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8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32개 세 글자:358개 네 글자:381개 다섯 글자:79개 여섯 글자 이상:134개 🕊모든 글자: 1,185개

  • 사 제 점 못한다 : (1)남의 점을 쳐 주는 봉사가 자기의 앞일에 대해서는 점을 못 친다는 뜻으로, 남을 위해서는 할 수 있는 일도 자기가 직접 당하였을 때는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조 : (1)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일과 관련된 내용을 정하여 놓은 법전의 조항. 조선 시대에는 ≪경국대전≫의 <예전(禮典)>에 정리하여 이것을 기본으로 따랐다.
  • 사조선창화시권 : (1)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시권. 세종 때에 명나라 사신 예겸(倪謙)과 집현전 학사들 사이에 나눈 창화시(唱和詩)를 묶은 것이다. 보물 제1404호.
  • 사 조직 : (1)사회사업 기관, 병원, 학교 따위와 같이 고객 집단이 주된 수혜자가 되는 유형의 조직. 조직 활동의 주된 수혜자가 누구냐를 기준으로 하여 조직의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눈 사회학자 블라우(Blau, P. M.)와 스콧(Scott, W. R.)의 분류에 따른 것이다.
  • 사 중독 : (1)봉사를 하며 인생의 의미를 찾고, 매우 열정적으로 봉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지기 : (1)‘숨바꼭질’의 방언
  • 사직 : (1)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쓰는 직무.
  • 사 청맹과니 만났다 : (1)눈먼 봉사가 눈 뜬 맹인인 청맹과니를 만났다는 뜻으로, 같은 처지의 사람이 서로 만나서 매우 기뻐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춤 : (1)맹인 흉내를 내는 병신춤.
  • 사 팀 : (1)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애쓰는 일을 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팀.
  • 사프로그람 : (1)계산기의 운영을 돕는 프로그램. 계산기 체계를 조종하거나 결과를 나타내는 데 직접 관계하지 않지만 체계의 운영이나 사용자 프로그램의 실행을 돕는다. ⇒남한 규범 표기는 ‘봉사 프로그램’이다.
  • 사하다 : (1)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쓰다. (2)웃어른을 받들어 섬기다. (3)사신으로서 명령을 받들다. (4)조상의 제사를 받들어 모시다. (5)흙을 쌓아 올리고 하느님에게 제사를 지내다.
  • 사 행정 : (1)과거의 권력적, 지배적, 주도적, 규제적 행정에서 벗어나 주민의 민원을 해결하고 주민 경제를 지원하고 협조하며 봉사하는 역할을 추구하는 행정.
  • 사혁명 : (1)봉사성을 높이고 봉사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혁명적인 전환이나 그를 실현하기 위한 투쟁.
  • 사혼 : (1)‘복역혼’의 북한어.
  • 사 활동 : (1)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쓰는 모든 활동.
  • 사 활동 제도 : (1)중고교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봉사 활동을 하도록 하고 그 내용을 학교 생활 기록부에 기록하도록 규정한 제도. 학교에서 실시하는 단체 봉사 활동과 학생 각자가 대상 기관이나 시설을 찾아가 실시하는 개인 봉사 활동으로 나뉜다. 청소년들의 인격 함양을 목표로 1996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어 오고 있다.
  • 사 활동 확인증 : (1)봉사 활동을 한 사실을 인정하는 증명서.
  • 사회 : (1)봉사를 하기 위한 모임.
  • : (1)임금이 반포한 정삭(正朔)을 받든다는 뜻으로, 임금의 명령이나 법률에 복종함을 이르던 말.
  • 삭하다 : (1)임금의 명령이나 법률에 복종하다. 임금이 반포한 정삭(正朔)을 받든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 (1)나라에서 나무 베는 것을 금지하던 산. (2)황해도 봉산군 사리원 동쪽에 있는 옛 읍. 부근은 자비산 줄기의 산악미와 계곡미가 잘 조화되어 명승지를 이루고 있다. (3)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한다.
  • 산곡 : (1)조선 인조 때의 학자 채득기가 지은 가사(歌辭).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자연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것으로, 모두 101구로 되어 있다.
  • 산군 : (1)황해도 중앙에서 약간 북쪽에 있는 군. 주요 산물은 농산물과 임산물ㆍ축산물ㆍ수산물ㆍ광산물 따위이며, 독정사(獨亭寺)ㆍ성불사ㆍ고당토성지(古唐土城址) 따위의 명승지가 많고, 특히 봉산 탈춤이 유명하다. 군청 소재지는 사리원, 면적은 842㎢. 북한에서는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이후 황해북도의 한 군으로 현존한다.
