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96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79개 세 글자:879개 네 글자:385개 다섯 글자:177개 여섯 글자 이상:247개 🦕모든 글자: 1,968개

  • : (1)계집. 여자. (2)‘아내’의 옛말.
  • 두껍 : (1)미닫이를 열 때, 문짝이 옆벽에 들어가 보이지 아니하도록 만든 것.
  • 유고 : (1)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를 모아서 엮은 책.
  • 한방찻 : (1)주로 한방차를 팔면서, 사람들이 이야기하거나 쉴 수 있도록 꾸며 놓은 가게.
  • 왕고 : (1)아주 심한 고집. 또는 그런 고집을 부리는 사람.
  • 부잣 : (1)재산이 많아 살림이 넉넉한 사람의 집.
  • 웨가 : (1)‘외갓집’의 방언
  • 육상 군 : (1)육상에서 생활하는 생물의 군집.
  • 비확률 표 : (1)연구에 사용될 표본을 표집 확률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추출하는 방법.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연구 설계를 점검하기 위한 예비 연구에 사용된다.
  • 피골 : (1)‘핏골집’의 북한어. (2)‘주름위’의 옛말.
  • 화사 : (1)1941년에 발표한 서정주의 첫 시집. <문둥이>, <화사>, <달밤>, <밤> 따위의 초기 시가 실려 있으며, 악마적이고 원색적인 시풍이 특징이다.
  • 가사 : (1)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곡의 노랫말을 모아서 엮은 책. (2)가사를 모아 엮어 만든 책.
  • 고리 고름 : (1)각막 주위에 형성된 급성 화농성 염증. 백혈구들이 침윤된 고리 모양의 띠가 괴사 부위를 둘러싼다.
  • 경산 : (1)조선 후기의 학자인 최시술(崔蓍述)의 시문집. 서(書)와 차운시, 잡저, 행장 따위가 실려 있다. 9권 4책의 목판본.
  • 미담 : (1)미담을 모아 엮은 책.
  • 대조 편 : (1)어떤 사물 현상을 강조하거나 그 의미를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기 위하여, 그것과 대조되는 사물 현상과 엇바꾸어 보여 주는 편집 방식.
  • : (1)‘층집’의 방언
  • 외통 : (1)‘홑집’의 북한어. (2)아래 위 칸을 칸살을 막지 아니하고 외통으로 지은 집.
  • 활자 : (1)‘활자함’의 북한어.
  • 뚱딴지 : (1)은율 탈춤의 영감ㆍ할미 마당에 나오는 영감의 첩. 본부인인 할미와 싸우다 할미를 죽인다.
  • 치아뿌리 고름 : (1)턱의 이틀 돌기에 형성된 고름집. 인근의 죽은 치아에서 시작된 염증이 진전하여 발생한다.
  • 오른편 염통 : (1)심장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방. 허파 동맥으로 피를 보낸다.
  • 처녑 : (1)짜임새가 실속이 있고 쓸모 있게 된 집.
  • 상곡 : (1)조선 인조 때 강유의 시문집. 정조 22년(1798)에 강필건(姜弼健) 등이 모아 간행하였으며 시(詩), 소(疏), 명(銘), 제문(祭文), 유사(遺事), 행장(行狀) 따위를 수록하였다. 3권 1책의 인본(印本).
  • 별 모양 고름 : (1)조직구로 둘러싸인 별 모양의 괴사 부위. 성병 림프 육아종이나 고양이 할큄열에서 부어오른 림프절에서 나타난다.
  • 큰한 : (1)‘마마’의 방언
  • 도세기 : (1)‘돼지우리’의 방언
  • : (1)사람들이 이야기를 나누거나 쉴 수 있도록 꾸며 놓고 차나 음료 따위를 파는 곳.
  • 눈 뒤 고름 : (1)안구의 뒤쪽 부위에 형성된 고름집.
  • 서석 : (1)조선 현종 때 김만기의 시문집. 숙종 27년(1701)에 김춘택이 펴냈다. 18권 9책.
  • 금릉 : (1)조선 정조ㆍ순조 때에, 남공철(南公轍)이 지은 시문집. 24권 12책.
  • 황토 흙 : (1)황토를 이용하여 지은 집. 황토는 자연스럽게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황토로 지은 집은 여름철에 쾌적하고 겨울철에 따뜻하다.
  • 까체이 : (1)‘까치집’의 방언
  • 벌기 : (1)‘벌레집’의 방언
  • 보한재 : (1)조선 시대에 펴낸 신숙주의 시문집. 성종의 명에 따라 간행하였으며, 시(詩)ㆍ요해편(遼海篇)ㆍ가훈(家訓)ㆍ책(策)ㆍ기(記)ㆍ서(序)ㆍ발문(跋文)ㆍ제문(祭文) 등 그의 작품을 본문에 수록하고 다른 사람이 지은 비장(碑狀)을 부록으로 제시하였다. 인조 23년(1645)에 7대손인 속(洬)이 중간하였다. 17권 4책.
