두는 탑. ⇒남한 규범 표기는 ‘유산탑’이다.
  • 수지 : (1)이온 교환 수지를 넣는 탑. 이온성 물질의 분리 및 분석, 물의 정제, 원자력 공업 따위에 쓴다.
  • 강진 무위사 선각 대사 : (1)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에 있는, 고려 시대 선각 대사의 탑비.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으며 높이 2.35미터, 너비는 1.12미터이다. 비 받침과 비 몸돌ㆍ머릿돌이 모두 갖추어진 비로, 최언위(崔彦撝)가 문장을 짓고 유훈율(柳勳律)이 해서로 기록하였다. 보물 제507호.
  • 실련 : (1)고려 제26대 충선왕의 비인 ‘계국 대장 공주’의 본명.
  • 만어사 삼층 석 : (1)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몸돌과 지붕돌이 모두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으며, 각부의 구조와 조각 수법으로 보아 고려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밀양 만어사 삼층 석탑’이다.
  • 크레인 : (1)높은 철탑 위에 빔을 ‘T’ 자 모양으로 결부시킨 크레인. 빔이 고정되어 있는 것과 회전하는 것이 있다.
  • 삼각 철 : (1)세 면이 같은 모양으로 구성된, 단면이 정삼각형인 철탑.
  • 회전 포 : (1)화포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포탑. 주로 함정(艦艇)에 장치된다.
  • 체의 : (1)대수학에서, 체(體)의 연속된 확장을 수직으로 표현한 것. 확대체가 위쪽에 위치한다.
  • 구례 화엄사 서 오층 석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 대웅전 단(壇) 아래 서쪽에 있는 석탑. 이중 기단이며, 석탑 하단에는 십이지 신상이 새겨져 있고 조각 장식이 장엄하다. 보물 제133호.
  • 고리 : (1)몹시 고리타분히.
  • 재 허용 하중 : (1)함정, 항공기, 차량 따위에 물건을 실을 때, 각 상태의 구조물에서 허용되는 최대 하중.
  • : (1)누워서 잘 수 있도록 만든 가구. 위가 넓고 평평하고 다리가 달렸다.
  • 시추 : (1)시추 설비를 설치하고 보호하며 시추 작업을 하기 위한 탑 모양의 시설물.
  • 발굽골뱅이 : (1)골뱅이의 하나. 껍데기는 원뿔형이고 크고 단단하며, 광택이 나는 누런 갈색이고 어두운 적색 또는 어두운 갈색 무늬가 있다. 깊이 20미터의 바다 밑 모래나 해초가 잘 자라는 바위에 사는데, 우리나라 동해에 분포한다.
  •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 석 : (1)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대웅전 앞에 좌우로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 2기가 있다. 규모와 수법이 비슷하여 같은 사람이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395호.
  • 순천 선암사 북승 : (1)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의 선조암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려놓았으며 각 부분이 팔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물 제1184호.
  • 환영 : (1)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문구를 새겨 도시의 큰길가에 세우는 탑 형식의 가장물.
  • 탈탄산 : (1)보일러나 수도 시설 따위에서, 공급되는 물에 녹아 있는 유리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장치.
  • 영하다 : (1)어떤 형태를 그대로 본떠서 그리다.
  • 텔레비전 중계 : (1)텔레비전 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설치한 탑. 거리가 너무 멀거나 높은 산과 같은 장애물이 있어 전파가 미치지 못할 때 세운다.
  • 문경 오층 석 : (1)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간송 미술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본래 경상북도 문경에 있었다.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이 올려진 형태이다. 지붕돌 받침의 개수는 일정치 않고,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이 뚜렷하게 조각되어 있다. 보물 제580호.
  • 사견고 : (1)오오백년(五五百年)의 네 번째 오백 년. 수행과 증과(證果)는 없지만 좋은 과보(果報)를 받으려고 절이나 탑을 많이 세우는 시기이다.