  • 산 마산리 유적 : (1)황해북도 봉산군 마산리에 있는 복합 유적. 신석기ㆍ청동기 시대의 집터 22기와 돌널무덤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집터와 유물의 양상은 인근의 지탑리유적과 비슷하고, 청동기 시대의 집터와 유물은 평양 남경 유적과 비슷하다.
  • 산 문화 회관 : (1)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에 있는 문화 회관. 2004년에 개관하였으며 공연장, 전시실, 강의실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연극, 연주회, 뮤지컬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 산 수숫대 같다 : (1)황해도 봉산에서 나는 수숫대는 유달리 키가 큰 데서, 키가 멀쑥하게 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 참배는 물이나 있지 : (1)좋은 쌀인 백미에도 뉘가 섞여 있어 흠이 있는데 비하여 아무런 흠도 없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백미에는 뉘나 섞였지’
  • 산 탈놀이 : (1)황해도 봉산에 전해지는 산대놀음 계통의 탈춤. 7과장으로 구성되며 사자춤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봉산 탈춤’이다.
  • 산 탈춤 : (1)황해도 봉산에 전해지는 산대놀음 계통의 탈춤. 7과장으로 구성되며 사자춤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17호.
  • 산학자전 : (1)조선 정조 때의 문인 박지원이 지은 한문 소설. 글은 잘 못하지만 몸소 밭 갈고 독행(篤行)하여 이름난 봉산 학자를 칭송하면서 학자인 척하는 속세의 선비들을 풍자한 내용이다.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었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 : (1)야구에서, 후속 주자로 인하여 진루해야 하는 주자가 다음 누(壘)에서 아웃이 되는 일.
  • 살되다 : (1)야구에서, 후속 주자로 인하여 진루해야 하는 주자가 다음 누(壘)에서 아웃이 되다.
  • 살하다 : (1)야구에서, 후속 주자로 인하여 진루해야 하는 주자를 다음 누(壘)에서 아웃시키다.
  • : (1)운향과의 여러해살이 식물. 북아프리카, 남유럽, 아시아 일대에 자생한다.
  • 삽관 : (1)조선 시대에, 왕이 적전을 갈 때 쓰는 가래를 받드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 : (1)제사를 지냄. 또는 그 제사. (2)임금에게 물건을 봉하여 바침. (3)임금이 상을 내려 줌. (4)산봉우리의 위. (5)물품 따위를 바침. (6)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 또는 그 막대기와 비슷한 형상. (7)꿀벌을 치는 통. (8)‘복숭아’의 방언 (9)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하나라 무열제(武烈帝) 때의 연호(413~418). 무열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상감관 : (1)지방에서 바치는 조세를 감독ㆍ통제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 상거리다 : (1)‘궁싯거리다’의 방언
  • 상 그래프 : (1)‘막대그래프’의 전 용어.
  • 상 단백질 : (1)둘레가 둥근 대 모양 구조를 한 단백질. 서브유닛은 구상 단백질이라도 염주 모양으로 모이면 봉상 단백질이 된다.
  • 상대부 : (1)고려 시대에 둔 정사품 문관의 벼슬. 충렬왕 34년(1308)에 제정하여 공민왕 5년(1356)에 중산대부로 고쳤다.
  • 상 도표 : (1)‘막대그래프’의 전 용어.
  • 상봉상 : (1)‘궁싯궁싯’의 방언
  • 상봉상하다 : (1)‘궁싯궁싯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봉상봉상다’로도 적는다.
  • 상사 : (1)조선 후기에, 제사(祭祀)와 시호(諡號)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고종 32년(1895)에 봉상시를 고친 것으로, 융희 원년(1907)에 없앴다.
  • 상생강 : (1)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나는 생강. 품질이 매우 좋으며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 상 세포 : (1)후막 세포의 한 종류로, 가늘고 긴 모양의 세포. 황금의 뿌리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
  • 상스 룩 : (1)고급스러운 소재와 깔끔한 디자인의 고전적인 정장 차림.
  • 상시 : (1)조선 시대에, 제사(祭祀)와 시호(諡號)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1년(1392)에 설치하여 태종 9년(1409)에 전사서로 고쳤다가, 세종 3년(1421)에 다시 이 이름으로 고치고 고종 32년(1895)에 봉상사로 고쳤다. (2)고려 시대에, 제사를 주관하고 왕의 묘호와 시호를 제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24년(1298)에 태상부를 고친 것으로 충렬왕 34년(1308)에 전의시로 고쳤다.
  • 상 온도계 : (1)막대기 모양으로 된 유리관의 벽에 온도 눈금을 찍어 만든 온도계.
  • 상왕 : (1)고구려 제14대 왕(?~300). 이름은 상부(相夫)ㆍ삽시루(歃矢婁). 일명은 치갈왕(雉葛王). 창조리를 국상(國相)에 등용하여 2년(293)과 5년(296)에 중국 연나라 모용외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나, 사치와 방탕에 빠져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292~300년이다.
