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447개

  • 재약속 : 再約束 이미 약속한 일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거나 신뢰를 얻지 못하여 또다시 약속함.
  • 재연습 : 再練習 학문이나 기예 따위를 익숙하도록 다시 되풀이하여 익힘.
  • 재용선 : 再傭船 운송용으로 배를 빌려 쓰는 사람이 자신이 빌린 선박을 제삼자에게 다시 빌려주는 일.
  • 재운선 : 再運船 조선 시대에, 한 해에 두 번씩 세곡(稅穀)을 실어 나르던 배.
  • 재원생 : 1 在院生 소년원, 감화원 따위의 ‘원(院)’ 자가 붙은 기관에 수용 중인 사람. 2 在院生 유치원, 미술 학원, 음악 학원, 입시 학원, 영재 교육원 따위의 ‘원(院)’ 자가 붙은 기관이나 학교에 등록해 배우고 있는 사람.
  • 재응시 : 再應試 다시 시험에 응함.
  • 재이수 : 再履修 해당 강의나 과목을 온전히 마치지 못하여, 다시 순서대로 공부하여 마침.
  • 재이식 : 再移植 이식했던 것에 문제가 생겨 다시 하는 이식.
  • 재인쇄 : 再印刷 이미 한 번 인쇄한 적이 있는 글이나 그림 따위를 다시 인쇄함.
  • 재인식 : 1 再認識 본디의 인식을 고쳐 새롭게 인식함. 2 再認識 과거에 경험한 것을 현재의 경험 속에서 다시 의식에 떠올리는 일.
  • 재임신 : 再妊娠 다시 하는 임신.
  • 재입사 : 再入社 어떤 회사를 이미 한 번 그만두었다가 그 회사나 다른 회사에 다시 들어감.
  • 재입성 : 再入城 선망하던 세계나 방면으로 다시 진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재입소 : 再入所 훈련소, 연구소, 교도소 따위에 다시 들어감.
  • 저압선 : 低壓線 배전선에서, 전압을 낮추어 수요자에게 보내는 전선. 보통 상전압 220볼트의 삼상 사선식을 많이 쓴다.
  • 저압실 : 低壓室 낮은 압력이 유지되도록 설비를 갖춘 방.
  • 저앙수 : 低昂袖 한 팔씩 앞으로 넘기는 춤사위.
  • 저어새 : 1 저어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저어샛과의 새. 노랑부리저어새와 비슷한데 조금 작으며, 뒷머리와 목은 노란색이다. 댕기는 누런 갈색, 눈 둘레와 부리는 검은색이고 부리는 긴 구둣주걱 모양이다. 한국, 동북아시아, 중국 등지에서 번식하는데 일본, 중국 남부, 대만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천연기념물 제205-1호.
  • 저역서 : 著譯書 저서와 역서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저연승 : 底延繩 닻을 이용하여 바닥에 놓는 주낙. 저층의 물고기를 낚는 데 쓴다.
  • 저열성 : 低劣性 품격이 낮고 보잘것없는 특성이나 성질.
  • 저염식 : 抵鹽食 소금을 적게 넣어 만든 음식.
  • 저예산 : 低豫算 적은 예산.
  • 저온성 : 低溫性 온도가 낮은 성질.
  • 저온수 : 低溫水 온도가 낮은 물.
  • 저온식 : 低溫式 저온으로 처리하는 방식.
  • 저울살 : ‘지렛대’의 옛말.
  • 저유소 : 貯油所 석유, 휘발유 따위의 기름을 저장하여 두는 곳.
  • 저유실 : 貯乳室 낙농 농가에서, 짠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탱크가 있는 곳.
  • 적연석 : 赤鉛石 크로뮴산 납으로 이루어진 광물. 단사 정계에 속하는 기둥 모양 또는 바늘 모양의 결정으로, 가루로 만들어 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물감이나 안료 따위로 쓴다.
  • 적외선 : 赤外線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길며 극초단파보다 짧은 750μm~1mm의 전자기파. 눈으로는 볼 수 없고 일반적으로 공기 가운데에서 산란되기 어려우며, 가시광선보다 투과력이 강하다. 사진 적외선ㆍ근적외선ㆍ원적외선 따위로 나눌 수 있는데, 단파장 부분에는 사진 작용ㆍ형광 작용ㆍ광전(光電) 작용이 있어, 적외선 사진이나 적외선 통신ㆍ물질 감정ㆍ의료 따위에 이용한다. 1800년에 허셜이 발견하였다.
