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96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79개 세 글자:879개 네 글자:385개 다섯 글자:177개 여섯 글자 이상:247개 🌶모든 글자: 1,968개

  • 귀신 : (1)귀신이 살거나 출몰하는 집.
  • 초익공 : (1)익공의 쇠서가 한 개로 된 집.
  • 자가 혈액 응 : (1)자신의 혈청에 의해 일어나는 적혈구의 응집 또는 응고 현상.
  • 해장 : (1)조선 후기의 문신인 신석우의 문집. 중국을 오가며 쓴 기행문과 다양한 분야의 서술이 담겨 있다. 18권 13책의 필사본.
  • : (1)거두어 모아들임. (2)급작스럽게 모임. 또는 급작스럽게 모음. (3)여성들이 취직 대신에 시집가는 것을 통해 경제적 안정을 꾀하는 일.
  • 쌀골 : (1)돼지 창자에 돼지고기를 썰어 넣고 삶은 음식.
  • 앞둣 : (1)‘앞뒷집’의 방언
  • 주각 : (1)배 위에 지은 집. ‘배집’으로 다듬음.
  • 반물 : (1)옷이나 천 따위에 짙은 남색의 물을 들여 주는 집.
  • : (1)각 집. 또는 모든 집.
  • 다락 : (1)마룻바닥이 지면보다 높거나, 이 층으로 지은 집.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높은 기둥 위에 벽이 없이 마루를 놓는다.
  • 음식 : (1)음식을 파는 집.
  • 오더막 : (1)‘오두막집’의 방언
  • 환돗 : (1)환도의 날을 보호하려고 꽂아 두는 물건.
  • 방석 : (1)방석이 깔려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요정’을 달리 이르는 말.
  • 병아리 : (1)‘육추사’의 방언
  • 아군 : (1)군집의 아래에 있는 분류학적인 군락 단위. 다른 아군집과는 식별종에 의하여 구분된다.
  • 동향 : (1)동쪽을 향하도록 지은 집.
  • 인공 어류 : (1)물고기가 많이 모이도록 하기 위하여 암석, 폐선(廢船), 콘크리트 블록 따위를 바닷속에 넣어 놓은 것.
  • 논리니어 편 : (1)디지털화된 영상을 컴퓨터로 편집하는 일. 아날로그 테이프에 있는 영상을 순차로 편집하는 것과 달리 기록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임의로 합성하고 분할하는 따위의 편집이 가능하다.
  • 바리때 : (1)승려가 사용하는 가사와 바리때를 넣어 두는 집.
  • 소설 : (1)여러 편의 소설을 모아 엮은 책.
  • 퇴깽이 : (1)‘토끼집’의 방언
  • : (1)떡을 만들어 파는 집.
  • 민박 : (1)여행객들이 돈을 내고 묵는 일반 가정집.
  • 넙다리 혈관 : (1)넙다리 동맥과 정맥을 둘러싸는 섬유 조직 막. 앞쪽으로 배가로근막, 뒤쪽으로 엉덩근막이 이어지고 고샅 인대 아래쪽 약 3cm까지 싸며, 사이막에 의하여 동맥과 정맥, 안쪽의 넙다리관으로 나뉜다.
  • 학당 : (1)예전에, 학교로 쓰는 집을 이르던 말. (2)예전에, 야학교로 쓰는 집을 이르던 말.
  • 열조시 : (1)중국 청나라 때에, 전겸익이 편찬한 약 2,000명에 이르는 명나라 시인의 작품집. 건집(乾集) 2권에는 황제를, 갑집(甲集)에서 정집(丁集)까지의 73권에는 연대 차례로 일반 작자를 수록하고, 윤집(閏集) 6권에는 고승ㆍ여성ㆍ신귀ㆍ외국인 등의 특수한 인물을 수록하였다. 작자마다 소전(小傳)을 붙이고 문집을 낸 사람은 그 문집의 이름을 밝혀 놓아 사료(史料)로서 중요하다. 1652년에 간행되었다. 81권.
  • 강제 거푸 : (1)터널을 시공할 때 내면을 콘크리트로 포장하기 위하여 내부 표면을 덮어 주는, 강철판으로 만든 거푸집.
  • 재소 : (1)이미 한 번 불러 모은 적이 있는 단체나 조직체의 구성원을 다시 불러서 모음.
  • : (1)자기의 주장을 논술하여 고집함. (2)논문을 모아서 엮은 책.
  • 웨탄 : (1)‘외딴집’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웨집’으로도 적는다.
  • 불사 : (1)부처를 받드는 무당집.
  • 큰 공기 : (1)삼출액으로 채워진 수포. 피부에 발생한다.
  • 농촌 : (1)농촌 지역의 전형적인 특색이 있는 집.
  • 최종 편 : (1)영화를 편집할 때, 여러 차례 기술적, 미학적 판단을 거친 뒤 마지막 단계에 하는 편집.
