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다수 (大多數)
☆☆ 명사
1. 거의 모두 다.
1. MAJORITY: A state of being almost all.
-
대다수의 사람.
Most people. -
대다수의 의견.
The majority opinion. -
대다수의 인원.
Most personnel. -
대다수가 반대하다.
The majority are against it. -
대다수가 찬성하다.
The majority are in favor. -
구성원의 대다수가 이 안건에 찬성한다니 다행이다.
It is fortunate that the majority of the members are in favor of this agenda. -
이 마을에서는 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In this village,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are engaged in agriculture. -
국민 대다수의 지지를 받은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A candidate with the support of the majority of the people was elected president. -
이용자 대다수는 요금 인상 문제를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The majority of users say they don't care much about the problem of fare increases. -
♔
회사 공장 건립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는 겁니까?
Is the company's plan to build a factory going down the drain?
♕ 네. 주민들 대다수가 공장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Yes. the majority of residents oppose the construction of factories.
🗣️ 발음, 활용: • 대다수 (
대ː다수
)
📚 분류: 수
🗣️ 대다수 (大多數) @ 용례
- 이 사안은 대다수 직원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가결되다 (可決되다)]
- 이번 해에는 수도권의 대다수 대학이 입학 정원을 조정하였다. [조정하다 (調整하다)]
-
ㄷㄷㅅ (
대다수
)
: 거의 모두 다.
☆☆
명사
🌏 MAJORITY: A state of being almost all. -
ㄷㄷㅅ (
대도시
)
: 정치, 경제,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은 도시.
☆☆
명사
🌏 BIG CITY; METROPOLIS: A large city with a big population, which is the center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
ㄷㄷㅅ (
도덕성
)
: 도덕적인 성품.
☆
명사
🌏 MORALITY; ETHICALITY: Moral personality. -
ㄷㄷㅅ (
단답식
)
: 질문에 짧고 간단하게 답하는 방식.
명사
🌏 SHORT ANSWER: A way of giving a short and simple answer to a question. -
ㄷㄷㅅ (
뒷동산
)
: 집이나 마을 뒤에 있는 작은 산이나 언덕.
명사
🌏 BACK HILL: A small mountain or hill behind a house or town. -
ㄷㄷㅅ (
두둥실
)
: 물건이 가볍게 떠오르거나 떠 있는 모양.
부사
🌏 LIGHTLY; GENTLY: A word describing the state or movement of something floating or rising softly. -
ㄷㄷㅅ (
대담성
)
: 겁이 없고 용감한 성질.
명사
🌏 BOLDNESS; BEING DARING: A quality of being fearless and brave.
• 대중 문화 (82) • 성격 표현하기 (110) • 외모 표현하기 (105) • 요리 설명하기 (119) • 컴퓨터와 인터넷 (43) • 경제·경영 (273)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길찾기 (20) • 직업과 진로 (130) • 사과하기 (7) • 연애와 결혼 (28) • 음식 주문하기 (132) • 위치 표현하기 (70) • 약속하기 (4) • 날짜 표현하기 (59) • 가족 행사-명절 (2) • 교육 (151) • 한국의 문학 (23) • 초대와 방문 (28) • 물건 사기 (99) • 대중 매체 (47) • 철학·윤리 (86) • 복장 표현하기 (121)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식문화 (104) • 환경 문제 (81) • 여행 (98) • 공연과 감상 (52) • 학교생활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