  • 적은샌 : ‘시동생’의 방언
  • 적은설 : ‘작은설’의 방언
  • 적응성 : 1 適應性 일정한 조건이나 환경 따위에 맞추어 알맞게 변화하는 성질. 2 適應性 생물의 형태나 습성이 환경의 변화에 적합하게 변화하는 능력이나 성질. 3 適應性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시스템 제약 조건이나 사용자의 요구를 얼마나 쉽게 총족시킬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성질.
  • 적의성 : 適宜性 무엇을 하기에 알맞고 마땅한 성질.
  • 전아사 : 餞迓辭 작별하고 새로 맞으면서 하는 말.
  • 전악서 : 典樂署 장악 기관의 하나.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예조(禮曹)에 속하여 궁중 음악을 관장하던 관아로,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태악서(太樂暑)를 고친 것이다. 조선에 계승되어 세조 때 장악원으로 통합되었다.
  • 전안상 : 奠雁床 전안을 할 때에 기러기를 올려놓는 상.
  • 전암성 : 轉癌性 암으로 되기 쉬운 성질.
  • 전압선 : 電壓線 배전 간선에서 발전소나 배전소까지 끌어온 가는 전선. 그 끝을 소내(所內)의 전압계에 연결하여 전압을 나타낸다.
  • 전약실 : 煎藥室 약을 달이는 방.
  • 전업사 : 電業社 여러 가지 전기 기구 따위를 팔거나, 전깃줄을 공중에 건너질러 설하는 데에 관한 일을 해 주는 가게.
  • 전여성 : 田汝成 중국 명나라 때의 정치가(?~?). 복건제학부사(福建提學副使)에 올랐으나 해임되어 명승지를 유람하고 다니면서 그곳에 관한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저서로 ≪염요기문(炎徼紀聞)≫, ≪서호유람지(西湖遊覽志)≫, ≪무이유영(武夷游詠)≫ 등이 있다.
  • 전역서 : 轉役書 군(軍)에서, 현재까지 복무하던 역종(役種)에서 다른 종으로 바꾸어 달라고 청원하는 서류.
  • 전역식 : 轉役式 군인이 현역 복무를 마치고 예비역이 될 때 행하는 의식.
  • 전연사 : 典涓司 조선 시대에, 공조(工曹)에 속하여 궁궐의 수리와 청소를 맡아보던 관아. 세조 12년(1466)에 경복궁제거사를 고친 것으로, 뒤에 선공감(繕工監)에 합쳐졌다.
  • 전열선 : 電熱線 전류를 통하여 전열을 발생시키는 도선(導線). 니크롬선이 많이 쓰인다.
  • 전열식 : 電熱式 저항선에 전류를 통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방식.
  • 전염성 : 傳染性 남에게 옮아가는 성질.
  • 전옥서 : 1 典獄署 고려 시대에, 감옥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대리시(大理寺)로 고쳤다가 문종(文宗) 때 다시 이것으로 고쳤다. 2 典獄署 조선 시대에, 감옥의 죄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1년(1392)에 두었다가 고종 31년(1894)에 없애고 감옥서로 고쳤다.
  • 전옥실 : 典獄室 일제 강점기에, 형무소에서 전옥(典獄)이 사무를 보던 방.
  • 전용석 : 專用席 남과 공동으로 쓰지 아니하고 혼자 쓰거나 특정 부류의 사람만이 쓰는 자리.
  • 전용선 : 1 專用船 특정한 화물만을 실어 나르도록 만든 화물선. 2 專用線 다른 사람은 쓰지 아니하고 혼자서만 쓰는 전화. 3 專用線 전용으로 쓰는 철도의 선로. ... (총 4개의 의미)
  • 전용성 : 專用性 남과 공동으로 쓰지 아니하고 혼자서만 쓰는 성질.
  • 전용식 : 專用食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이 먹는 음식.
  • 전용실 : 專用室 특정한 사람만이 사용하는 방.
  • 전운사 : 1 轉運使 고려 초기에, 지방에서 징수한 조부(租賦)를 개경(開京)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파견했던 벼슬아치. 현종 20년(1029)에 없앴다. 2 轉運使 조선 시대에, 세곡(稅穀)의 운반을 맡아 하던 전운서의 벼슬아치.