  • 청석 : (1)청석으로 지붕을 올린 집. 너새집의 일종이다.
  • 평균율 클라비어곡 : (1)바흐의 피아노 작품집. 곡마다 전주곡과 푸가로 되어 있고 모든 장조, 단조를 쓰고 있다. 모두 2권으로 각 24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권은 1722년, 제2권은 1744년에 완성되었다.
  • 비취향 : (1)비취로 만든 향집.
  • : (1)수산물을 말리기 위하여 덕을 매어 놓은 집.
  • 기생 : (1)기생이 거처하며 술과 유흥을 제공하는 집. (2)기생이 사는 집.
  • 웨딴 : (1)‘외딴집’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웨집’으로도 적는다.
  • 소프트웨어 자료 : (1)소프트웨어의 개발, 이용, 보수를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그것과 관련된 서류.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브러리, 마스터 라이브러리, 제품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따위가 있다.
  • : (1)닭을 계획적ㆍ기술적으로 칠 수 있게 만든 집.
  • : (1)몹시 심하게 고집을 부림. 또는 그런 고집.
  • 폐 공기 : (1)폐가 과대하게 팽창하고 폐포의 파괴가 일어나는 병. 폐포 벽이 파괴되면서 인접하는 폐포가 유합하여 낭포를 형성한다.
  • 커튼 : (1)커튼을 손님의 요구에 맞게 만들고, 커튼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용품을 파는 가게.
  • 맞춤 : (1)공장에서 주택의 각 부분을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지은 집.
  • 이발 : (1)‘잇몸’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이빨집’이다.
  • 아벨라르 서간 : (1)12세기 무렵에 프랑스의 철학자 아벨라르가 쓴 서간집. 아벨라르와 그의 애인으로 수녀가 된 엘로이즈 사이의 이루지 못한 사랑의 애틋한 사연을 기록한 12통의 라틴어 서간집이다.
  • 떡잎 : (1)외떡잎식물의 눈이 나올 때에 이것을 싸고 있는 잎. 잎집만으로 이루어지며 잎몸이 없다.
  • 대변 고름 : (1)고름과 대변이 쌓인 상태.
  • 매운탕 : (1)매운탕을 파는 음식점.
  • : (1)‘호주머니’의 방언
  • 잔찻 : (1)‘잔칫집’의 방언
  • 쌩고 : (1)‘생고집’의 방언
  • : (1)돌로 지은 집. (2)‘돌기와집’의 방언
  • 체계적 표 : (1)표본 명단을 가지고 있을 때, 명단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에 따라 사례들을 선정하는 표집 방법. 무작위로 뽑은 하나의 명단 번호로부터 시작하여 케이(k) 번째에 있는 사례들을 차례로 표본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 동안거사문 : (1)고려 공민왕 8년(1359)에 이승휴의 아들 이연종과 조카사위 안극인(安克仁)이 간행한 이승휴의 문집. 별책으로 ≪제왕운기≫가 있다. 4권 1책.
  • 지봉 : (1)조선 선조 때의 학자 이수광의 시문집(詩文集). 그의 아들 이성구(李聖求)와 이민구(李敏求)가 펴냈으며, 대부분이 시집이고 산문은 잡저 등 몇 편뿐이다. 인조 11년(1633)에 간행되었다. 34권 10책.
  • 백반 : (1)백반을 주메뉴로 하는 식당.
  • 평론 : (1)여러 평론을 한데 모은 책.
  • 강제 징 : (1)예전에,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사람들을 강압적으로 마구 뽑아 가던 일.
  • 전방 : (1)‘전방’의 방언
  • 오도막 : (1)‘오두막집’의 방언
  • 꼴목 : (1)‘골목집’의 방언
  • 각재 : (1)조선 중기에 하항(河沆)이 쓴 시문집. 순조 13년(1813)에 후손인 하경현(河景賢)이 편집하여 간행하였고, 후손 하수진(河壽鎭)이 자신의 발문을 붙여 1940년에 서울 한성서관(漢城書館)에서 2권 1책의 석인본으로 간행하였다. 3권 1책.
  • 옴팽이 : (1)‘옴팡’의 방언
  • 중봉 : (1)조선 시대의 학자 조헌의 시문집. 조헌이 선조 7년(1574)에 중국에 갔다 온 뒤에 쓴 <동환봉사(東還封事)> 1권과 <항의신편(抗義新編)> 2권을 안방준과 유장이 편찬하였다. 책명이 ≪유적(遺跡)≫, ≪유고(遺稿)≫, ≪선우록(先憂錄)≫으로 되어 있던 것을 숙종 24년(1698)에 ≪중봉집≫으로 일원화하였다. 원집 13권. 부록 7권.
  • 상엿 : (1)상여와 그에 딸린 여러 도구를 넣어 두는 초막. 흔히 마을 옆이나 산 밑에 짓는다.
  • 홍문주위고름 : (1)‘항문 주위 농양’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항문 주위 고름집’이다.
