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5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06개 세 글자:737개 네 글자:767개 다섯 글자:274개 여섯 글자 이상:473개 모든 글자: 2,558개

  • : (1)임금의 자손. (2)‘한산후’의 본명.
  • 세자비 : (1)왕세자의 아내. ⇒규범 표기는 ‘왕세자빈’이다.
  • 뚱이 : (1)꼽등잇과의 곤충. 몸은 갈색이며 등은 굽은 모양이다. 더듬이가 길고 뒷다리가 길어 잘 뛰며 날개는 퇴화되었다. 지하실, 부엌, 마루 밑 따위의 습한 곳에서 살며 밤에 활동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 별꽃 : (1)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8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7월에 흰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줄기 끝과 가지 끝에 피는데 끝이 5~12개로 갈라지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며 애순은 식용한다.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백두산 부근과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 (1)이미 많은 세월이 지난 오래전 때.
  • 내심 : (1)마음을 왕실에 둔다는 뜻으로, 나라에 충성함을 이르는 말.
  • 세자 탄강 진하도 병풍 : (1)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병풍. 고종 11년(1874년)에 왕세자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하여 거행한 진하례(陳賀禮) 의식 광경을 그린 것이다. 좌우의 양쪽 끝 폭에는 제작에 참여한 관원들의 관직과 성명이 적혀 있다. 당시 의례와 풍속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보물 제1443호.
  • : (1)중국 당나라 태종의 아우 등왕(滕王) 이원영(李元嬰)이 장시성(江西省) 난창시(南昌市)의 서남쪽에 세운 누각.
  • 사대 천 : (1)사왕천(四王天)의 주신(主神)으로 사방을 진호(鎭護)하며 국가를 수호하는 네 신. 동쪽의 지국천왕, 남쪽의 증장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북쪽의 다문천왕이다. 위로는 제석천을 섬기고 아래로는 팔부중(八部衆)을 지배하여 불법에 귀의한 중생을 보호한다.
  • 의자 : (1)백제의 제31대 마지막 왕(?~?). 642년에 신라를 공격하여 미후성(獼猴城) 등 많은 지역을 점령하고, 고구려와 화친하는 등 기울어져 가는 국위의 선양에 힘썼다. 만년에 사치와 방탕에 흘러, 660년에 나당 연합군에 항복하여 당에 압송되었다가 병사하였다. 재위 기간은 641~660년이다.
  • 망생원 : (1)밥벌이를 하지 못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눈물떼새 : (1)물떼샛과의 새. 머리는 짙은 붉은색, 날개는 검은 갈색과 잿빛을 띤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다. 배ㆍ겨드랑이는 흰색이고 겨드랑이에는 잿빛을 띤 갈색 무늬가 있는데, 겨울에는 몸의 윗면이 잿빛을 띤 갈색으로 바뀐다.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 광인 : (1)프랑스 왕 ‘샤를 육세’의 다른 이름.
  • 정청 : (1)11세기 중엽부터 13세기 말엽까지 영국의 사법을 맡았던 회의체. 초기에는 영국 국왕의 사법 행위를 보좌하던 국왕 직속의 위원회로, 상급 법원의 기능을 하였다.
  • : (1)중국 명나라 때에, 왕양명(王陽明)이 주창했던 새로운 유교 학설. 마음 밖에 사리(事理)가 따로 없으며 사람마다 양지(良知)를 타고났으나 물욕이 있는 탓에 성인과 범인(凡人)이 구별되는 것이므로 물욕의 장애를 물리칠 때 비로소 지행합일이 된다고 하였다.
  • 머리거미 : (1)왕거밋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3~4mm이며, 두흉부는 갈색, 다리는 누런 갈색, 등에는 폭 넓은 검은 무늬가 있다. 머리는 공 모양으로 크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말리 : (1)13~16세기에 아프리카 서부에 있던 이슬람 국가. 무사 시기에 크게 발전하였고, 사하라 횡단 무역과 황금으로 부를 누렸다.
  • : (1)진한 염산과 진한 질산을 3 대 1 정도의 비율로 혼합한 액체. 강한 산화제로, 산에 잘 녹지 않는 금과 백금 따위를 녹일 수 있다. (2)부당하게 잡아 가둠. (3)‘상안공’의 본명. (4)‘부여공’의 본명.
  • 내해 : (1)신라의 제10대 왕(?~230). 209년 포상 팔국(浦上八國)의 침입을 받은 가락국의 요청으로 구원병을 파견하여 이를 물리쳤다. 재위 기간에 여러 차례 백제의 침입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하였다. 재위 기간은 196~230년이다.
