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447개

  • 접이섶 : 누에를 올리는 누에섶의 하나. 짚 또는 왕골과 같은 것으로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게 만든다. 나쁜 고치가 적게 생기는 장점이 있지만 만드는 데 인력이 많이 든다.
  • 접이식 : 1 접이式 가구나 기계 따위의 일부를 접었다가 펼 수 있도록 만든 방식. 2 접이式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방식.
  • 정아삽 : 頂芽揷 꺾꽂이를 할 때 정아(頂芽)가 붙은 선단 부위를 잘라 삽목하는 일.
  • 정안수 : 井안水 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 조왕에게 가족들의 평안을 빌면서 정성을 들이거나 약을 달이는 데 쓴다. ⇒규범 표기는 ‘정화수’이다.
  • 정암사 : 淨巖寺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에 있는 절. 월정사의 말사(末寺)로, 신라 때 자장(慈藏)이 창건하였다. 수마노탑이 있다.
  • 정압실 : 定壓室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곳.
  • 정액샘 : 精液샘 방광에 접하여 정액의 성분을 분비하는 샘. 크기는 새끼손가락만 하며 분비관은 정관과 만나 사정관을 이룬다.
  • 정액세 : 定額稅 납세자나 그 밖의 사정에 관계없이 일정한 금액을 거두는 조세. 인두세나 생활필수품의 소비세 따위이다.
  • 정양사 : 正陽寺 강원도 금강산에 있는 절. 표훈사의 말사(末寺)로, 백제 무왕 원년(600)에 관륵이 창건하고 신라 문무왕 원년(661)에 원효가 중건하였다. 육면(六面) 약사전과 삼층 석탑이 유명하다.
  • 정양생 : 靜養生 정양소에서 정양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
  • 정양소 : 靜養所 몸과 마음의 안정과 휴양을 위한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
  • 정언신 : 鄭彦信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27~1591). 자는 입부(立夫). 호는 나암(懶菴). 1583년에 도순찰사로서 이탕개(尼湯介)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북변(北邊) 방비에 힘썼다. 정여립의 모반과 관련되었다는 모함 때문에 갑산에 귀양 가서 죽었다.
  • 정역수 : 定役囚 교도소에 갇혀 일정한 작업을 하며 복무하는 죄수.
  • 정연성 : 井然性 짜임새와 조리가 있는 성질.
  • 정영수 : 精英樹 모양과 재질이 부근의 다른 나무보다 특별히 뛰어난 나무. 우량(優良) 임업 품종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
  • 정오선 : 正午線 관측 지점의 지평면 위에서 남점(南點)과 북점(北點)을 연결한 직선. 천구(天球)의 자오면과 지평면이 만나는 선이다.
  • 정옥사 : 錠玉沙 옥과 돌을 갈거나 깎는 데 쓰는, 붉은 갈색의 매우 단단한 모래.
  • 정온성 : 定溫性 항상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
  • 정원사 : 庭園師 정원의 꽃밭이나 수목을 가꾸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정원석 : 庭園石 주택의 뜰이나 정원 내에 조형미 또는 풍치가 나도록 배치한 돌.
  • 정원수 : 1 庭園手 정원의 꽃밭이나 수목을 가꾸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2 庭園樹 정원에 심어 가꾸는 나무.
  • 정위성 : 定位性 3차원적인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병소나 치료 부위를 입체적으로 정확하게 정하는 성질.
  • 정위술 : 定位術 삼차원적 배열 또는 삼차원적 좌표를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는 방법.
  • 정유사 : 精油社 석유나 동물 지방 따위를 정제하는 사업을 하는 회사.
  • 정유산 : 鄭惟産 고려 시대의 문신(?~1091). 시호는 정순(貞順).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으며, 시권(試券)에 처음으로 봉미(封彌)를 시행하게 하였다. 문명(文名)이 높았고 특히 시(詩)에 뛰어났다.
  • 정유성 : 鄭維城 조선 현종 때의 문신(1596~1664). 자는 덕기(德基). 호는 도촌(陶村). 시호는 충정(忠貞). 이조 판서, 예조 판서를 거쳐 우의정을 지냈으며, 인망 높은 재상으로 알려졌다. 저서에 ≪은대일기(銀臺日記)≫가 있다.
  • 정유소 : 精油所 원유를 정제하여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따위를 만들어 내는 시설을 갖춘 곳.
  • 정읍사 : 井邑詞 백제 때의 가요. 행상을 나가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가사가 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며,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가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악학궤범≫에 실려 있다.
  • 정의서 : 定義書 어떤 개념의 내용이나 용어의 뜻을 명확히 한정한 문서.
  • 정의심 : 正義心 정의를 지향하는 생각이나 마음.
