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1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17개 세 글자:246개 네 글자:145개 다섯 글자:79개 여섯 글자 이상:523개 모든 글자: 1,111개

  • 차량 재형 충전기 : (1)차량 내부에 장착하는 충전기로, 에이시(AC) 전력을 디시(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충전한 후, 되팔 때에는 에이시 계통으로 바꾸어서 전력 계통으로 보내는 양방향 기능을 하는 완속 충전기.
  • 소태리 오층 석 : (1)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소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단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렸다. 1919년 탑머리에서, 고려 예종 4년(1109)이라고 기록된 ≪당탑조성기≫가 발견되어 탑의 조성 시기를 알 수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밀양 소태리 오층 석탑’이다.
  • 탈기 : (1)유입 폐수에 섞인 암모니아 등의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탑. 공기 취입식과 진공 방식이 있다.
  • 크로마토그라프법 : (1)‘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탑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 성공 : (1)성공적으로 이루어 낸 성과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 석 및 석등 : (1)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있는 두 개의 석탑. 통일 신라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화강암으로 된 경쾌한 구조이며, 두 탑의 가운데 있는 석등과 함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국보 제44호.
  • 채유 : (1)원유를 채취하기 위하여 세운 탑. 그 속에는 무거운 설비나 기구를 내리거나 올리는 시설을 설치한다.
  • 발산리 오층 석 : (1)전라북도 군산시 발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 석탑. 원래 완주 봉림사 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였으나, 한 층이 없어져서 4층까지만 남아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군산 발산리 오층 석탑’이다.
  • 로프 프랑켄슈타이너 : (1)외국 프로 레슬링에서, 공격 기술의 하나. 상대편을 모서리 쪽 로프의 위에 앉힌 후 상대편을 마주 보고 로프에 올라간 상태에서 상대편의 목을 두 다리로 잡아 몸을 뒤로 한 바퀴 돌면서 바닥에 내던진다.
  • 울주 망해사지 승 : (1)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망해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탑. 규모와 양식이 같은 두 기의 탑이 함께 지정되었으며, 망해사 법당 북쪽에 동서로 자리하고 있다. 통일 신라 시대 승탑의 전형적 양식인 팔각 원당형을 취하였다. 보물 제173호.
  • 동해 삼화사 삼층 석 : (1)통일 신라 시대 불탑의 하나. 강원도 동해시 삼화사에 있는데,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것으로, 보존 상태가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보물 제1277호.
  • 유연 철 : (1)송전선에 사용하는 철탑의 하나로 전선로 방향의 강도를 무시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철탑 주체가 일면으로 되어 있는 철탑. 일반적인 철탑은 고정 철탑이며 휨 철탑과는 달리 전선로 방향의 하중과 선로 방향의 하중을 완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립상화 : (1)‘입상화 탑’의 북한어.
  • 서천 성북리 오층 석 : (1)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을 충실하게 모방하였으나 안정감이 떨어진다. 세부 표현으로 보아 지방색이 강한 고려 시대의 탑으로 추정되며, 백제계 석탑의 양식 전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보물 제224호.
  • : (1)건물 옥상에 사람이 살 수 있도록 만든 방.
  • 식살림집 : (1)높이 솟은 탑 모양으로 폭은 좁으면서도 높게 지은 살림집.
  • 개방식 냉각 : (1)냉각수가 냉각용 공기와 집적 접촉하여 열을 교환하는 냉각탑.
  • 튜브 : (1)원통형으로 몸에 딱 달라붙고 어깨가 드러나는 여성용 윗옷. ⇒규범 표기는 ‘튜브톱’이다.
  • : (1)탑에 새긴 글.
  • 각도 철 : (1)선로의 수평 각도가 3~30도인 개소에 설치되는 철탑. 선로에 수평각이 있을 경우에 지지물 양쪽 경간의 가섭선 장력 때문에 생기는 수평 종하중을 견디도록 특별히 설계된 철탑이다.
  • : (1)탑기단(塔基壇)과 상륜(相輪) 사이의 탑의 몸. (2)동네 수호신을 상징하는 돌탑이나 돌무더기. 동네 어귀에 세우거나 쌓는다.
  • 남원 실상사 증각 대사 : (1)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탑. 증각 대사 홍척의 사리를 모셔 놓은 탑으로, 형태는 전형적인 팔각 원당형이다. 탑에 새겨진 조각은 마모가 심하여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우며, 탑신의 각 면에는 문(門)과 사천왕이 함께 새겨져 있다. 보물 제38호.