  • 눌재선생 : (1)조선 중종 때의 문장가인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문집(文集). 원집(原集), 속집(續集), 별집(別集), 부록(附錄), 부집(附集) 따위가 있다. 16권 6책.
  • 곤륜 : (1)조선 후기의 문신인 최창대(崔昌大)가 쓴 시문집. 영조 1년(1725)에 간행된 활자본이다. 시, 부와 묘지명 등을 수록하고 있는데,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잘 반영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20권 8책.
  • 벽암 : (1)선(禪)의 수행에 귀중한 지침서가 되는 불경. 선사(禪師)인 설두중현(雪竇重顯)이 100개의 공안(公案)을 선정하여 그 하나하나에 송(頌)을 붙인 것인데, 중국 송나라 때 임제종의 원오극근(圜悟克勤)이 다시 하나하나에 수시(垂示)ㆍ평창(評唱)을 덧붙였다. 10권.
  • 해설 : (1)문제나 사건의 내용 따위를 알기 쉽게 풀어 설명한 내용을 엮은 책.
  • : (1)낫의 쇠 날을 보호하는 낫의 덮개
  • : (1)추녀를 사방으로 삥 둘러 지은 모말 모양의 집.
  • 거무 : (1)‘거미집’의 방언
  • 경재 : (1)조선 초기의 문신 하연의 시문집. 시(詩), 소, 서(序) 따위를 수록하고 있다. 5권 3책의 목판본. (2)조선 중기의 학자 김중남(金重南)의 시문집. 연행 사절로서 느낀 바를 책문과 잡저 형식으로 기록한 글이다. 2권 1책. (3)조선 중기의 학자 이해(李瀣)의 시문집. 당시 정책의 폐단과 모순을 지적하고 있어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3권 1책의 금속 활자본.
  • 반갓 : (1)양반의 집안.
  • 려염 : (1)‘여염집’의 북한어.
  • 잡가 : (1)잡가를 모아 엮은 책.
  • 강재 : (1)조선 후기에 정재현(鄭再玄)이 쓴 시문집. 권두에 조병규(趙昺奎)의 서문이 있다. 서(書), 제문, 유행록(儒行錄) 따위를 싣고 있으며, 경의(經義)에 대하여 상세하게 주석을 달고 있다. 2권 2책의 목활자본. (2)조선 후기에 최덕환(崔德煥)이 쓴 시문집. 권두에 최장환(崔鏘煥)의 서문과 권말에 최병식(崔秉軾)의 발문이 있다. 시(詩)와 서(書)에서 조선 말기의 어지러운 국내외 상황을 탄식하고 있다. 6권 2책의 목판본.
  • 오가전 : (1)김택수(金澤洙)가 이선유(李善有)의 창본(唱本)을 채록하여 펴낸 판소리 사설집.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적벽가>, <수궁가>의 다섯 판소리에 대하여 창의 장단을 모두 붙이고 창자(唱者)들이 직접 정리한 자료로 가치가 크다. 1933년에 간행되었다.
  • 대학 입시 자료 : (1)대학 입학시험에 관한 자료를 모두 모아서 엮은 책.
  • 확률적 표 : (1)모집단의 구성 단위들이 일정한 확률에 따라 표본으로 뽑힐 수 있도록 만드는 표집 방법.
  • 충혓 : (1)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달아 지은 집. ⇒규범 표기는 ‘팔작집’이다.
  • 퇴꾕이 : (1)‘토끼집’의 방언
  • 꼬막 : (1)꼬막을 재료로 한 꼬막찜, 꼬막회, 꼬막전 따위의 음식을 파는 집.
  • 어우 : (1)조선 광해군 때 어우당 유몽인의 시문집. 순조 32년(1832)에 간행되었다. 12권 6책의 사본.
  • 번역명의 : (1)중국 남송의 법운(法雲)이 지은 범한 자전. 불전의 범어 이천여 어휘를 64편으로 분류하고 한문으로 번역하여 해설하였다. ≪석씨요람≫, ≪제승법수≫와 더불어 ‘불학 삼서’로 쓴다. 1143년에 간행되었다. 7권.
  • 어린이 : (1)6세 미만의 어린이를 돌보고 기르는 시설. 어린이의 보호자가 근로, 질병, 기타의 사유로 돌볼 수 없을 때 국공립 단체나 민간단체 또는 직장 따위에서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 보육하는 시설이다.
  • : (1)빵을 만들어 파는 집.
  • : (1)‘햇무리’의 방언
  • 주머니 혈관 : (1)방광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
  • 전문 용어 : (1)특정 주제 분야의 용어를 조직한 집합으로, 용어의 의미를 정의한 것. 주로 그 의미가 관련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용어들을 포함한다.
  • 이례연 : (1)조선 정조 때에, 우덕린(禹德麟)이 지은 책. 상례와 제례에 관한 옛 설을 참고하여 실정에 맞도록 쓴 책이다. 4권 4책.
  • : (1)‘곁채’의 옛말.
