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5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06개 세 글자:737개 네 글자:767개 다섯 글자:274개 여섯 글자 이상:473개 💗모든 글자: 2,558개

  • 대밭에 대 난다 : (1)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가시나무에 가시가 난다’ ‘대 끝에서 대가 나고 싸리 끝에서 싸리가 난다’ ‘대나무에서 대 난다’ ‘대나무 그루에선 대나무가 난다’ ‘대 뿌리에서 대가 난다’ ‘배나무에 배 열리지 감 안 열린다’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열린다’ ‘오이씨에서 오이 나오고 콩에서 콩 나온다’ ‘콩 날 데 콩 나고 팥 날 데 팥 난다’ ‘콩에서 콩 나고 팥에서 팥 난다’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2)어버이와 아주 딴판인 자식은 있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경주 문무 대 : (1)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수중 왕릉. 자연 바위를 이용하여 만들었으며, 그 안에 동서남북으로 인공 수로를 만들었다. 유골은 수로의 교차점에 놓인 넓적한 돌 아래에 매장한 것으로 추측된다. 사적 제158호.
  • 무령 금제 관식 : (1)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제 왕관 장식.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ㆍ조사되었을 때, 왕의 관 안쪽 머리 부근에서 포개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높이 30.7cm, 너비 14cm이다. 국보 제154호.
  • 낙랑 공주와 호동 자 설화 : (1)고구려 대무신왕의 왕자 호동과 낙랑 공주의 사랑 이야기. 낙랑 공주가 사랑을 위하여 자기 나라의 보물인 자명고를 찢어 결국 나라가 패망하게 되는 내용으로, ≪삼국사기≫에 실려 있다.
  • 동방정유리의 : (1)열두 가지 서원(誓願)을 세워 중생의 질병 구제, 수명 연장, 재화 소멸, 의식(衣食) 만족을 이루어 주며, 중생을 바른길로 인도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부처. 큰 연꽃 위에 앉아서, 왼손으로는 약병을 들고 있고, 오른손으로는 시무외인을 맺고 있다.
  • 수재 : (1)벼슬아치가 뇌물을 받고 법을 어기던 일.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죄를 지은 경우 ≪대명률직해≫에 따라 처벌하였다.
  • 스웨덴 립 발레단 : (1)1773년 세워진 스웨덴 최초의 전문 발레단. 국왕 구스타프 3세가 스톡홀름에 스웨덴 오페라단을 창설하면서 발족시킨 발레단으로, 현재는 고전 발레와 현대 무용을 모두 활발히 소화하고 있다.
  • 이면 : (1)어차피 그렇게 할 바에는.
  • : (1)바다가 끝이 없이 넓음. (2)미루어 헤아리기 어려움.
  • 덩크 : (1)덩크 슛을 잘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동명 성 : (1)고구려의 시조(B.C.58~B.C.19). 성은 고(高). 이름은 주몽 또는 추모(皺牟). 해모수의 아들. 동부여의 금와왕의 아들 대소(帶素)의 모해(謀害)를 피하여 졸본에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37년에서 기원전 19년까지이다.
  • : (1)휘어져 굽음. (2)억울한 죄.
  • 보척명 : (1)팔대 명왕의 하나. 보현보살의 화신이다.
  • : (1)알이 굵은 콩.
  • 대감 : (1)부엌을 맡는다는 신. 늘 부엌에 있으면서 모든 길흉을 판단한다고 한다.
  • 찰루키아 : (1)6세기 중엽부터 12ㆍ13세기 무렵까지 중부 인도의 데칸고원을 지배하던 왕조.
  • 조실록 : (1)조선 태조 때부터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 동안의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쓴 사서(史書).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일제 침략기에 일본인들이 주관하여 편찬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조선왕조실록’이다.
  • : (1)편지 따위의 글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할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2)임금의 어머니. (3)정재(呈才) 때에, 헌선도무에서 선도반(仙桃盤)을 드리는 여기(女妓).