  • 정인산 : 正燐酸 오산화 인에 물을 작용시켜 얻는 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수화되는 정도에 따라 오쏘인산, 메타인산, 파이로인산 따위가 있다. 화학식은 H3PO4, HPO3, H4P2O7.
  • 정인승 : 鄭寅承 국어학자(1897~1986). 호는 건재(健齋). 건국 대학교 교수와 전북 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한글 큰사전≫의 편찬을 주재하였다.
  • 정일성 : 定日性 낮 시간의 길이가 일정한 성질.
  • 젖음성 : 젖음性 고체의 표면이 액체와 접촉하여 축축하게 배어드는 성질. 액체의 표면 장력이 감소함으로써 액체가 고체의 표면에 퍼진다.
  • 제안서 : 提案書 의견이나 원하는 바를 제안하는 문서.
  • 제암성 : 制癌性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죽이는 성질.
  • 제약사 : 1 製藥師 약을 만드는 사람. 2 製藥社 약을 만드는 회사.
  • 제약성 : 制約性 조건을 붙여 내용을 제한하는 성질이나 특성.
  • 제약소 : 製藥所 약을 만드는 곳.
  • 제어선 : 制御線 무인국의 장치 따위를 원거리에 있는 유인국에서 제어하여 예비 장치나 예비 회선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알기 위한 감시 신호의 전송로.
  • 제어성 : 制御性 제어할 수 있는 성질.
  • 제어식 : 制御式 기계나 설비 또는 화학 반응 따위가 목적에 알맞은 작용을 하도록 조절하는 방식.
  • 제어실 : 制御室 기계나 설비 또는 화학 반응 따위가 목적에 알맞게 작용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한 방.
  • 제언사 : 堤堰司 조선 시대에, 각 도의 수리 시설과 제방을 맡아보던 관아. 조선 전기에 설치하였다가 없앤 후 현종 3년(1662)에 다시 설치하였다. 영조 6년(1730)에는 비변사에, 고종 2년(1865)에는 의정부에 소속되었다.
  • 제연사 : 諸撚絲 두 올 이상의 단사를 서로 꼬아서 만든 실.
  • 제염소 : 製鹽所 소금을 만드는 곳.
  • 제욕설 : 制慾說 영국의 경제학자 시니어가 제창한 이자와 이윤에 관한 원리. 자본은 사람들이 소비를 억제하고 저축한 것으로, 그 희생에 대한 보수가 이자와 이윤이라고 설명하였다.
  • 제용사 : 1 濟用司 고려 시대에, 물화(物貨)의 유통과 저화(楮貨)의 발행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34년(1308)에 설치하여 36년(1310)에 자섬사(資贍司)로 고쳤다가 자섬저화고(資贍楮貨庫)로 고쳤다. 2 濟用司 대한 제국 때에, 궁내부에 속하여 식료품 및 그 밖의 특산물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광무 8년(1904)에 제용감을 고친 것으로, 이듬해 없앴다.
  • 제우스 : Zeu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최고의 신. 천지의 모든 현상을 주재하고 인간 사회의 정치, 법률, 도덕을 지키는 존재로, 로마 신화의 유피테르(Jupiter)에 해당한다.
  • 제우시 : ‘겨우’의 방언
  • 제운시 : 題韻詩 한시에서, 남이 내놓은 운(韻)에 맞추어 짓는 시.
  • 제유소 : 製油所 정제하지 않은 석유를 필요에 맞게 가공하여 각종 석유 제품을 만드는 곳.
  • 제육식 : 第六識 의근(意根)에 기대어 대상을 인식ㆍ추리ㆍ추상(追想)하는 마음의 작용.
  • 제의서 : 提議書 의견이나 의안 따위를 제안하는 문서.
  • 제의실 : 祭衣室 교회 전례에 쓰는 제구와 제의를 보관하거나 성직자가 제의를 갈아입는 방.
  • 제이심 : 第二審 제일심의 판결에 대한 불복 신청이 있을 때에 하는, 제이 차의 심리. 또는 그런 법원.
  • 제일선 : 1 第一線 일을 실행하는 데에서 맨 앞장. 2 第一線 적과 맞서는 맨 앞의 전선(戰線). 3 第一線 여러 개의 진지로 이루어진 방어선 가운데 가장 앞쪽에 있는 진지선.
  • 제일설 : 齊一說 지질에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은 현재에도 과거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된다는 지질학의 한 학설.
  • 제일성 : 第一聲 여러 사람을 대하여 맨 처음 꺼내는 말.
  • 제일심 : 第一審 소송에서 제일 차로 받는 심리.