  • 가락 : (1)물레의 가락을 만들어 팔거나 바로잡아 주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집. (2)정방기나 연사기에서, 가락의 가락축과 토시가 설치된 부품.
  • : (1)‘겹집’의 방언
  • 용례 : (1)용례를 모아 엮은 책.
  • 도안 : (1)도안들을 한데 모아 엮은 책.
  • 간재선생문 : (1)조선 중기에 최연(崔演)이 쓴 시문집. 많은 부분이 일실되어 일부만이 전한다. 최연이 평소에 회포를 읊은 시를 수록했으며, 동지상사로 임명되어 연경(燕京)을 다녀오면서 명승고적과 그때의 감회를 적고 있다. 12권 6책의 목활자본. (2)조선 중기에 이덕홍이 쓴 시문집. 왜적에 대한 방어책과 생활 태도에 대한 신념을 적고 있다. 본집 7권 4책, 속집 5권 3책과 필사본 9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2권 16책. (3)조선 말기에 전우가 쓴 시문집. 구한말 성리학자로서 자신의 도학적 관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록 1책, 원집 43권 21책, 속편 16권 8책과 별집 15권 8책, 총 74권 3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연조직염 고름 : (1)국한성 고름집. 침범된 부위에 심한 염증을 일으켜 경화와 비후를 초래한다.
  • 개암문 : (1)조선 중기의 학자 김우굉(金宇宏)이 쓴 시문집. 시 17수, 부(賦) 7편, 소(疎) 6편, 서(書) 4편, 잡저(雜著) 3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잡저 가운데 <서행일기(西行日記)>는 을사사화 이후의 정치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4권 2책.
  • 고사성어 : (1)고사성어를 모아 엮어 만든 책.
  •  : (1)‘바디집’의 옛말.
  • 서향 : (1)서쪽을 향하도록 지은 집.
  • 삼치 : (1)‘ㄷ자집’의 북한어.
  • 건네 : (1)‘건넌집’의 방언
  • 이튼 성가 : (1)영국의 이튼 칼리지에서 1490년에서 1502년 사이에 제작한 악보 필사본. 현존하는 가장 아름다운 음악 필사본으로 평가받는다.
  • 팔작 기와 : (1)팔작지붕을 얹은 기와집.
  • 불연속 편 : (1)장면의 연결에서 액션의 시간적 연속성을 따르지 않는 편집 기법.
  • 감수재선생문 : (1)조선 중기에 박여량(朴汝樑)이 쓴 시문집. 책머리에 정연시(鄭然時)가 지은 서(序)와 목록이 있다. 박여량의 시(詩)와 부(賦), 잡저 등 자유롭게 읊은 글이 실려 있다. 8권 5책.
  • : (1)종, 땅, 집 따위를 나누어 가짐. (2)복잡하게 무더기로 모여듦.
  • 젙에 : (1)‘이웃집’의 방언
  • 마미향 : (1)말총으로 만든 향집.
  • 수각 : (1)터가 습하여 늘 물이 나는 집.
  • 정자 : (1)지붕의 용마루가 ‘丁’ 자 모양으로 된 집.
  • 용헌 : (1)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원이 쓴 시문집. 시, 장주, 전(箋)과 같은 글을 수록하고 있다. 외손인 윤호(尹壕)가 성종 7년(1476)에 간행한 것을 이우기(李宇基), 이정진(李庭秦)이 다시 추려 석인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4권 2책.
  • 유방 앞 고름 : (1)젖샘을 덮고 있는 피하 조직의 고름집.
  • 공기 고름 : (1)기체를 가지고 있는 고름집. 엔테로박터 에어로게네스와 같은 기체를 형성하는 미생물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 사숙재 : (1)조선 시대에 간행된 강희맹의 시문집. 성종의 명에 따라 서거정이 편찬하였으나, 왕의 승하로 간행하지 못하고, 순조 5년(1805)에 선운사에서 고쳐 간행하였다. 12권 5책.
  • : (1)세를 내고 빌려 사는 집.
  • 혼인 : (1)혼례를 치르고 잔치를 베푸는 집.
  • 곧창자 주위 고름 : (1)항문과 곧창자 주위에 생기는 고름집. 곧창자 주위염에 따라 생기는 수가 많으며, 갑자기 열이 오르고 아프며 패혈증이나 간 고름집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 덴시 : (1)몹시 고된 시집살이
  • 초넝 : (1)‘초가집’의 방언
3 4 5 7 8 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

실전 끝말 잇기

집으로 시작하는 단어 (1,632개) : 집, 집가게거미, 집가리, 집가시다, 집가심, 집가심하다, 집가제, 집가지, 집가축, 집가축하다, 집간, 집 간장, 집 감시 장치, 집값, 집강, 집강소, 집개, 집개미, 집객, 집객력, 집객률, 집갯지네, 집갯지렁이, 집갱이, 집거, 집거두매, 집거두매하다, 집거름, 집거지, 집거하다 ...
집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63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집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96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