  • : (1)‘호박벌’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2)말벌과의 벌. 몸은 암컷이 2.5cm, 수컷이 2cm 정도이며, 검은 갈색에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의 털이 나 있다. 대개 육식성으로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다. 한국을 비롯하여 유럽에서 극동까지 분포한다. (3)구멍벌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3cm 정도이며, 검은색이고 연한 갈색 털이 많이 나 있다. 배와 등에는 군데군데 불규칙한 노란색 얼룩무늬가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4)‘땅벌’의 방언
  • 변형 복 달리기 테스트 : (1)체력 측정 방법에서, 일정한 거리를 달린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10미터 거리에서 양쪽에 지름 50cm 정도의 반원을 만들고 한쪽 반원에 나무토막을 놓는다. 피검자가 출발하여 하나의 나무토막을 반대쪽에 옮겨 놓고 나머지 나무토막을 다시 가서 가져다 놓으면 끝이 난다. 나무토막을 운반한 총시간을 1/10초 단위로 기록하고 2회 측정하여 그중 좋은 성적을 기록한다.
  • : (1)‘잔뜩’의 방언 (2)‘왕’의 높임말. (3)자기가 쌓은 공덕을 모든 중생에게 베풀어 함께 극락에 왕생하기를 원하는 일.
  • 신라 성덕 : (1)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에 있는 신라 성덕왕의 능. ≪삼국사기≫에는 이거사(移車寺) 남쪽에 장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왕릉의 북쪽에 있는 절터가 이곳으로 추정된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성덕왕릉’이다.
  • 하늘가재 : (1)사슴벌렛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3.5~6cm이며, 검은색에 배는 조금 갈색을 띠고 뒷가슴 양옆에는 노란 털이 있다. 수컷은 굵고 큰턱이 뿔처럼 나왔는데 안으로 굽었고, 그 끝에 한 개의 긴 돌기와 작은 이가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김의털아재비 : (1)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120cm이며, 잎은 좀 납작하면서 길고 거칠고 털이 있다. 대체로 연두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이 도는 수상화가 핀다.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지리산ㆍ강원ㆍ함경,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명의 : (1)고려 숙종의 비(?~1112). 성은 유(柳). 문하시중(門下侍中) 유홍(柳洪)의 딸이다. 예종 7년(1112)에 궁 밖으로 행차를 나갔다가 갑자기 병이 위독해져 신박사(信朴寺)에서 사망했다. 능은 숭릉(崇陵)이며, 슬하에 7남 4녀를 두었다.
  • : (1)심마니들의 은어로, ‘쌀’을 이르는 말. (2)귀가 멍멍하게 울릴 정도로 크고 시끄럽게 떠들거나 우는 소리. (3)말이나 소에게 걸음을 멈추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4)군주 국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 (5)일정한 분야나 범위 안에서 으뜸이 되는 사람이나 동물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장기에서, 상대편의 궁을 잡으려고 놓는 수. (7)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개성(開城), 대전(大田) 등이 현존한다. (8)‘보다 큰 종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9)‘매우 큰’ 또는 ‘매우 굵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10)‘매우 심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11)‘할아버지뻘 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12)‘일정한 분야나 범위 안에서 으뜸이 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맘루크 : (1)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집트와 시리아를 지배한 터키계 이슬람 왕조. 1250년에 아이유브 왕조의 군인 노예였던 아이바크가 아이유브 왕조를 타도하고 창건하였으며, 십자군과 몽고군을 격파하고 동서 무역으로 번영하였으나, 새 인도 항로가 발견된 후에 관세 수입이 크게 줄어 재정 파탄으로 1517년에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다.
  • 사의 변 : (1)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권문세족들과 결탁한 김용(金鏞)이 흥왕사의 행궁에 머무르고 있던 공민왕을 시해하려 한 사건. 최영 등이 반란을 진압하였으며, 이후에 반란의 주모자로 검거된 김용은 유배지에서 처형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고려와 원나라의 관계는 더욱 냉각되었다.