  • 상주 상오리 칠층 석 : (1)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것으로, 가파르게 치솟아 경쾌해 보이지만 안정감은 떨어진다. 통일 신라 시대의 양식을 이어받아 고려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683호.
  • : (1)군대에서, 운전자와 동승하여 운전을 통제하고 감독하는 사람.
  • 포종 : (1)탑 속의 단판에 포종 분산기가 설치되어 있어 효율이 비교적 높고 많은 양을 처리할 수 있어 공업용으로 쓰이는 단탑의 일종.
  • 구미 도리사 석 : (1)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모전 석탑처럼 보이는 독특한 형태의 탑으로, 전체 5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ㆍ몸체ㆍ머리 장식으로 구성되었으며 2층 탑 혹은 3층 탑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470호.
  • 충주 평리 칠층 석 : (1)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층의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형성하고 그 정상에 상륜부(相輪部)를 구성한, 통일 신라 시대의 유일한 7층 석탑이다. 국보 제6호.
  • 식안테나 : (1)‘철탑 안테나’의 북한어.
  • : (1)골프에서, 골프채로 공을 맞추지 못하고 공의 윗부분을 헛치는 일.
  • 나무 : (1)‘목탑’의 북한어.
  • 응축 : (1)원자로에서 발생하여 발전기 터빈을 돌리고 난 후의 증기를 응축하여 액체로 만드는 장치.
  • : (1)승려의 별호.
  • 원주 거돈사지 삼층 석 : (1)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지에 있는,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탑신의 지붕돌 처마가 직선을 이루다가 끝부분에서 들리는 것으로 보아 통일 신라 시대인 9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750호.
  • 공든 이 무너지랴 : (1)공들여 쌓은 탑은 무너질 리 없다는 뜻으로,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한 일은 그 결과가 반드시 헛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변전 : (1)두 개 이상의 전주로 탑을 만들고 그 위에 변압기와 부대설비를 설치한 구조물.
  • 관제 시정 : (1)공항 관제탑에서 결정한 우시정.
  • : (1)철탑의 기초와 몸체 사이의 다리 부분.
  • 분수 : (1)탑 모양으로 높직이 단을 쌓고 그 위에서 분수가 나오도록 만든 장치.
  • 상운 : (1)탑 모양으로 머리 부분이 높이 올라간 구름. 뇌우가 일어나기 쉽다.
  • 선박 재 지구국 : (1)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선박의 지구국. 고정 위성 업무에 사용되는 지구국과 비슷하다.
  • 인각사 보각 국사 및 비 : (1)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인각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과 탑비. 고려 말에 활동한 보각 국사 일연(一然)의 것이다. 승탑은 팔각 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몸돌에 탑명과 사천왕 따위가 새겨져 있다. 탑비는 현재 손상이 심하지만 비문의 사본이 월정사에 전해져 내용을 알 수 있다. 비는 고려 충렬왕 21년(1295)에 세워졌으며, 승탑 또한 일연이 입적한 1289년에서 1295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군위 인각사 보각 국사 탑 및 비’이다.
  • 진양 효자리 삼층 석 : (1)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의 옛 절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기단의 일부가 땅에 묻혀 있고,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층마다 한 돌로 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진주 묘엄사지 삼층 석탑’이다.
  • 화엄사 동 오층 석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 대웅전 단(壇) 아래 동쪽에 있는 석탑. 단층 기단이며, 조각 장식이 없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구례 화엄사 동 오층 석탑’이다.
  • 재물 : (1)배, 비행기, 차 따위에 실은 물건.
  • 칠곡 송림사 오층 전 사리 장엄구 벽옥 관옥 : (1)1959년에 칠곡 송림사 오층 전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 발굴된 통일 신라 시대의 유리로 만든 구슬. 길이 2cm 내외의 푸른색 관옥이 4개 발견되었다. 보물 제325-6호.
  • 승원 : (1)배나 비행기, 기차 따위에 탑승하여 일정한 일을 맡아보는 사람.
  • 법천사 지광 국사 현묘 : (1)강원도 원주시 법천사 터에 있던 지광 국사의 묘탑(廟塔). 고려 문종 24년(1070)에서 선종 2년(1085)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평면 방형(平面方形)을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양식의 부도(浮屠)로서 조각이 아름다우며 우리나라 묘탑 가운데 최대의 걸작이다. 현재 옛 국립 중앙 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원주 법천사지 지광 국사 탑’이다.