  • 피사의 사 : (1)이탈리아의 피사 대성당에 있는 종을 달아 두는 누각. 1173년에서 1350년에 걸쳐 건립된 8층의 둥근 탑으로, 공사 중에 지반이 내려앉아 기울기 시작하여 차차 그 경사도가 심하여져 가고 있다.
  • 보협인 : (1)보협인 다라니의 주문을 넣어 두는 탑. 중국 북송 초기에 오월의 왕인 전홍숙(錢弘俶)이 만든 8만 4000기의 탑이 원형이다.
  • 뾰족 : (1)뾰족한 탑.
  • : (1)손님을 위하여 마련한 자리.
  • 라이트 : (1)무대의 천장에서 내리비추는 조명을 통틀어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톱 라이트’이다.
  • 강제통풍 냉각 : (1)팬을 사용하여 냉동기 따위의 냉각수를 공기와 직접 접촉시켜 냉각하는 장치.
  • 전공 : (1)전투에서 세운 공로를 기리는 탑.
  • 헬리건 : (1)육군 항공 사격 대회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공격 헬기 조종사. 육군 항공 조종사를 대상으로 근무 경력, 비행 기량, 전문 지식 따위를 심사하여 선발한다.
  • 의성 관덕리 삼층 석 : (1)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으로, 전체적으로 웅장한 기상은 덜하나 조각을 많이 새겨 놓아 화려하고 아름답다. 탑에 장식적인 화려함을 더하게 되는 본격적인 시기인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188호.
  • 런던 : (1)영국 런던의 템스강 북쪽 기슭에 있는 건물. 1078년부터 윌리엄 일세의 명으로 지었으며 그 후 증축을 거듭하였다. 이후 오랫동안 국사범의 감옥으로 쓰다가 지금은 박물관으로 쓰고 있다.
  • 하다 : (1)수행하는 승려가 절에서 대중과 함께 지내다. 옷을 걸어 둔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인하다 : (1)어떤 형태를 원형 그대로 본떠서 박다.
  • : (1)배, 비행기, 차 따위에 물건을 실음. (2)선체 공사의 공정 가운데, 마지막 공정. 조립 및 선행 탑재 공정에서 이송된 블록들을 선대나 선거 또는 육상 작업장에서 블록 이음 부분을 용접하여 선박의 전체 형태를 구성한다.
  • 삭하다 : (1)잇따라 왈칵 달려들어 냉큼 물거나 움켜잡다. ‘답삭답삭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 (1)철재로 조립하여 높이 세운 구조물. (2)땅을 파헤쳐 고르거나 두엄, 풀 무덤 따위를 쳐내는 데 쓰는 갈퀴 모양의 농기구. 쇠로 서너 개의 발을 만들고 자루를 박아 만든다.
  • 철원 도피안사 삼층 석 : (1)강원도 철원시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사각형의 지대석에 팔각의 기단을 높게 올린 뒤, 그 위에 삼층의 탑신을 세운 독특한 형태이다. 통일 신라 경문왕 5년(865)에 절을 건립하면서 함께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23호.
  • : (1)선원에서, 조사(祖師)의 탑이 있는 곳. (2)본사(本寺)에 속하여 본사 경내에 있는 작은 절.
  • 오다리 : (1)제주 풍속에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돌로 탑을 쌓고 꼭대기에 까마귀 모양의 돌을 올린 것
  • 장엄 : (1)예술적으로 매우 아름답게 만든 탑.
  • 담양 남산리 오층 석 : (1)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기단이 다른 탑에 비해서 매우 낮고 맨 윗돌의 너비가 1층 지붕돌보다 좁은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506호.
  • 기단 : (1)탑신(塔身) 맨 아래의 기단.
  • 방형 : (1)기단(基壇)의 평면 모양이 정사각형인 탑.