  • 잎팥배 :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4~5월에 흰 꽃이 방상(房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이과(梨果)로 10월에 익는다. 목재는 기구재나 땔나무로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오이디푸스 : (1)기원전 430~420년 사이에 고대 그리스의 시인 소포클레스가 지은 비극.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이디푸스 일가의 불행한 운명을 소재로 하여 가혹한 운명에 휩쓸린 인간의 비극을 삼일치의 법칙으로 그렸으며, 주인공 자신의 선의(善意)가 오히려 자신을 파멸의 길로 이끄는 사건 전개가 비극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 머루 : (1)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길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6월에 황록색의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꽃이삭 아래쪽에서 덩굴손이 자란다. 열매는 동그란 장과(漿果)로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식용ㆍ약용하고 원줄기는 지팡이를 만드는 데에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레온 : (1)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이베리아반도 북부에 있던 작은 왕국. 레콘키스타 운동의 전진 기지로서, 레온을 주도(主都)로 하여 수립하였으며, 11세기에 카스티야 왕국에 병합되었다가 한때 독립하였으나 1230년에 다시 병합되었다.
  • 애염명 : (1)밖으로는 분노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안으로는 애욕을 본체로 하는 사랑의 신. 몰지각한 사랑으로 인한 가정의 파란과 서로 집착하는 데서 일어나는 남녀 간의 갈등을 풀어 큰 사랑과 큰 탐욕에 대한 법문을 깨닫게 한다. 온몸이 붉고 눈은 셋, 팔이 여섯이며, 머리에는 사자관(獅子冠)을 쓰고 있다.
  • 나나니 : (1)구멍벌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6cm 정도이며 검은색이고, 검은 갈색 털과 잿빛을 띤 갈색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배의 제1등판의 양옆, 뒤 가두리, 제2등판은 붉은색이다. 한국, 일본,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 정복고기 연극 : (1)영국의 왕정이 회복된 1660년에서 1700년 사이에 상연된 연극.
  • : (1)‘왕겨’의 방언 (2)중국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 때의 무장(1317~1362). 지략이 있어 주원장(朱元璋)이 태평연(太平掾)으로 삼았다. 규율을 엄격하게 하여 부하 장수들이 주민을 괴롭히자 엄히 처벌하였다. 묘군(苗軍)의 난 때 호대해(胡大海)와 함께 죽었다. (3)중국 송나라 때의 정치가(1158~1213).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 등과 친하게 지냈다. 영종(寧宗) 때 태학박사(太學博士)가 되었으나 한탁주(韓侂冑)에게 탄핵을 받고 면직되었다.
  • 카롤링거 조 르네상스 : (1)9세기 전후에 프랑크 왕국, 특히 카롤루스 대제의 궁정을 중심으로 번창한 미술 및 문화를 통틀어 이르는 말. 고전 문화 부흥 운동으로 789년의 성당, 수녀원에 대한 학교 창설의 칙령에서 시작되어 고대 로마 문화를 모범으로 하고 궁정과 수도원이 모체가 되어 추진되었다. 미술ㆍ건축ㆍ학예가 장려되어 고대 말기와 메로빙거 왕조 이래의 문화의 융합이 이루어졌다.
  • 느릅나무 : (1)느릅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 5월에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시과(翅果)로 5월 말경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기르며 나무껍질은 약용한다. 한국의 강원 화천 이북ㆍ충북 단양,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복 엔진 : (1)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 운동을 통하여 연료와 공기의 화학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엔진. 피스톤이 하향으로 이동할 때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가 실린더 안으로 유입되고, 피스톤이 위로 이동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가 압축된다. 피스톤이 상사점에 거의 도달했을 때 압축된 혼합 가스가 점화되고 연소된다. 연소 가스는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고 공기가 팽창하면 피스톤을 아래로 밀어낸다. 왕복 피스톤은 연결봉으로 크랭크축 스로(throw)에 연결된다.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상하 운동을 할 때 연결봉은 크랭크축을 회전시킨다. 왕복 엔진은 피스톤이 4행정을 하면 두 번 왕복한다. 압축 행정이 종료되는 시기에 점화되어야 폭발 행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1사이클은 4행정 5이벤트로 이루어진다. 왕복 엔진의 종류에는 4행정 사이클 엔진과 2행정 사이클 엔진 두 가지가 있다.