  • 팔라바 조 미술 : (1)인도 남부의 타밀 지역을 통치했던 팔라바 왕조의 미술. 7세기 초부터 9세기 초까지 수도인 칸치푸람을 중심으로 힌두교 미술을 발전시켰으며, 사원을 장식하기 위한 석조 예술이 발달하였다.
  • 칠월 : (1)프랑스에서 1830년 7월에 혁명으로 이루어진 입헌 왕정. 부르봉가(家)의 샤를 십세가 물러나고 오를레앙가(家)의 루이 필립이 즉위함으로써 세워졌는데, 부유한 시민 계급의 이익을 주로 대변하였기 때문에 민중의 불만을 일으켜 1848년의 2월 혁명으로 무너졌다.
  • : (1)임금의 은혜.
  • 대감 : (1)무당들이 ‘업왕’을 높여 이르는 말.
  • 전성 : (1)여왕벌을 길러 내기 위하여 만드는, 분봉열에 의한 왕대.
  •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 : (1)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사천왕상. 흙으로 조성하였고, 모두 의자에 앉은 채 오른발은 악귀를 밟고 왼발은 악귀들이 받쳐 든 모습이다. 인조 6년(1628)에 다시 만들었다는 묵서명이 남아 있어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 보물 제1467호.
  • 조지 의 싸움 : (1)1744년에 오스트리아와 동맹을 맺은 영국과 이에 반대하는 프랑스가 북아메리카에서 싸운 식민지 쟁탈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일환으로 벌어졌으며, 1748년에 아헨의 화약(和約)에 의하여 종결되었다.
  • 봉상 : (1)고구려 제14대 왕(?~300). 이름은 상부(相夫)ㆍ삽시루(歃矢婁). 일명은 치갈왕(雉葛王). 창조리를 국상(國相)에 등용하여 2년(293)과 5년(296)에 중국 연나라 모용외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나, 사치와 방탕에 빠져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292~300년이다.
  • 치무 : (1)13세기 초에 남아메리카 페루 북부의 태평양 연안에 있던 왕국. 15세기에 잉카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현재의 트루히요 서북쪽에 수도의 유적이 있다.
  • 십대 : (1)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 복서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서간집. 광해군 6년(1614)에 기대승의 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이 간행하였으며, ≪고봉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황과 기대승의 사상과 교유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 : (1)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 : (1)지나간 자취.
  • 태자비 : (1)왕태자의 아내.
  • : (1)같은 임금. (2)그 임금.
  • 사천 현상 : (1)피하 조직 및 근육에 부패 가스가 많이 축적되어 전신이 거대해지는 현상.
  • 진광 : (1)명도(冥途)에서, 죽은 이의 초칠일에 그 죄업을 재판하는 명관(冥官). 사람으로 하여금 악을 끊고 선을 닦게 한다고 한다.
  • 명치호 : (1)고구려 제21대 왕(?~519). 이름은 나운(羅雲). 장수왕의 손자로, 아버지가 일찍 죽자 장수왕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부여, 신라, 백제를 침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재위 기간은 491~519년이다.
  • 곰취 : (1)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근생엽은 긴 꼭지가 있고 심장 모양의 원형 또는 심장 모양의 타원형이다. 8월에 노란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줄기 위에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깊은 산에서 나는데 함경남도 부전고원의 특산종이다.
  • 홈런 : (1)야구에서, 한 시즌을 통틀어 홈런을 가장 많이 친 타자를 이르는 말.
  • 흠약 : (1)중국 북송 때의 정치가ㆍ학자(?~1025). 자는 정국(定國). 진종 때 한림학사와 상서직을 거쳐 대학사에 올랐고 ≪책부원구(冊府元龜)≫의 찬수와 국사의 편찬을 맡았으나, 재상 구준을 참소하고 도교를 신봉하여 후대에 간신으로 평가되었다.
  • : (1)고려의 왕족(?~1170). 숙종(肅宗)과 명의 왕후(明懿王后) 유씨의 아들이다. 이자겸(李資謙)의 난 때 역모와 관련되었다는 죄명으로 유배되었다.
  • 신복 : (1)발해의 벼슬아치(?~?). 자수대부(紫綏大夫) 행정당성좌윤(行政堂省左允) 개국남(開國男)으로, 762년 일본에 대사로 파견되어 일본으로부터 정삼위(正三位)를 받았다.
  • 자 대공 : (1)쌍대공 위쪽 지붕마루 부분에 대는 대공.