  • 상차사 : (1)논밭의 세금을 징수하여 바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 상차사원 : (1)논밭의 세금을 징수하여 바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 상판관 : (1)조선 시대에, 봉상시에 속한 종오품의 벼슬아치.
  • 상하다 : (1)제사를 지내다. (2)임금에게 물건을 봉하여 바치다. (3)임금이 상을 내려 주다. (4)물품 따위를 바치다.
  • 상황 : (1)막대 모양으로 굳힌 황.
  • : (1)‘봉선화’의 방언 (2)예로부터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상상의 새. 성천자(聖天子) 하강의 징조로 나타난다고 한다. 전반신은 기린, 후반신은 사슴, 목은 뱀, 꼬리는 물고기, 등은 거북, 턱은 제비, 부리는 닭을 닮았다고 한다. 깃털에는 오색 무늬가 있고 소리는 오음에 맞고 우렁차며, 오동나무에 깃들이어 대나무 열매를 먹고 영천(靈泉)의 물을 마시며 산다고 한다. (3)밀봉(密封)한 자리에 도장을 찍음. 또는 그렇게 찍힌 도장. (4)‘봉사’의 방언 (5)‘봉숭아’의 방언 (6)‘봉사’의 방언
  • 새기 : (1)‘멱둥구미’의 방언
  • 새꽃 : (1)‘복숭아’의 방언 (2)‘봉숭아’의 방언
  • 새이 : (1)‘그루터기’의 방언
  • 새하다 : (1)밀봉(密封)한 자리에 도장을 찍다.
  • : (1)‘생’을 달리 이르는 말.
  • 생꽃 : (1)‘봉숭아’의 방언
  • 생애 : (1)‘봉선화’의 방언
  • 생애꽃 : (1)‘복숭아꽃’의 방언 (2)‘봉숭아’의 방언
  • 생이 : (1)‘멱둥구미’의 방언
  • : (1)변방 지역의 관리가 승정원에 글을 올리던 일. (2)겉봉을 봉한 편지. (3)임금이 종친이나 근신(近臣)에게 사적으로 내리던 서신. (4)왕비가 친정에 사적으로 보내던 서신. (5)변경(邊境)을 지키던 벼슬아치. (6)‘봉사’의 방언
  • 서무감 : (1)봉서를 전달하던 무예별감.
  • 서별감 : (1)봉서를 전달하던 무예별감.
  • 서선 : (1)슈인센 가운데 쇼군과 로추의 주인장과 봉서(奉書)를 받은 선박.
  • 서자처 : (1)조선 시대에, 죄인이 자자(刺字)한 곳을 봉하여 먹의 흔적을 지워 버리지 못하게 하던 일. 자자한 곳을 매일 조사하여 지워지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죄인을 보내도록 하였다.
  • 서하다 : (1)변방 지역의 관리가 승정원에 글을 올리다.
  • 서함 : (1)봉서를 넣어 전달할 때 쓰던 붉은 옻칠을 한 함.
  • 석주 모란 사건 : (1)조선 세조 11년(1465)에 일어난 역모 사건. 수양 대군의 장사(壯士)로, 계유정난 때에 공을 세워 병조 판서가 된 봉석주가 역모를 꾸몄다는 죄로 사형되었다.
  • : (1)선조(先祖)의 덕업(德業)을 이어받아 지킴. (2)옛날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흙으로 단(壇)을 만들어 하늘에 제사 지내고 땅을 정(淨)하게 하여 산천에 제사 지내던 일. (3)긴 대나무 자루가 달린 부채의 가장자리를 쇠로 두르고 녹색 실로 꿰매어 붉은 비단 바탕의 좌우에 금색으로 봉황을 그리거나 수놓은 의장(儀仗). (4)‘선봉’의 북한어. (5)봉선화과에 속한 봉선화의 생약명. 전초를 약용하며 거풍, 활혈, 소종, 지통에 효과가 있어 류머티즘성 관절염, 타박상, 종창 등을 치료할 때 쓴다.
  • 선고 : (1)고려 시대에, 임금과 왕비의 제사에 쓸 쌀을 저축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선종 10년(1093)에 설치하여 공양왕 3년(1391)에 없앴다.
  • 선나 : (1)‘봉선화’의 방언
  • 선대부 : (1)고려 시대에 둔 종사품 문관의 품계. 충렬왕 34년(1308)에 설치하여 공민왕 5년(1356)에 조산대부로 고쳤다.
  • 선도반 : (1)헌선도무에서, 남악(男樂)의 선도반을 드리던 무동(舞童).