  • : (1)조선 시대 태조의 4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자손.
  • 부지 : (1)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학자(1619~1692). 자는 이농(而農). 호는 강재(薑齋). 화이 변별(華夷辨別)의 사상을 강조하였으며, 청나라 말기의 혁명 사상에 자극을 주었다. 저서에 ≪황서(黃書)≫, ≪독통감론(讀通鑑論)≫, ≪송론(宋論)≫ 따위가 있다.
  • : (1)남의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2)임금의 장례. (3)‘왕소군’의 본명. (4)아악의 곡 이름. 당악에 속하는 평조곡으로, 중국 당나라 서융(西戎)의 반란 때, 재상 왕효걸(王孝傑)이 정벌에 나갔다가 전사하여 그 충렬을 사모하여 지었다고 한다.
  • : (1)중국 위나라의 학자(226~249). 자는 보사(輔嗣). 위진 시대 노장학(老莊學)의 시조로 불린다. 저서에 ≪노자주(老子注)≫, ≪주역주(周易注)≫가 있다. (2)‘상당후’의 본명.
  • 무열릉비 : (1)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무열왕릉 앞의 화강암 비석. 통일 신라 초기의 것으로, 우리나라 비석 조각 가운데 최대의 걸작이다. 비 몸 위의 머릿돌에 이무기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는데, 현재 비 몸이 없어진 채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로 머릿돌만이 얹혀져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태종 무열왕릉비’이다.
  • 대원수명 : (1)나라를 지킨다는 인도의 신. 얼굴이 넷 또는 여섯에 팔은 여덟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성난 얼굴을 하고 몸에는 뱀을 감고 불길에 싸여 있다고 한다. 밀교(密敎)에서 중히 여긴다.
  • : (1)조선 시대에, 의금부에 딸려 관인 및 양반 계급의 범죄자를 가두어 두던 감옥. (2)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왕족의 범죄, 반역죄ㆍ모역죄 따위의 대죄(大罪), 부조(父祖)에 대한 죄, 강상죄(綱常罪), 사헌부가 논핵(論劾)한 사건, 이(理)ㆍ원리(原理)의 조관(朝官)의 죄 따위를 다루었다.
  • 로디 : (1)1451년에 아프간족의 한 부족인 로디족이 세운 최후의 이슬람 왕조. 1526년에 무굴 제국에 멸망하였다.
  • 헌덕 : (1)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있는 신라 헌덕왕의 능. ≪삼국사기≫에 천림사의 북쪽에 장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왕릉의 남쪽에 있는 절터가 천림사 터로 추정된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헌덕왕릉’이다.
  • 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 : (1)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교 조각상. 조선 인조 27년(1649)에 조성되었고, 정조 10년(1786)에 새로 보탑을 만들어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병자호란 이후 국난 극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담고 있으며, 사천왕상의 모습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보물 제1255호.
  • 신라 정강 : (1)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신라 정강왕의 능.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무덤의 형태로, 긴 돌을 사용하여 3단으로 둘레석을 쌓았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정강왕릉’이다.
  • 폴란드 : (1)1815년 빈 회의의 결과로 제정 러시아 내에 독자적 정치 체제와 군사력을 갖추게 된 왕국. 제정 러시아 황제가 폴란드 왕을 겸하였다.
  • 난다 : (1)기원전 5∼기원전 4세기에 인도의 마가다를 지배하던 왕조. 기원전 320년 마우리아 왕조의 시조 찬드라굽타에게 망하였다.