  • 안테나 : (1)도체로 탑을 쌓아 올려 만든 안테나. 그 자체에 전류가 흐르면서 복사기로 이용되는데, 중계방송에 많이 쓰인다.
  • 부여 무량사 오층 석 : (1)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백제 양식과 통일 신라 양식을 조화시켜 만든 탑으로, 안정적인 체감 비율로 우아하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석재의 조성 수법 등으로 볼 때 고려 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185호.
  • 도리사 석 : (1)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모전 석탑처럼 보이는 독특한 형태의 탑으로, 전체 5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ㆍ몸체ㆍ머리 장식으로 구성되었으며 2층 탑 혹은 3층 탑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구미 도리사 석탑’이다.
  • 스파스키 : (1)모스크바 크렘린 성안에 있는 옛 탑.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며 종탑과 시계탑을 겸하고 있다. 모스크바를 상징하는 유적이다.
  • : (1)옥으로 만든 탑. (2)옥으로 만든 좁고 기다란 평상. (3)주택이나 빌딩 따위의 건물 맨 꼭대기에 설치된 공간.
  • 전정탈 : (1)신하가 제기한 의견에 대하여 왕이 그 자리에서 결정함.
  • 하다 : (1)좁고 기다란 평상을 대하여 마주 앉다.
  • 지측 : (1)침상의 옆이라는 뜻으로, 영역의 안 또는 이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배수 : (1)물을 저장하고 보내기 위하여 지상이나 옥상에 세운 탑.
  • 승구 도착 방식 : (1)항공기 승객 터미널을 평면으로 배치하는 형식. 항공기를 일직선 건물에서 갈라져 퍼지는 모양으로 배치하여 승객을 항공기에 되도록이면 가까운 거리에 있게 해서 승객이 걷는 거리를 최소화한다.
  • 평제 : (1)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5층 석탑. 백제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창의적이고 정제된 기풍으로 후세 석탑의 모범이 되었다. 탑의 1층 옥신에 ‘대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어 이렇게 이른다. 국보 정식 명칭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이다.
  • 소록하다 : (1)수염이나 머리털이 배게 나 어수선하거나 다보록하다.
  • 금동 : (1)신라 말기ㆍ고려 시대에 널리 유행하였던 모형 탑. (2)고려 시대의 금동제 탑. 현존하는 것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탑 전체에 무늬 장식과 부착물이 많아 공예적 특성이 완연하지만, 목탑의 형태를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어 목조 건축의 연구 자료로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높이는 1.55미터. 국보 제213호.
  • 바벨 : (1)구약 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탑. 바벨에 사는 노아의 후손들이 대홍수 후 하늘에 닿는 탑을 쌓기 시작하였으나 여호와가 노하여 그 사람들 사이에 방언을 쓰게 하니, 서로 말이 통하지 아니하여 공사를 마치지 못하였다 한다. (2)실현 가능성이 없는 계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당 서 : (1)동쪽에 법당을 짓고 서쪽에 탑을 세우는 가람(伽藍) 배치 형식. 개성의 만복사(萬福寺)와 일본의 호류사(法隆寺)가 대표적이다.
  • 하노이 : (1)나란히 놓인 세 기둥 가운데에서 한쪽 끝에 있는 기둥에 지름이 서로 다른 원반을 여러 개 꽂은 다음에, 지름이 큰 원반이 그보다 작은 원반 위에 오지 않도록 하는 등의 규칙에 따라 다른 한쪽 끝에 있는 기둥으로 처음과 같은 모양을 갖추도록 원반을 옮기는 퍼즐.
  • 천곡사지 칠층 석 : (1)전라북도 정읍시의 속칭 전곡사 터로 불리는 곳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단층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렸고, 옥개석의 하면에 연화문을 조각하였다. 현재 상륜부재(相輪部材)는 없어지고, 7층의 옥개석 위에 노반석 하나만 놓여 있다. 고려 중엽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정읍 천곡사지 칠층 석탑’이다.