  • 이끼 : (1)탑이낏과에 속하는 이끼. 높이는 8~15cm이며,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산림 속에서 자란다.
  • 충주 정토사지 홍법 국사 : (1)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정토사지에 있던 홍법 국사의 부도. 국사가 입적한 고려 현종 8년(1017)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팔각 원당형(圓堂形)을 유지하면서도 일부에 새로운 창안을 가미하였다.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국보 제102호.
  • 합천 해인사 길상 : (1)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탑. 전체적으로 단아하면서도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이는 통일 신라 후기의 대표적인 소탑(小塔)이며, 탑지의 기록은 당시 사회ㆍ경제적 상황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보물 제1242호.
  • 투구형 철 : (1)윗부분이 커지고 중간 부분이 좁은 모양을 한 철탑. 공중선을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여 전선로와 수직으로 철탑 주체 내에 트러스 들보를 설치하여 중앙 전선을 지탱한다.
  • 튜브 원피스 : (1)원통형으로 윗부분이 몸에 딱 달라붙고 어깨가 드러나는 원피스. ⇒규범 표기는 ‘튜브톱 원피스’이다.
  • 성주 법수사지 삼층 석 : (1)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탑. 9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올렸다. 대체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보물 제1656호.
  • 거돈사지 삼층 석 : (1)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지에 있는,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탑신의 지붕돌 처마가 직선을 이루다가 끝부분에서 들리는 것으로 보아 통일 신라 시대인 9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원주 거돈사지 삼층 석탑’이다.
  • 충주 청룡사지 보각 국사 앞 사자 석등 : (1)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등. 사자 모양의 하대석 위에 사각형의 부재를 올렸다. 장식 수법에서 고려 시대의 양식이 나타나지만, 탑비의 기록으로 보아 조선 태조 즉위 초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656호.
  • 삐사의사 : (1)‘피사의 사탑’의 북한어.
  • 구미 낙산리 삼층 석 : (1)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1층 몸돌의 남쪽에 감실(龕室)이 설치되어 있다. 몸돌과 지붕돌은 다소 뒤 시기의 양식인 반면에 기단은 초기의 양식이 혼재되어 있는 독특한 구성을 취하였다. 보물 제469호.
  • 전신 : (1)열반한 이의 온몸을 넣고 쌓아 만든 탑. 법화경에서 말한 다보탑 따위이다.
  • 경주 마동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마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불국사 서북쪽 언덕에 세워져 있다. 장식이나 조각을 하지 않은 소박한 모습의 석탑으로, 8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912호.
  • 신륵사 다층 전 : (1)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전탑. 이중 기단을 두고 그 위에 삼단의 계단을 쌓은 뒤에, 흙벽돌로 여러 층의 탑신부를 올렸다. 각 층의 비례가 일정하지 않아 안정감이 다소 떨어진다. 처음 세워진 이후 수리를 거치면서 전체적인 형태가 다소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여주 신륵사 다층 전탑’이다.
  • 흥법사 진공 대사 부 석관 : (1)강원도 원주시 흥법사 터에 있던 고려 시대 진공 대사의 사리탑과 돌로 만든 함. 탑은 전체가 팔각의 기본적인 형태이다. 탑 왼쪽의 돌로 만든 함에는 불교 경전 및 이와 관련된 유물이 들었는데, 뚜껑까지 완전하게 남아 있다. ≪고려사≫ 기록에 따르면, 태조 23년(940)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원주 흥법사지 진공 대사 탑 및 석관’이다.
  • 증류 : (1)여러 성분이 들어 있는 액체를 증류하여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 위성 : (1)위성을 우주 발사체에 싣는 일.
  • 강릉 보현사 낭원 대사 : (1)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탑비.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동한 낭원 대사 개청의 것으로, 고려 태조 23년(940)에 세워졌다. 당대의 문장가인 최언위가 비문을 짓고, 서예가인 구족달이 글씨를 썼다. 보물 제192호.
  • 화엄사 서 오층 석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 대웅전 단(壇) 아래 서쪽에 있는 석탑. 이중 기단이며, 석탑 하단에는 십이지 신상이 새겨져 있고 조각 장식이 장엄하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구례 화엄사 서 오층 석탑’이다.