  • 장방장 : (1)‘제멋대로’의 방언
  • 응우옌 : (1)1802년에 응우옌푹아인이 국내를 통일하고 건국한 베트남 최후의 왕조. 후에(Huê)에 수도를 정하고 국호를 베트남이라고 하였는데, 19세기 중기부터 프랑스의 침략을 받아 그 보호국이 되었다가 1945년에 완전히 몰락하였다.
  • : (1)백제의 제30대 왕(?~641). 이름은 장(璋)ㆍ무강(武康)ㆍ헌병(獻丙)ㆍ일기사덕(一耆篩德). 별명은 서동(薯童). 중국 수나라ㆍ당나라와는 친화 정책을 써서 고구려를 견제하고 신라를 자주 공략하였으며, 승려 관륵을 일본에 보내어 천문ㆍ지리ㆍ역본 따위의 서적과 불교를 전하였다. 만년에는 사치와 유흥에 빠져 백제가 멸망하는 원인을 만들었다. 재위 기간은 600~641년이다. (2)발해의 제2대 왕(?~737). 이름은 대무예(大武藝). 일본과 국교를 열어 문물을 교환하고, 무력을 양성하여 당나라를 공략하였다. 재위 기간은 719~737년이다. (3)중국 주나라의 제1대 왕(?~?). 성은 희(姬). 이름은 발(發). 은 왕조를 무너뜨리고 주 왕조를 창건하여, 호경(鎬京)에 도읍하고 중국 봉건 제도를 창설하였다. 후대에 현군(賢君)으로 평가받았다. (4)왕이 없음. 또는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음. (5)죄 없는 사람을 굳이 모함함.
  • 천지본풀이 : (1)제주 서사 무가의 하나. 하늘의 천지왕이 땅의 총맹 부인과 동침하여 두 아들을 낳는다. 천지왕은 형인 대별왕에게 이승을, 아우인 소별왕에게 저승을 주었는데 이승을 탐낸 소별왕이 형을 속여 이승을 차지한다. 그러나 이승은 혼란으로 가득하여 소별왕은 결국 이승을 다스리지 못하고 형에게 부탁하여 대별왕이 세상의 질서를 잡아 간다는 내용이다.
  • 일성 : (1)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신라 일성왕의 능.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렸고, 밑 둘레는 자연석으로 둘렀다. 내부는 굴식 돌방무덤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일성왕릉’이다.
  • 명 석조 사리감 : (1)부여 능산리 절터 중앙부에 자리한 목탑 자리 아래에서 출토된, 백제 때 사리를 보관하던 용기. 출토 당시 이미 폐기된 상태였으며, 높이 74cm, 가로ㆍ세로 각각 50cm로 터널형이다. 감실의 좌우 양쪽에 예서체의 글자가 각각 10자씩 새겨져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감’이다.
  • 고전적 제 절개술 : (1)질 분만을 하지 않고 배의 한가운데를 세로로 절개하여 아기를 출산하는 방법. 요즈음은 부작용이 많아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 지국천 : (1)사천왕(四天王)의 하나. 지국천을 다스리며, 동쪽 세계를 지킨다. 붉은 몸에 천의(天衣)로 장식하고, 왼손에는 칼을 들고 오른손에는 대체로 보주(寶珠)를 들고 있다. 절의 입구 사천왕문에 입상이 있다.
  • 대모래미 : (1)심마니들의 은어로, ‘쌀밥’을 이르는 말.
  • 헌애 : (1)고려 경종의 비(妃)(964~1029). 목종의 생모로 목종이 즉위하자 섭정하면서 김치양과 통정하고 아들을 낳았는데, 후에 이 아들 때문에 강조의 정변이 일어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 재 지내고 지벌 입는다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기도를 하고도 신불이 주는 벌을 받는다는 뜻으로, 세력 있는 사람에게 뇌물을 바치거나 남에게 좋은 일을 하고서 도리어 그 사람에게 해를 입는다는 말.