  • 선사 : (1)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운악산에 있는 절. 고려 광종 20년(969)에 법인 국사께서 창건하고 운악사라 하였으며, 예종 1년(1469)에 세조의 비 정희 왕후가 세조의 능침을 이곳으로 옮기고 봉선사라 하였다. 명종 6년(1551)에는 교종(敎宗)의 으뜸 사찰이 되어 승과(僧科)를 보기도 하였다.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25 교구 본사로 되어 있다.
  • 선사 대종 : (1)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종. 예종 원년(1469)에 왕실의 명령으로 만들었다.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종의 고리 구실을 하고 있다. 종의 어깨 부분에는 이중의 가로줄이 돌려져 몸통 부분과 구분되며, 종의 아랫부분에는 강희맹이 짓고 정난종이 글씨를 쓴 장문이 새겨져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남양주 봉선사 동종’이다.
  • 선자 : (1)봉선화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따뜻하고 약간의 독성이 있으며, 어혈(瘀血)ㆍ적취(積聚)ㆍ난산(難産) 따위에 쓰인다.
  • 선하다 : (1)선조(先祖)의 덕업(德業)을 이어받아 지키다. (2)옛날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흙으로 단(壇)을 만들어 하늘에 제사 지내고 땅을 정(淨)하게 하여 산천에 제사 지내다.
  • 선핵 : (1)뇌줄기의 정중면을 따라 있는 신경 세포 무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선 홍경사 비갈 : (1)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봉선 홍경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적비. 현종 17년(1026)에 건립된 것으로,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천안 봉선 홍경사 갈기비’이다.
  • 선 홍경사 사적 갈비 : (1)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봉선 홍경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적비. 현종 17년(1026)에 건립된 것으로,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천안 봉선 홍경사 갈기비’이다.
  • 선화 : (1)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cm 정도 되는 고성종(高性種)과 25~40cm로 낮은 왜성종(矮性種)이 있는데, 곧게 서며 살이 찌고 밑에는 마디가 있으며 막뿌리가 나오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으로 잔톱니가 있다. 7~10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2~3개의 가는 꽃자루 끝에 붉은색, 흰색, 분홍색, 누런색 따위의 꽃이 아래로 늘어져서 핀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잔털이 있으며, 익으면 탄성에 의하여 다섯 조각으로 갈라져 누런 갈색의 씨가 튀어 나와 먼 곳까지 퍼져 나간다. 꽃잎을 따서 백반, 소금 따위와 함께 찧어 손톱에 붉게 물을 들이기도 한다. 인도,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전 세계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 선화가 : (1)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손톱에 봉선화 물을 들이는 풍습 따위를 규방 여인의 감정과 연관하여 읊은 것으로, 모두 100구로 되어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선화과 : (1)쌍떡잎식물 갈래꽃류의 한 과. 전 세계에 400여 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봉선화, 물봉선, 노랑물봉선 따위의 6종이 있다.
  • 선화 물 : (1)봉선화의 꽃과 이파리로 손톱을 붉게 물들인 것.
  • 선화 물들이기 : (1)음력 5월경에 아녀자들이 봉선화의 꽃과 잎을 짓찧어 손톱에 물들이는 일. 빨간색이 잡귀를 물리친다는 데서 유래한다.
  • 선화 설화 : (1)봉선화의 유래에 관한 설화. 봉선이라는 궁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내용과 봉선이라는 신선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두 가지 내용이 있다.
  • 선화자 : (1)봉선화의 씨.
  • 선화자유 : (1)봉선화의 씨로 짠 기름.
  • : (1)윙윙거리는 벌의 소리. (2)임금이 거처하는 집. (3)궁궐을 둘러 싼 성벽. (4)‘전언’ 또는 ‘음신’의 높임말.
  • 성대부 : (1)조선 시대에 둔 종사품 종친의 품계.
  • 성사 성전 : (1)통일 신라 시대에, 봉성사(奉聖寺)를 맡아보던 관아.
  • 성아 : (1)‘봉숭아’의 방언
  • 성체 : (1)병자인 교우 또는 미사에 참례하여 성체를 영할 수 없는 처지의 신자에게 사제가 성체를 모셔 가 영하여 주는 일.
2 3 4 6 7 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

실전 끝말 잇기

봉으로 끝나는 단어 (710개) : 탐침봉, 연접봉, 사화봉, 자궁 경관 확장봉, 폐연료봉, 남산봉, 훈연 합봉, 장력 조절봉, 참봉, 게를라호프스키봉, 왕증봉, 이효봉, 치조봉, 신호봉, 구멍봉, 깃봉, 완산 칠봉, 시왕봉, 휴지진봉, 후봉, 개심봉, 권봉, 급선봉, 금일봉, 아호미봉, 유연 절연 스패너봉, 사기봉, 둠봉, 이연 강봉, 고운봉 ...
봉으로 끝나는 단어는 71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봉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8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