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43개

  • 단체법 : 1 單體法 선형 계획법에서 최적 해를 구하는 계획법의 하나. 2 團體法 단체의 조직이나 운영에 대하여 규정한 법규를 통틀어 이르는 말. 국가의 헌법, 공공 단체의 법, 사법인(私法人)에 관한 법 따위이다.
  • 단체별 : 團體別 단체에 따른 구별.
  • 단체복 : 團體服 모양이 같게 일정한 격식에 맞추어 단체 성원이 입도록 만든 옷.
  • 단체부 : 團體部 대회에서 단체가 참가하는 부문.
  • 단축법 : 短縮法 대상을 정면이 아니라 위나 아래에서 혹은 비스듬하게 바라봄으로써, 인물이나 물체의 길이가 실제보다 짧아 보이도록 그리는 회화 기법.
  • 당책벌 : 黨責罰 당의 규율을 어긴 당원에게 노동당 조직이 주는 책벌.
  • 당첨보 : 唐韂甫 중국에서 생산된 말다래.
  • 대책반 : 對策班 어떤 일에 대처할 계획이나 수단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직한 반.
  • 대책비 : 對策費 어떤 일에 대처할 계획을 세우거나 수단을 마련하는 데 드는 비용.
  • 대처벌 : 大處벌 ‘도회지’의 방언
  • 대처법 : 對處法 어떠한 일이나 사건에 대하여 대처하는 방법.
  • 대첩비 : 大捷碑 싸워서 크게 이긴 전투나 전쟁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
  • 대청방 : 大靑방 뿌리가 잘 뻗고 통이 큰 조생 가을 배추. 김장용이나 저장용 배추이다.
  • 대청봉 : 大靑峯 설악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 태백산맥에 죽 이어져 있는 산봉우리 중의 하나이다.
  • 대체법 : 代替法 평가 대상 재화의 시장이 없어 가격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 가운데 대체할 수 있는 재화나 용역의 가격을 이용하여 시장이 없는 재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 대체분 : 代替分 다른 것으로 대신하는 부분 또는 그 분량.
  • 대추방 : 大追放 1755년부터 아카디아인들이 캐나다 국외로 추방된 사건. 대서양 연안의 노바스코샤주, 뉴브런즈윅, 프린스에드워드섬 등은 17세기 프랑스 이주민들이 건너와 정착한 지역이다. 그러나 1710년에 영국이 점령하고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을 맺은 뒤에는 영국령이 되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영국에 대한 충성 서약을 거부하였고, 이에 따라 1755년부터 프랑스령으로 강제 추방되었다.
  • 대추벌 : 1 ‘말벌’의 방언 2 ‘땅벌’의 방언
  • 대추벼 : 늦벼의 하나. 까끄라기가 없고 빛이 붉다.
  • 대출부 : 貸出簿 대출 내용을 적어 두는 장부.
  • 대출분 : 貸出分 돈이나 물건 따위를 빌려주거나 빌린 부분 또는 분량.
  • 대춧빛 : 잘 익은 대추 열매처럼 빨간 갈색빛.
  • 대칭법 : 對稱法 도형의 대칭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푸는 방법.
  • 대칭부 : 對稱部 양측이 동형인 유기체의 한쪽 부분.
  • 도창빗 : 都倉빗 곡물 창고를 관리하던 벼슬. 또는 그 벼슬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 도채비 : ‘도깨비’의 방언
  • 도초법 : 倒鈔法 중국에서 구초(舊鈔)를 신초(新鈔)로 바꾸어 주는 법을 이르는 말.
  • 도총부 : 都摠府 조선 시대에, 오위(五衛)의 군무(軍務)를 맡아보던 관아. 중앙의 최고 군사 기관이다.
  • 도출법 : 導出法 컴퓨터를 써서 자동으로 정리를 증명하는 기법의 하나.