  • 지사 온 김에 발치잠이나 자고 가겠다 : (1)이왕 한 일이니까 별로 만족스럽지 않아도 상황이나 형편이 허락하는 한에서 일을 해치우는 수밖에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흥사지 : (1)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백제의 절터. 이곳에서 목탑지, 금당지를 비롯하여 사역 중심부의 건물터, 기와 가마터 따위가 발견되었다. 사리기가 출토되어 왕흥사의 창건 시기를 밝히고 백제사 문헌을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사적 정식 명칭은 ‘부여 왕흥사지’이다.
  • 통이 : (1)‘말벌’의 방언 (2)‘말벌’의 옛말.
  • 성제명 : (1)덕이 높고 지혜로운 임금.
  • : (1)‘살강’의 방언 (2)중국 은나라의 마지막 임금(?~?). 이름은 제신(帝辛). 주(紂)는 시호(諡號). 지혜와 체력이 뛰어났으나, 주색을 일삼고 포학한 정치를 하여 인심을 잃어 주나라 무왕에게 살해되었다.
  • : (1)중국 진(晉)나라의 문인ㆍ정치가(234~305). 자는 준충(濬沖). 죽림칠현의 한 사람으로, 유유자적하고 노장사상을 선호하여 정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2)중국 남조 제나라 때의 정치가(467~493).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워 일찍이 무제(武帝)에게 발탁되어 중서랑(中書郞)까지 이르렀다. 경릉왕(竟陵王) 소자량(蕭子良)과 절친하여 경릉팔우(竟陵八友)의 한 사람이 되었다. 소자량의 즉위를 도모했으나, 울림왕(鬱林王)이 즉위하자 투옥되어 사형당했다.
  • 지마 : (1)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는, 신라 제6대 지마왕의 무덤. 경사면 위에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형태로, 무덤 둘레 장식은 없다. 무덤의 위치와 규모 따위로 보아, 신라 후대의 것으로 보인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지마왕릉’이다.
  • : (1)중국 청나라 초기의 왕씨 성을 가진 네 명의 화가. 왕시민, 왕감, 왕휘, 왕원기를 이른다. (2)네 사람의 제왕. 흔히 중국 고대의 우(禹)ㆍ탕(湯)ㆍ문(文)ㆍ무(武) 또는 순(舜)ㆍ우ㆍ탕ㆍ무의 네 성왕(聖王)이나 걸(桀)ㆍ주(紂)ㆍ여(厲)ㆍ유(幽)의 네 악왕(惡王)을 이른다. (3)사왕천(四王天)의 주신(主神)으로 사방을 진호(鎭護)하며 국가를 수호하는 네 신. 동쪽의 지국천왕, 남쪽의 증장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북쪽의 다문천왕이다. 위로는 제석천을 섬기고 아래로는 팔부중(八部衆)을 지배하여 불법에 귀의한 중생을 보호한다. (4)죽은 왕. (5)‘염라대왕’의 다른 이름. (6)왕위를 이은 임금.
  • 유다 : (1)고대 팔레스타인에 있던 유대인의 왕국. 기원전 930년경에 솔로몬왕이 죽은 후 이스라엘 왕국이 분열하여 그 남반부에 성립한 나라로, 두 번에 걸친 신바빌로니아의 공격으로 기원전 586년에 멸망하고 주민의 다수가 그 수도 바빌론으로 끌려갔다.
  • 인예 : (1)고려 문종의 비(?~1092). 성은 이(李). 중서령 자연(子淵)의 딸로, 아버지의 정략적인 야심으로 인하여 두 동생과 함께 문종의 비가 되었다. 불교를 숭상하여 국청사를 세웠다.
  • 지좌 : (1)하(夏), 은(殷), 주(周), 세 나라의 왕을 도울 만한 어진 인물.
  • 광개토 : (1)고구려 제19대 왕(374~413). 이름은 담덕(談德). 고국양왕의 태자로 18세에 왕위에 올랐다. 불교를 신봉하였고, 남북으로 영토를 크게 넓혀 만주와 한강 이북을 차지하는 등 고구려의 전성시대를 이룩하였다. 재위 기간은 391~413년이다.