  • 제임스 : 1 James, William 윌리엄 제임스, 미국의 철학자ㆍ심리학자(1842~1910). 절대적인 실체를 부정함으로써 실용주의를 이론적으로 심화하고 연상주의를 배격하여 기능적 심리학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심리학 원리≫, ≪종교 경험의 제상(諸相)≫이 있다. 2 James, Henry 헨리 제임스, 미국의 소설가(1843~1916). 심리적 사실주의의 선구자로 꼽힌다. 작품에 <어떤 부인의 초상>, <비둘기의 날개>, <나사의 회전> 따위가 있다. 3 James, Etta 에타 제임스, 미국의 블루스, 아르 앤드 비, 재즈, 솔 가수(1938~2012). 그래미상에서 세 차례 수상했고, 1993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 조어사 : 調御士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 중생을 잘 이끌어 가르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 조연상 : 助演賞 영화나 드라마 따위에서 연기를 잘했다고 평가되는 조연 배우에게 주는 상.
  • 조엽수 : 糙葉樹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푸조나무의 생약명. 뿌리, 줄기, 잎을 약용하며 요부(腰部) 손상이나 요부 산통에 쓴다.
  • 조영석 : 趙榮祏 조선 중기의 화가(1686~1761). 자는 종보(宗甫). 호는 관아재(觀我齋)ㆍ석계 산인(石溪山人). 산수화와 인물화를 잘 그려서 정선, 심사정과 더불어 삼재(三齋)로 꼽히며, 시와 글씨에도 능하였다. 작품에 <종보 부장임수도(宗甫扶杖臨水圖)>, <암상포금도(巖上抱琴圖)>, <강상조어도(江上釣魚圖)> 따위가 있다.
  • 조온실 : 調溫室 대상물의 온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장치한 방.
  • 조왕상 : 竈王床 무당이 굿을 할 때, 조왕에게 올리려고 제물을 차린 상.
  • 조왕신 : 1 竈王神 부엌을 맡는다는 신. 늘 부엌에 있으면서 모든 길흉을 판단한다고 한다. 2 竈王神 궁중에서, 세밑에 역귀를 쫓는 의식을 할 때 청포를 입고 탈과 복두를 쓰고 나무 홀(笏)을 쥐고 등장하는 나자.
  • 조용순 : 趙容淳 법률가(1898~1976). 호는 춘산(椿山). 1948년 대구 고등 법원장이 된 후에 대법관, 중앙 선거 관리 위원장, 법무부 장관을 거쳐 1958년에 대법원장이 되었다.
  • 조우설 : 遭遇說 태양 주위로 다른 항성이 가까이 지나가면서 강한 기조력을 미쳐 태양 바깥층의 물질이 분출되고, 이 물질이 분리ㆍ냉각되어 행성과 위성 따위가 형성되었다는, 태양계의 기원에 관한 가설. 미행성설과 조석설은 이 학설을 변용한 것이다.
  • 조운사 : 漕運使 조선 시대에, 세곡(稅穀)의 운반을 맡아 하던 전운서의 벼슬아치.
  • 조운선 : 漕運船 물건을 실어 나르는 데 쓰는 배.
  • 조원술 : 造園術 정원이나 공원 따위를 꾸미는 기술.
  • 조위사 : 弔慰使 죽은 사람을 조문(弔問)하고 유가족을 위문하러 보내는 사절.
  • 조유손 : 潮濡損 날씨가 나빠 배가 암초에 부딪혔을 때 바닷물이 배 안에 들어오면서 생기는 화물의 손실.
  • 조율사 : 調律師 악기, 특히 건반 악기나 현악기의 음을 표준음에 맞추어 고르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
  • 조음소 : 調音素 자음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두 자음 사이에 끼워 넣는 모음. ‘먹으니’, ‘손으로’에서 ‘으’ 따위이다.
  • 조의설 : 趙義卨 서양사학자(1906~1978). 연희 전문학교를 거쳐 일본 도호쿠(東北) 대학 서양사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연세 대학교 부총장, 학술원 회원을 지냈다. 그리스 고대사의 연구에 주력하였으며, 저서에 ≪서양사 개설≫, ≪희랍 사회 연구≫ 따위가 있다.
  • 조이스 : Joyce, James Augustine 아일랜드의 소설가(1882~1941). ‘의식의 흐름’이라는 새로운 수법으로 인간의 복잡미묘한 내면 심리의 갈등을 묘사하여, 20세기 심리 소설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대표작으로 <율리시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 <더블린 사람들> 따위가 있다.
  • 조인식 : 調印式 조약(條約)의 공문서에 당사국의 대표자가 서명ㆍ날인하는 의식.