  •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 석 : (1)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기가 나란히 동서로 배치된 쌍탑이다. 동탑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으나 서탑은 무너져 있던 것을 1979년에 복원하였다. 이중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동일한 형식으로 보인다. 세부 수법으로 보아 9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677호.
  • 원주 흥법사지 삼층 석 : (1)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흥법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이다. 기단부보다 탑신부가 작아 균형미가 떨어지며, 돌의 구성이나 조각 수법이 소박하다. 보물 제464호.
  • 청원 계산리 오층 석 : (1)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계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지붕돌 아래 받침이 1ㆍ2층은 5단, 3ㆍ4층은 4단, 5층은 3단으로 줄어드는 구조이며, 지붕돌의 낙수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고려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511호.
  • 입상화 : (1)화학 비료 생산에서, 질소암모늄ㆍ요소 따위와 같이 녹는점이 낮은 용융물을 입자 모양으로 결정화할 때 쓰는 기구. 속이 빈 높은 원통형의 탑으로, 탑 위에서 뿌려지는 비료 용융물이 탑 아래에서 올라가는 찬 공기에 의하여 냉각ㆍ결정화되면서 입자 모양으로 된다.
  • 여주 신륵사 다층 전 : (1)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전탑. 이중 기단을 두고 그 위에 삼단의 계단을 쌓은 뒤에, 흙벽돌로 여러 층의 탑신부를 올렸다. 각 층의 비례가 일정하지 않아 안정감이 다소 떨어진다. 처음 세워진 이후 수리를 거치면서 전체적인 형태가 다소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26호.
  • : (1)왈칵 달려들어 냉큼 물거나 움켜잡는 모양. ‘답삭’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상륜 : (1)한 개의 기둥 위에 상륜을 올린 탑.
  • 차례 : (1)차례 때에, 탑처럼 높이 괴어 올린 제물(祭物).
  • : (1)서로의 관계에 사랑이나 인정이 많고 깊다.
  • 강화 장정리 오층 석 : (1)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무너져 있던 탑을 1960년에 수리하여 다시 쌓았다. 전반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주며 장식이 많이 생략되고 형식화한, 고려 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이다. 보물 제10호.
  •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 석 : (1)강원도 인제군 북면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탑. 9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통일 신라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을 보이는 것으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편이다. 보물 제1276호.
  • 형 굴착기 : (1)멀리 떨어진 두 탑 사이에 밧줄을 걸고 통을 매달아 한쪽 탑으로 끌어당기면서 흙모래를 긁어 담는 굴착기.
  • : (1)꼭대기에 종을 매달아 치도록 만든 탑. (2)이탈리아 교회 건축에서, 교회당의 옆에 세워서 종을 매다는 탑. 초기 기독교 시대에서 바로크 시대 초기까지 사용하였다.
  • 특수 철 : (1)발전소에서 전기를 보내는 전선로가 나뉘는 지점이나 표준형 철탑을 이용할 수 없는 지점에 특수 설계에 따라 설치한 철탑.
  • 식 황산 : (1)탑식법으로 얻은 아황산 가스를 질소 산화물의 도움으로 산화하여 만든 황산. 약 70%의 농도로 생산되는데 접촉황산에 비하여 불순물이 많이 들어 있으며, 주로 화학 비료 생산에 쓴다.
  • 이회선 철 : (1)이회선의 가공 전선을 중간에서 지지해 주는 철탑.
  • 영천 신월리 삼층 석 : (1)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신월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로, 위층 기단 각 면에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다. 각 부의 구조와 수법으로 보아 9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465호.
  • 속초 향성사지 삼층 석 : (1)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향성사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였다. 조형적인 아름다움은 다소 떨어지지만, 동해안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신라 석탑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보물 제443호.
  • : (1)큰 탑이라는 뜻으로, ‘오륜탑’을 이르는 말. 진언종에서 꼽는 칠당(七堂)의 하나이다. (2)좁고 기다란 평상을 대하여 마주 앉음.
  • 남계원 칠층 석 : (1)고려 시대의 화강암 석탑. 고려 전기 석탑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경기도 개성 부근 남계원 터에 있던 것을 경복궁으로 이건(移建)하였다가, 이후 기단이 추가 출토되자 다시 복원하여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옮겨 놓았다. 국보 정식 명칭은 ‘개성 남계원지 칠층 석탑’이다.