  • 해릉 : (1)중국 금나라의 제4대 황제(1122~1161). 정치 기구를 통일하여 독재 권력을 강화하고 도읍을 연경(燕京)으로 옮겼다. 뒤에 남송을 평정하다가 부하에게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1149~1161년이다.
  • 자와 거지 : (1)미국의 소설가 트웨인이 지은 장편 소설. 얼굴이 서로 닮은 왕자와 거지가 서로 그 신분이 바뀌어 겪게 되는 여러 사건을 줄거리로 하고 있다. 1881년에 발표하였다.
  • 충렬 : (1)고려 제25대 왕(1236~1308). 이름은 거(昛). 초명은 심(諶)ㆍ춘(賰). 원나라에 굴복하여 세조의 공주를 아내로 맞이하였으며, 그 풍습과 문물 제도를 받아들이고 원나라의 간섭을 심하게 받았다. 1298년 정치에 염증을 느껴 상왕(上王)이 되었으나, 물러난 지 7개월 만에 다시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은 1274~1308년이다.
  • 가나 : (1)7세기~13세기경, 서아프리카 지방에서 융성하였던 나라.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4세기경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8세기경에 처음으로 기록이 나온다. 와가두(Wagadu)라 부르다가 왕의 칭호인 가나(Ghana)를 본떠 국명으로 불렀다. 사하라 사막을 횡단하는 무역을 통제하여 경제적 기반으로 삼았다.
  • : (1)조선 시대 무가(巫歌)의 하나. 팔도 성황(城隍)으로 추측되는 여덟 명의 성황신을 모시고 굿을 하며 부르던 노래로 궁중의 무속 의례에서 사용되었다. ≪시용향악보≫에 가사와 악보가 전한다. 작자와 창작 연대는 알 수 없다.
  • 통일 이탈리아 : (1)이탈리아에서 1861년에 사르디니아 공국의 왕을 국왕으로 하여 성립한 입헌 군주제 국가. 이로써 여러 나라로 분열되었던 이탈리아가 통일되었으며 1946년에 국민 투표에 의하여 왕정이 폐지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 벌주외사 : (1)중국 명나라 때의 장편 소설. 중국 고전 소설 가운데 신마 소설(神魔小說)의 대표작으로, 허중림(許仲琳)이 지었다고 전해진다. 일설에는 명나라의 육서성(陸西星)이 지었다고도 한다. 강자아(姜子牙)가 주(周)나라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보좌하여 상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한 역사적 배경을 그리고 있다.
  • 사정 : (1)중국 청나라의 시인(1634~1711). 본명은 진(禛). 자는 이상(貽上). 호는 완정(阮亭)ㆍ어양산인(漁洋山人). 당송의 시풍을 받아 신운(神韻)을 중시하였다. 작품에 시문집 ≪정화록(精華錄)≫, ≪대경당집(帶經堂集)≫, ≪당현삼매집(唐賢三昧集)≫이 있다.
  • 동명 신화 : (1)주몽의 출생과 즉위에 관한 신화. 천제(天帝)의 아들인 해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 사이에서 태어난 주몽이 동부여의 금와왕의 아들 대소(帶素)의 모해(謀害)를 피하여 졸본에 고구려라는 나라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김부식의 ≪삼국사기≫, 일연의 ≪삼국유사≫,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편>에 실려 전한다.
  • 강아지풀 : (1)볏과의 하나.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이다. 한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여어 : (1)뱅엇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12cm 정도로 가늘고 길며 투명하다. 벚꽃이 만발하는 4~5월에 큰 강의 어귀에서 산란하고 부화한 새끼 고기는 바다로 내려가서 해를 지내며 산란 뒤 어미는 바로 죽는다. 가공하여 건포를 만들며 한국의 압록강ㆍ대동강ㆍ금강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양명 : (1)중국 명나라의 유학자(1472~1528?). 이름은 수인(守仁). 자는 백안(伯安). 양명은 호. 양명학의 주창자이다.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과 심즉이설(心卽理說) 및 치양지설(致良知說)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왕문성전서(王文成全書)≫, ≪전습록≫이 있다.