  • 밀폐 냉각 : (1)냉각탑 형식의 하나. 밀폐되어 있는 냉각탑 안에 열 교환기를 설치하여 순환수와 냉각수를 금속면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수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 효과를 얻는 방식이다.
  • 충주 청룡사지 보각 국사 : (1)조선 태조 3년(1394)에 건립된 충청북도 충주시 청룡사에 있는 부도. 팔각 원당형을 따르면서도 새로운 양식이 도입된 부도로 지표에 높은 팔각 지대석이 있고 그 위에 하대석이 놓여 있다. 높이는 263cm. 국보 제197호.
  • : (1)천하고 어리석음.
  • 고리 : (1)‘고리탑탑하다’의 어근.
  • 분천 : (1)온천의 분출구에 생긴 원추 모양의 침전물. 온천 속에 녹아 있던 규산이나 석회 성분이 침전ㆍ퇴적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 정토사 법경 대사 자등 : (1)충청북도 충주시 정토사 터에 있는, 신라 말ㆍ고려 초의 승려 법경 대사(法鏡大師) 현휘(玄暉)의 비. 최언위가 짓고 제액은 고려 태조 왕건이 썼다. 비문은 41행에 1행 89자로 대형 비이다.
  • 함정 재 이동형 수중 감시 체계 : (1)해저 고정형 수중 감시 체계로 탐지가 제한되는 해역에 대해 정보함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적 잠수함 활동을 감시하는 수중 감시 체계.
  • : (1)표지(標識)로 삼기 위하여 세운 탑.
  • 용암 첨 : (1)거의 뭉쳐서 굳어진 용암이 화구 안에서 지표로 천천히 떠밀려 올라와 분화구 위에 기둥 모양으로 돌출한 것. 1902년 소앤틸리스 제도 마르티니크섬의 몽펠레 화산 활동 때에는 최고 300미터에 달했다.
  • 경주 남사리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섬세한 기단부에 비하여 탑신의 꾸밈이 형식화된 것으로 보아, 9세기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907호.
  • 재 지역 : (1)수 개의 탑재 지점을 포함하는 육상 지역. 여기에서 탑재를 위한 최종 준비를 완료하며, 주정과 함선에 할당된 인원과 화물을 탑재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 하동 쌍계사 진감 선사 : (1)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비석. 비문에는 신라 진성 여왕 1년(887)에 왕명으로 최치원이 지은 진감 선사 혜소(慧昭)의 사적이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국보 제47호.
6 7 8 10 11 1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타, 탁, 탄, 탈, 탐, 탑, 탓, 탕, 태, 택, 탬, 탭, 탱, 터, 턱, 턴, 털, 텀, 텅, 텋, 테, 텍, 텐, 텔, 템, 텝, 텡, 텨, 텹, 톄, 토, 톡, 톤, 톨, 톱, 톳, 통, 퇴, 툅, 투, 툭, 툰, 툴, 툼, 툽, 퉁, 퉤, 튀, 튈, 튐, 튝, 트, 틀, 틈, 틉, 틔, 티, 틱, 틴, 팀, 팁

실전 끝말 잇기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 (205개) : 탑, 탑 가수, 탑각, 탑각 저항, 탑각 확장 지지대, 탑객, 탑 건물, 탑골 공원, 탑골미투리, 탑골치, 탑교, 탑구, 탑구름, 탑국, 탑기단, 탑 기중기, 탑꼴, 탑꽃, 탑다운 개발, 탑돌이, 탑동 공원, 탑두, 탑등, 탑 라이트, 탑 러너 방식, 탑 로프 고릴라 프레스 드랍, 탑 로프 스타일스 클래쉬, 탑 로프 스피닝 힐 킥, 탑 로프 싯아웃 인버티드 수플렉스 슬램, 탑 로프 오버헤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 ...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0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탑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1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