  • 전운서 : 轉運署 조선 후기에, 충청도ㆍ전라도ㆍ경상도의 세미(稅米)를 서울로 실어 오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고종 20년(1883)에 설치하였다가 31년(1894)에 없앴다.
  • 전운소 : 轉運所 조선 시대에, 조세 양곡의 뱃길 운반을 맡아보던 지방 관아.
  • 전원상 : 全原像 한 대상을 영상으로 가지는 원상 전부의 집합.
  • 전원성 : 田園性 문학 작품의 전원적 특징을 이르는 말. 전원 문학은 대개 도회성에 반하여 소박하고 건전하며 감상적인 경향을 띤다.
  • 전원시 : 田園詩 전원의 생활이나 정경을 읊은 시.
  • 전월세 : 傳月貰 전세와 월세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전위사 : 餞慰使 조선 시대에, 명나라ㆍ청나라 사신이 돌아갈 때에 국경까지 전송하고 위로하는 일을 맡아하던 임시 벼슬.
  • 전위샘 : 前位샘 남성 생식 기관의 요도가 시작되는 부위를 둥글게 둘러싸는 장기. 정액의 액체 성분을 이루는 유백색의 액체를 요도로 분비하여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 전위선 : 前位腺 남성 생식 기관의 요도가 시작되는 부위를 둥글게 둘러싸는 장기. 정액의 액체 성분을 이루는 유백색의 액체를 요도로 분비하여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 전위성 : 前衛性 예술 운동에서, 선구적이고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꾀하는 경향.
  • 전유성 : 錢維城 중국 청나라의 화가(1720~1772). 자는 종반(宗盤). 호는 다산(茶山)ㆍ유암(紐庵)ㆍ가헌(稼軒). 서화(書畫)에 모두 능하고 산수화의 명수라 불렸다. 율례(律例)를 적용하는 데 힘쓰고, 구이저우성(貴州省)의 적자 재정을 바로잡으며, 묘족(苗族)의 반란을 진압하는 따위의 공을 세웠다. 저서에 ≪다산집≫이 있다.
  • 전음성 : 傳音性 음이 음파라는 공기의 소밀 현상에 의해 전달되어 가는 성질.
  • 전읍서 : 典邑署 통일 신라 시대에, 도성 안의 모든 일을 다스리던 관아. 전경부(典京府)로 고쳤다.
  • 전의사 : 典醫司 조선 시대에, 궁중에 속하여 의약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고종 22년(1885)에 내의원을 고친 것이다.
  • 전의성 : 轉義性 근본 뜻에서 바뀌어 변하는 성질.
  • 전의시 : 1 典儀寺 고려 시대에, 제사를 주관하고 왕의 묘호(廟號)와 시호(諡號)를 제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34년(1308)에 봉상시를 고친 것이다. 2 典醫寺 고려 시대에, 의약과 치료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공민왕 때 사의서(司醫署)를 고친 것이다.
  • 전의식 : 前意識 현재는 의식되지 아니하나 생각하여 내려고 하면 약간의 노력으로 떠올릴 수 있는 지식이나 정서, 심상과 같은 정신의 범위. 프로이트의 용어로, 그는 이를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두었다.
  • 전이사 : 轉移射 한 목표에 대한 사격을 통하여 얻어지는 결과를 이용하여 사격 제원(諸元)을 수정한 다음, 다른 목표를 쏘는 사격법.
  • 전이성 : 1 轉移性 동사로 표현되는 행동이 다른 대상에 직접 옮아가는 특성. 2 轉移性 몸의 다른 곳에서 난 것이 옮아와서 어떤 병을 일으키는 성질.
  • 전이술 : 轉移術 어떤 것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 또는 어떤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옮기는 시술.
  • 전인성 : 全人性 지(知)ㆍ정(情)ㆍ의(意)를 모두 갖춘 사람의 특성.
  • 전일사 : 前日事 전날에 있었던 일.
  • 전일성 : 全一性 완전한 성질. 또는 하나의 전체로서 통일을 이루고 있는 성질.
  • 전입생 : 轉入生 다른 곳에서 전학하여 온 학생.