  • 조일신 : 趙日新 고려 말기의 역신(逆臣)(?~1352). 초명은 흥문(興門). 공민왕이 세자였을 때 원나라에 시종했던 일을 내세워 왕을 위협하여 전횡을 일삼다가, 뒤에 왕의 밀령을 받은 이인복(李仁復) 등에게 살해되었다.
  • 조임살 : ‘조임 여유’의 북한어.
  • 조임새 : 1 무엇을 죈 형편이나 모양새. 2 죄는 짬새.
  • 조임성 : 조임性 ‘죄임성’의 북한어.
  • 조임쇠 : 1 무엇을 죄는 데에 쓰는 와셔나 나사못 따위. 2 쇠줄 따위를 죄는 데에 쓰는 기구.
  • 조임수 : 조임繡 자수 기법의 하나. 올을 뽑아 올린 느낌이 나게 아래쪽의 실과 위쪽의 실을 팽팽하게 죄어 수를 놓는다.
  • 족은성 : ‘작은형’의 방언
  • 존엄사 : 尊嚴死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최소한의 품위를 지키면서 죽을 수 있게 하는 행위. 또는 그런 견해. 의사는 환자의 동의 없이 원칙적으로 치료 행위를 할 수 없다는 것으로, 소극적 안락사라고도 한다. 칼렌 앤 퀸런의 치료 중단을 요구한 부모의 주장을 인정한 재판에서 생겨난 말이다.
  • 존엄성 : 尊嚴性 감히 범할 수 없는 높고 엄숙한 성질.
  • 졸업사 : 卒業辭 졸업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글을 쓰거나 말을 함. 또는 그 글이나 말.
  • 졸업생 : 卒業生 규정에 따라 소정의 교과 과정을 마친 학생.
  • 졸업세 : 卒業稅 대학교 재학 중에 정부에서 학비를 지원받고, 졸업 후 취업하여 소득에 따라 차등적으로 납부하는 세금.
  • 졸업식 : 卒業式 졸업장을 수여하는 의식.
  • 종약색 : 種藥色 조선 시대에, 약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종 11년(1411)에 전의감에 합쳤다.
  • 종약소 : 宗約所 종약의 집행, 관리 따위를 맡은 문중의 사무소.
  • 종업식 : 終業式 학교에서 한 학기 또는 한 학년 동안의 학업을 마칠 때 행하는 식.
  • 종유석 : 鐘乳石 종유굴의 천장에 고드름같이 달려 있는 석회석. 지하수에 녹아 있던 석회분이 수분의 증발과 함께 다시 결정으로 되면서 생긴다.
  • 종의사 : 從儀師 법회 때에, 의식의 지휘자인 위의사(威儀師)를 따라 위의를 바르게 하는 승려.
  • 종이솜 : 종이를 잘게 찢거나 짓찧어 솜같이 만든 것.
  • 종이신 : 종이로 노를 꼬아 만든 신.
1 2 4 5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084 개의 단어) 🎴
  • 자아 自我 :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정신 분석학에서는 이드(id),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현실 원리에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한다.
  • 자안 字眼 : 한문으로 된 글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목의 글자.
  • 자애 : ‘자새’의 방언
  • 자액 自縊 : 스스로 목을 매어 죽음.
  • 자야 子夜 :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 자약 自若 : ‘자약하다’의 어근.
  • 자양 字樣 : 글자의 모양.
  • 자어 子魚 : 조그마한 물고기.
  • 자억 自抑 : 자기 자신을 억제함.
(총 1,471 개의 단어) 🌸
  • 아사 亞使 : 정사(正使)를 돕던 버금 사신.
  • 아삭 : 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보드랍게 베어 물 때 나는 소리.
  • 아산 牙山 : 충청남도의 서북부에 있는 시. 농업, 축산업 외에 임업, 수산업, 방직업이 발달하였다. 공업 단지로서의 개발 잠재력이 크며 명승지로 신정호, 영괴대, 온양 온천, 현충사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온양시와 아산군을 통합하여 신설된 도농 복합 형태의 시이다. 면적은 542.37㎢.
  • 아살 餓殺 : 굶겨 죽임.
  • 아삼 峨蔘 : 산형과에 속한 털전호의 생약명. 뿌리를 약용하며 통기에 효능이 있어 보중익기, 비허식창, 사지 무력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쓴다.
  • 아삽 亞翣 : ‘불삽’을 달리 이르는 말. ‘亞’ 자가 쓰인 것을 근거로 하여 붙은 이름이다.
  • 아상 我相 : 사상(四相)의 하나.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참다운 ‘나’가 있다고 집착하는 견해를 이른다.
  • 아새 : ‘접때’의 방언
  • 아생 芽生 : 씨앗에서 싹이 틈.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