  • 도치밥 : 도끼질할 때 깎여 나오는 나무 부스러기
  • 도치법 : 倒置法 정서의 환기와 변화감을 끌어내기 위하여 말의 차례를 바꾸어 쓰는 문장 표현법. ‘보고 싶어요, 붉은 산이, 그리고 흰옷이.’ 따위이다.
  • 돈채반 : 頓菜飯 나물을 쌀에 넣고 섞어서 지은 밥.
  • 돌출보 : 突出보 벽이나 기둥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보. 한쪽 끝은 받침점에 고정되고 다른 끝은 공중에 자유로이 들려 있다.
  • 돌출부 : 突出部 쑥 내밀거나 불거진 부분.
  • 동챗방 : 東챗房 본채의 동쪽에 있는 아래채의 방.
  • 되채비 : ‘도깨비’의 방언
  • 두체비 : ‘두꺼비’의 방언
  • 뒤치배 : 1 뒤치輩 풍물놀이에서, 앞에 선 상쇠 가락을 뒤에서 받아치는 사람. 2 뒤치輩 풍물놀이에서, 앞에서 상쇠가 친 가락에 대하여 뒤에서 받아치는 가락.
  • 등초본 : 謄抄本 등본과 초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등촉방 : 燈燭房 조선 시대에, 내관(內官)이 궁중에서 등촉에 관한 일을 맡아 하던 곳.
  • 등치법 : 等値法 연립 방정식에서, 어떤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의 관계식으로 바꾼 후 그 두 개의 식을 같게 하여 놓고 푸는 방법.
  • 대출 빚 : 貸出빚 돈 따위를 빌려 진 빚.
  • 돌출 변 : 突出邊 ‘ㄱ’ 자 모양 강철에서, 다른 것과 연결되지 않은 변.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308 개의 단어) 🍷
  • 다창 : ‘외투’의 방언
  • 다채 多彩 : ‘다채하다’의 어근.
  • 다처 多妻 : 한 남자가 둘 이상의 아내를 가짐.
  • 다첩 多喋 : 매우 수다스럽게 지껄임.
  • 다체 多體 : 셋 이상의 입자가 상호 작용하며 운동하는 모든 형태.
  • 다추 多錘 : 방적에서, 많은 수의 방추(紡錘)를 이르는 말.
  • 다축 多畜 : 가축이 많음. 또는 많은 가축.
  • 다취 多趣 : ‘다취하다’의 어근.
  • 다층 多層 : 여러 층.
(총 426 개의 단어) 🐬
  • 차박 車泊 : 여행할 때에 자동차에서 잠을 자고 머무름.
  • 차반 : 예물로 가져가거나 들어오는 좋은 음식.
  • 차방 借方 : 부기(簿記)에서 계정계좌의 왼쪽. 자산의 증가, 부채 또는 자본의 감소ㆍ손실의 발생 따위를 기입하는 부분이다.
  • 차밭 : 차를 재배하는 밭.
  • 차배 差配 : 각각 구별하여 다룸.
  • 차벨 : ‘차별’의 방언
  • 차벽 遮壁 : 외부의 자기장이나 전기장으로부터 장치를 고립시키기 위한 금속 격벽이나 차폐.
  • 차변 此邊 : 이쪽 편.
  • 차별 差別 : 둘 이상의 대상을 각각 등급이나 수준 따위의 차이를 두어서 구별함.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총 61 개의 단어) 🙏
  • : 십팔기에서 ‘작살’을 병장기의 하나로 이르는 말.
  • : 물체가 바싹 다가붙거나 끈기 있게 달라붙는 모양. ‘짝’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 ‘배’의 방언
  • : 갑옷에 단 비늘 모양의 가죽 조각이나 쇳조각.
  • : 사실이나 이치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는 것.
  • chop : 프로 레슬링에서, 손으로 상대편을 베듯이 치는 일. ⇒규범 표기는 ‘촙’이다.
  • : ‘덫’의 방언
  • : 천이나 가죽 따위의 얇은 물건이 해져서 뚫린 구멍.
  • : 발구, 달구지, 수레 따위의 앞쪽 양옆에 댄 긴 나무.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