  • 감은사지 서 삼층 석 사리 장엄구 금동 사리기 : (1)1960년에 경주 감은사지 서쪽 삼층 석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에 발굴된, 청동으로 만든 사리기. 연꽃과 덩굴, 신장상ㆍ주악상ㆍ동자상 따위로 장식하였다. 전체적으로 탑의 형태이며 수정으로 만든 사리병이 안치되어 있다. 보물 제366-1호.
  • 강진 금곡사 삼층 석 : (1)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금곡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백제 양식을 이은 탑으로, 기단에서 삼층 탑신에 이르는 비례가 안정적이고 짜임새가 있다. 보물 제829호.
  • 자승식기중기 : (1)고층 건물을 지을 때 층수가 올라감에 따라 올라가며 작업하는 타워 크레인. 흔히 건물의 승강기실 따위에 설치한다.
  • 영양 산해리 오층 모전석 : (1)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폐사(廢寺)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화강암 석탑. 국보 제187호.
  • 봉인사 부도암 사리 및 사리 장엄구 : (1)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사리탑과 사리 장치. 팔각 원당형의 일반적인 형태로, 내부에 봉안된 사리 장치의 명문을 통해 광해군 12년(1620)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불법으로 반출되었다가 1987년에 반환되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 장엄구’이다.
  • 수마노 : (1)수마노로 쌓은 탑.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 법당 앞에 있는 탑이 대표적이다.
  • 문경 봉암사 정진 대사 : (1)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리탑.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동한 정진 대사 긍양의 것으로, 고려 광종 16년(965)에 세워졌다. 봉암사 지증 대사 탑을 모방하고 있으나, 비례감과 조각 수법 따위에서 다소 떨어진다. 보물 제171호.
  • 수직갱 : (1)석탄 채굴 작업이 이루어지는 지하 탄광을 지상과 연결하는 수직 갱도의 입구.
  • 목표 : (1)항공기의 항로 표지를 위한 탑 따위의 구조물.
  • 양평 용문사 정지 국사 및 비 : (1)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정지 국사의 사리탑과 비. 탑은 바닥돌과 아래 받침돌이 사각이고 위 받침돌과 탑신이 팔각이다. 탑신에는 문짝 모양이 새겨져 있고, 지붕돌 꼭대기에 연꽃 모양 장식이 있다. 비는 위쪽의 좌우 모서리를 깎아 낸 형태이다. 글씨는 해서체이고, 글은 권근이 지었다. 보물 제531호.
  • 테이블 : (1)스튜디오 장비들을 모아서 설치하는 랙 마운트와는 달리 지지대 없이 프로세스 모듈과 전자 악기 따위를 책상 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치.
  • 시기 : (1)‘솜먼지’의 방언 (2)‘검불’의 방언 (3)‘쓰레기’의 방언
  • 신석 : (1)석탑의 몸체를 이루는 돌.
  • 랭각 : (1)‘냉각탑’의 북한어.
  • 말림 : (1)‘건조탑’의 북한어.
2 3 4 6 7 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타, 탁, 탄, 탈, 탐, 탑, 탓, 탕, 태, 택, 탬, 탭, 탱, 터, 턱, 턴, 털, 텀, 텅, 텋, 테, 텍, 텐, 텔, 템, 텝, 텡, 텨, 텹, 톄, 토, 톡, 톤, 톨, 톱, 톳, 통, 퇴, 툅, 투, 툭, 툰, 툴, 툼, 툽, 퉁, 퉤, 튀, 튈, 튐, 튝, 트, 틀, 틈, 틉, 틔, 티, 틱, 틴, 팀, 팁

실전 끝말 잇기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 (205개) : 탑, 탑 가수, 탑각, 탑각 저항, 탑각 확장 지지대, 탑객, 탑 건물, 탑골 공원, 탑골미투리, 탑골치, 탑교, 탑구, 탑구름, 탑국, 탑기단, 탑 기중기, 탑꼴, 탑꽃, 탑다운 개발, 탑돌이, 탑동 공원, 탑두, 탑등, 탑 라이트, 탑 러너 방식, 탑 로프 고릴라 프레스 드랍, 탑 로프 스타일스 클래쉬, 탑 로프 스피닝 힐 킥, 탑 로프 싯아웃 인버티드 수플렉스 슬램, 탑 로프 오버헤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 ...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0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탑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1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