  • : (1)예전에, 부유한 집에서 음식 장만 따위의 잡일을 맡아보던 여자. 보통의 계집 하인보다 높다. (2)‘찻집’의 북한어.
  • 에지 거푸 : (1)바닥과 천장 구조물을 콘크리트로 타설할 때 가장자리에 칸막이를 만들기 위하여 쓰는 성형 틀.
  • : (1)물건의 가느다랗게 벌어진 작은 틈. (2)너무 긁어서 살갗이 벗어지고 짓무른 상처. (3)사고나 탈이 날 원인 또는 트집 잡힐 실마리나 근거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진귀한 살림살이 도구.
  • 향가 : (1)여러 향가를 한데 모은 책. 신라 때의 향가를 집대성한 향가집으로 ≪삼대목≫이 있었다고 한다.
  • : (1)‘잇집’의 옛말.
  • 단세대 : (1)한 집에 한 세대가 살도록 지은 집.
  • 매산 : (1)조선 시대의 문신 홍직필(洪直弼)의 유고집. 시(詩), 기(記), 찬(贊), 축사(祝詞), 유사(遺事), 연보(年譜) 따위의 시문을 모두 실었다. 고종 3년(1866)에 간행되었다. 53권 28책.
  • 편도 주위 고름 : (1)편도 감염이 편도 피막을 넘어서 확산되어 피막과 편도 오목의 근육층 사이에 형성된 고름집.
  • 복삿 : (1)복사기를 이용하여 문서나 그림, 사진 따위를 같은 크기로, 또는 확대ㆍ축소하여 복제하여 주는 가게.
  • 무관 : (1)대대로 무관의 벼슬을 해 온 집안.
  • 앤경 : (1)‘안경집’의 방언
  • 닭 모래 : (1)닭의 모래주머니.
  • 매밋 : (1)접대부의 시중을 받으면서 젓가락 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술을 마실 수 있는 집.
  • 두터비 : (1)‘두껍닫이’의 방언
  • 목 혈관 신경 : (1)목의 ‘온목동맥’, ‘속목정맥’, ‘미주 신경’을 함께 둘러싸는 섬유 조직 싸개.
  • 량반 : (1)‘양반집’의 북한어.
  • 벡돌 : (1)‘벽돌집’의 방언
  • 우화 : (1)우화를 모아 엮은 작품집.
  • : (1)굴처럼 파서 만든 집.
  • 아르엔에이 편 : (1)전사 또는 전사 후에 아르엔에이 분자에 가공을 하는 반응. 여러 생물에서 아르엔에이가 가공됨으로써 정상적인 기능을 하게 됨이 알려졌다.
  • 개와 : (1)‘기와집’의 방언
  • : (1)조선 후기에, 상품을 매점하고 독점함. 또는 그 도고(都賈) 행위.
  • 가운텟 : (1)‘가운뎃집’의 방언
  • 재편 : (1)고쳐서 다시 새롭게 편집함.
  • 인두 위턱 고름 : (1)인두의 가장자리 쪽에 형성된 고름집.
  • 노신잡감선 : (1)‘루쉰잡감선집’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가시 : (1)‘처가’를 낮잡아 이르는 말.
  • 본가 : (1)‘친정집’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본갓집’이다.
  • 전립샘 : (1)전립샘 피막의 바깥을 둘러싸는 골반 근막에서 유래한 성긴 결합 조직의 층. 피막과 집 사이에 정맥얼기가 형성되어 있다.
  • 화살 : (1)화살을 넣는 통. 가죽이나 대나무 따위로 만들며 뚜껑이 있다.
  • 인두 : (1)불에 달궈지는 인두의 쇠 부분을 감싸 보관하는 헝겊.
  • 징외갯 : (1)‘진외가’의 방언
  • 명함 : (1)명함을 넣어 보관해 둘 수 있는 지갑이나 수첩 모양의 물건.
  • 눈까풀고름 : (1)‘눈꺼풀 고름집’의 북한어.
  • 속 뿌리 : (1)털주머니를 이루는 세 층 가운데 가장 속에 있는 층. 기름샘 아래에서 털줄기를 둘러싸는 구조이며, 성장하는 털줄기의 움직임이 잘 이루어지게 한다.
  • 헌계 : (1)이미 시집갔다가 혼자가 된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2)행실이 부정한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 선술 : (1)술청 앞에 선 채로 간단하게 술을 마실 수 있는 술집.
2 3 4 6 7 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

실전 끝말 잇기

집으로 시작하는 단어 (1,632개) : 집, 집가게거미, 집가리, 집가시다, 집가심, 집가심하다, 집가제, 집가지, 집가축, 집가축하다, 집간, 집 간장, 집 감시 장치, 집값, 집강, 집강소, 집개, 집개미, 집객, 집객력, 집객률, 집갯지네, 집갯지렁이, 집갱이, 집거, 집거두매, 집거두매하다, 집거름, 집거지, 집거하다 ...
집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63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집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96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