  • 절연선 : 絕緣線 절연 재료로 거죽을 덮어씌운 도선(導線). 절연 재료에는 고무, 비닐, 에나멜 따위가 사용된다.
  • 절연성 : 絕緣性 전기가 통하지 아니하는 성질.
  • 절욕설 : 節慾說 영국의 경제학자 시니어가 제창한 이자와 이윤에 관한 원리. 자본은 사람들이 소비를 억제하고 저축한 것으로, 그 희생에 대한 보수가 이자와 이윤이라고 설명하였다.
  • 절인사 : 절人事 절을 하여 드리는 인사.
  • 절임식 : 절임式 소금, 장, 술찌기, 설탕 따위를 써서 절이는 조리 방식.
  • 점악성 : 漸惡性 어떤 질병이나 증상이 점점 더 나빠지는 성질이나 상태.
  • 점안수 : 點眼水 눈에 직접 한 방울씩 떨어뜨려 사용하는 안약.
  • 점안식 : 點眼式 불상을 만들거나 불화를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는 의식.
  • 점액산 : 粘液酸 카복시기가 두 개 있는 유기산의 하나. 무색의 고체로, 갈락토스 또는 갈락톤산을 질산으로 산화시켜 얻는다. 화학식은 C6H10O8.
  • 점액상 : 粘液狀 생물이 만드는 끈끈한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점액샘 : 粘液샘 점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샘.
  • 점액선 : 粘液腺 점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샘.
  • 점액성 : 粘液性 점액의 성질. 또는 점액과 같은 성질.
  • 점액소 : 粘液素 동물의 외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점성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당단백질과 무코단백질의 혼합물로 세포의 표면이나 체표면을 보호한다.
  • 점역실 : 點譯室 말이나 보통의 글자를 점자로 고치는 방. 또는 그런 곳.
  • 점유수 : 占有數 양자 역학에서 어떠한 양자 역학적 상태를 차지하고 있는 입자의 수. 페르미온의 점유수는 0 또는 1이며, 보손의 점유수는 0과 양의 정수를 갖는다.
  • 점이성 : 漸移性 차차 옮아가는 성질.
  • 접요사 : 接腰辭 단일한 어기의 중간에 삽입되는 요소. 학자에 따라서는 피동 어간 형성 접미사, 사동 어간 형성 접미사 따위를 접요사로 보는 일이 있으나 한국어에서는 접요사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접음솔 : 짧게 자른 한쪽 시접을 다른 한쪽의 시접으로 싼 후 눌러 박거나 감친 솔기.
1 3 4 5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084 개의 단어) 🦋
  • 자아 自我 :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정신 분석학에서는 이드(id),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현실 원리에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한다.
  • 자안 字眼 : 한문으로 된 글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목의 글자.
  • 자애 : ‘자새’의 방언
  • 자액 自縊 : 스스로 목을 매어 죽음.
  • 자야 子夜 :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 자약 自若 : ‘자약하다’의 어근.
  • 자양 字樣 : 글자의 모양.
  • 자어 子魚 : 조그마한 물고기.
  • 자억 自抑 : 자기 자신을 억제함.
(총 1,471 개의 단어) 🏵
  • 아사 亞使 : 정사(正使)를 돕던 버금 사신.
  • 아삭 : 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보드랍게 베어 물 때 나는 소리.
  • 아산 牙山 : 충청남도의 서북부에 있는 시. 농업, 축산업 외에 임업, 수산업, 방직업이 발달하였다. 공업 단지로서의 개발 잠재력이 크며 명승지로 신정호, 영괴대, 온양 온천, 현충사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온양시와 아산군을 통합하여 신설된 도농 복합 형태의 시이다. 면적은 542.37㎢.
  • 아살 餓殺 : 굶겨 죽임.
  • 아삼 峨蔘 : 산형과에 속한 털전호의 생약명. 뿌리를 약용하며 통기에 효능이 있어 보중익기, 비허식창, 사지 무력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쓴다.
  • 아삽 亞翣 : ‘불삽’을 달리 이르는 말. ‘亞’ 자가 쓰인 것을 근거로 하여 붙은 이름이다.
  • 아상 我相 : 사상(四相)의 하나.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참다운 ‘나’가 있다고 집착하는 견해를 이른다.
  • 아새 : ‘접때’의 방언
  • 아생 芽生 : 씨앗에서 싹이 틈.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