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하다
동사
1. 앞에서 일어난 일이나 말한 것과 같이 그렇게 하다.
1. DO SO: To do in the same way as what occurred or was stated previously.
-
그녀가 부엌에서 그리하는 동안 아이들은 그녀 몰래 밖으로 놀러 갔다.
While she was doing so in the kitchen, the children went out to play behind her back. -
그처럼 공부를 그리해서는 시험에 붙기는커녕 한 문제라도 맞추기 어렵다.
Studying like that makes it difficult to get even one question right, let alone pass the test. -
나는 그녀에게 매일 얻어먹어서 오늘도 또 그리하기란 아주 미안한 일이었다.
I was very sorry to have eaten her every day and to do so again today. -
♔
시킨 대로 책을 정리했습니다.
I've arranged the books as ordered.
♕ 그리했다면 이제 책을 저 책장에 꽂아라.
Now insert the book into that bookcase if you did. -
♔
그래서 친구한테 사과는 했어?
So you apologized to your friend?
♕ 응. 그리했지만 걔는 내 얼굴도 안 쳐다보더라.
Yeah. but he didn't even look at my face. -
♔
요새 열심히 운동을 하고 있어.
I've been working out hard lately.
♕ 매일 그리한다면 금방 날씬해질 거야.
If you do that every day, you'll be slim soon. -
♔
선생님 제가 창문을 깼습니다.
Sir, i broke the window.
♕ 그래? 네가 그리한 거란 말이지?
Really? that's what you did, isn't it?
준말
그러다: 앞에서 일어난 일이나 말한 것과 같이 그렇게 하다., 그렇게 말하다.
🗣️ 발음, 활용: • 그리하다 (
그리하다
)
📚 파생어: • 그리: 상태, 모양, 성질 등이 그렇게., 대단한 정도로는. 또는 그렇게까지는., 그러한…
-
ㄱㄹㅎㄷ (
괴롭히다
)
: 몸이나 마음이 편하지 않고 아프게 하거나 고통스럽게 하다.
☆☆
동사
🌏 TORMENT; HARASS; DISTRESS: To make someone feel uncomfortable, painful, or agonized physically or mentally. -
ㄱㄹㅎㄷ (
간략하다
)
: 간단하고 짤막하다.
☆
형용사
🌏 BRIEF; CONCISE: Simple and short. -
ㄱㄹㅎㄷ (
강렬하다
)
: 매우 강하고 세다.
☆
형용사
🌏 STRONG; INTENSE: Very strong and intense. -
ㄱㄹㅎㄷ (
거룩하다
)
: 매우 성스럽고 우러러 받들 만큼 깨끗하고 위대하다.
☆
형용사
🌏 DIVINE; SACRED; GREAT: Being holy, pure, and great enough to be admired and respected. -
ㄱㄹㅎㄷ (
격렬하다
)
: 말이나 행동 등이 매우 거칠고 세차다.
☆
형용사
🌏 VIOLENT; FURIOUS; INTENSE: A remark or behavior being very rough and fierce.
• 한국 생활 (16) • 대중 매체 (47) • 학교생활 (208) • 시간 표현하기 (82) • 공연과 감상 (52) • 하루 생활 (11) • 지리 정보 (138) • 건축 (43) • 날짜 표현하기 (59) • 한국의 문학 (23) • 기후 (53) • 음식 주문하기 (132) • 인간관계 (255) • 환경 문제 (81) • 약속하기 (4) • 문화 비교하기 (47) • 직장 생활 (197) • 인사하기 (17) • 전화하기 (15)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복장 표현하기 (121) • 위치 표현하기 (70) • 가족 행사-명절 (2) • 길찾기 (20)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영화 보기 (8) • 식문화 (104)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사회 제도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