  • 무령비 금제 경식 : (1)1971년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무령왕릉에서 나온 백제의 목걸이. 왕비의 목걸이 한 쌍으로, 아홉 마디로 된 것과 일곱 마디로 된 것 두 종류이다. 두 목걸이 모두 한끝에 목에 걸기 위한 고리가 끼워져 있을 뿐 간단한 구조를 하고 현대적이고 세련되어 보인다. 국보 정식 명칭은 ‘무령왕비 금목걸이’이다.
  • 관음 : (1)한 송이 연꽃을 타고, 물 위에 떠서 두 손으로 향로를 받들고 있는 모습의 관음.
  • 선의 : (1)고려의 추존왕 대종(戴宗)의 비(?~?). 성은 유(柳). 정주(貞州) 출생으로 태조의 딸이다. 아들은 성종이다.
  • 벌 유입 : (1)벌 무리에 새로운 여왕벌을 넣는 일.
  • 조지 조 시대의 미술 양식 : (1)영국 하노버 왕조의 초기 네 명의 왕의 통치기인 1714~1831년에 유행했던 미술 양식. 공예에 있어서는 엄밀한 양식의 명칭이라기보다는 막연하게 ‘18세기 영국의’ 또는 ‘영국 로코코의’라는 의미로 주로 쓰인다.
  • : (1)발해의 제9대 왕(?~818). 성은 대(大). 이름은 명충(明忠). 연호를 태시(太始)라고 하였다. 재위 기간은 817~818년이다. (2)고대 로마에서 왕이나 집정관이 죽고 다음 후계자가 선출되는 공백 기간 동안 임시로 그 권한을 대행한 사람. 만족할 만한 왕이나 집정관이 선출될 때까지 원로원 의원 가운데 10명이 5일씩 돌아가면서 맡았다.
  • 정선필 인제색도 : (1)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의 대표작. 영조 27년(1751)에 동쪽에서 본 서울 인왕산을 그린 그림이다. 국보 제216호.
  • 창녕 진흥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있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 본디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기슭에 있던 것을 192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진흥왕 22년(561)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비문은 해서체로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이다.
  • 우전 : (1)기원전 6세기 무렵 인도의 왕(?~?). 왕비의 권유로 부처에 귀의하고, 인도에서 최초로 불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 : (1)황제와 국왕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산아(産兒)를 돌보는 세 신령. (3)여러 임금. (4)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 진평 : (1)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신라 진평왕의 능.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렸고, 둘레돌로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나 몇 개만 남아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진평왕릉’이다.
  • 원추리 : (1)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8월에 80~100cm의 꽃줄기 끝에 나리꽃 비슷한 꽃이 여러 송이 핀다. 어린잎과 꽃은 식용하고 덩이줄기는 약용한다. 관상용이고 중국이 원산지이다.
  • 단상 격 : (1)홑통에 수직 격왕판을 설치하여 한쪽에서 산란과 육아를 하는 곳. 나머지는 꿀을 저장하는 곳으로 사용한다.
22 23 24 2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왕으로 시작하는 단어 (899개) : 왕, 왕가, 왕가도, 왕가루, 왕가물, 왕가뭄, 왕가시나무, 왕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나무, 왕가위벌, 왕가위벌레, 왕가윤, 왕가의 계곡, 왕가하다, 왕간, 왕갈, 왕갈비, 왕갈비탕, 왕감, 왕갑년, 왕갓, 왕강, 왕강년, 왕강아지풀, 왕강충이, 왕개, 왕개구리, 왕개미, 왕개미 정자나무 흔드는 격, 왕개서어나무 ...
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8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왕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5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