  • : (1)교미를 마치고 산란하기 시작하는 처녀왕.
  • 수수 : (1)‘수수’의 방언
  • 사타바하나 : (1)기원전 3세기 말부터 기원후 3세기 전반까지 데칸고원 일대를 지배하던 고대 남부 인도의 왕조.
  • 컴퓨터 : (1)컴퓨터를 매우 잘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페루 부 : (1)1543년에 스페인이 아메리카 식민지를 다스리기 위하여 설치한 부왕령. 신대륙에 세워진 네 개의 부왕령 가운데 두 번째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남아메리카 스페인령 전체를 관할하였으나, 다른 부왕령들을 설치하면서 페루로 제한되었다. 1824년에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 하다 : (1)마음이 늘 어떤 사람이나 고장에 쏠리다.
  • 산 차돌을 먹고 살기로 사돈의 밥을 먹으랴 : (1)아무리 어렵고 고생스러워도 처가의 도움을 받아 살아가고 싶지는 아니함을 이르는 말.
  • 암산 : (1)암산을 매우 잘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덕 : (1)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에 있는 신라 경덕왕의 능. 둘레돌을 다듬은 수법이나 십이지 신상의 조각 수법이 신라 후기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경덕왕의 무덤인지 확실하지는 않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경덕왕릉’이다.
  • : (1)백제 제12대 왕(?~346). 성품이 강직하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뛰어났다. 재위 기간은 344~346년이다.
  • 성정 : (1)신라 성덕왕의 비(?~?). 소판(蘇判) 김원태(金元泰)의 딸로, 아들은 중경(重慶)이다. 성덕왕 4년(704)에 왕비로 책봉되었다가, 성덕왕 15년(716)에 궁궐에서 쫓겨나 민가에서 살았다.
  • 조흡 사패 : (1)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 동국 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서. 태종 1년(1401)에 일어난 제이 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운 조흡에게 공전과 노비를 내려 준 왕지(王旨)이다. 보물 제899호.
  • : (1)임금의 덕행으로 감화하게 함. 또는 그런 감화.
  • 복 달리기 : (1)비교적 짧은 거리를 왔다 갔다 하는 달리기. 주로 10~20미터의 거리를 반복하여 달린다.
  • 신라 흥덕 : (1)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에 있는 신라 흥덕왕의 능.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흥덕왕릉’이다.
  • 골재리 : (1)‘왕골자리’의 방언
  • 산청 전구형 : (1)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에 위치한 가야 제10대 구형왕의 능으로 전하는 돌무덤. 일반 무덤과 달리 돌로 단을 쌓아 올렸고, 무덤의 정상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이것을 놓고 왕릉이라는 설과 석탑이라는 설이 있다. 사적 제214호.
  • 골껍질 : (1)왕골의 겉껍질. 말려서 방석, 짚신, 자리 따위를 만들거나 새끼를 꼬는 데에 쓴다.
  • 자오밍 : (1)중국의 정치가(1883~1944). 자는 징웨이(精衛). 쑨원을 도와 혁명 운동에 활약하여 국민당 지도자로서 요직을 지냈으며, 중일 전쟁 중에 일본과의 타협을 주창하여 난징 정부의 주석을 지냈다.
  • : (1)선대의 임금. (2)옛날의 어진 임금. (3)발해의 제10대 왕(?~830). 성은 대(大). 이름은 인수(仁秀). 고구려 옛 땅의 대부분을 회복하고 중국 당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행정 구역을 개편하여 발해의 전성기를 이룩하였다. 재위 기간은 818~830년이다.
  • 문원 대 : (1)고려의 추존왕(?~?). 이름은 왕정(王貞). 태조 왕건과 신명 순성 왕후(神明順成王后) 유씨의 아들로, 광종의 아우이며 경종의 장인이다.
  • 빅토리아 조 미술 : (1)1837년부터 1901년까지 빅토리아 여왕이 통치하던 시대의 영국 미술. 그 중 라파엘 전파와 공예 운동이 후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 : (1)자그마한 왕국. (2)모든 것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부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하우사 : (1)10세기 말부터 11세기 초에 아프리카의 하우사족이 지금의 나이지리아 북부에 세운 도시 국가 집단. 14세기 중엽부터 이따금 동맹을 맺어 상호 관계를 갖고 있는, 일곱 개의 진정한 하우사 제국과 일곱 개의 위성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본원 : (1)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일.
  • 효성 : (1)신라의 제34대 왕(?~742). 성은 김(金), 이름은 승경(承慶). 성덕왕의 둘째 아들로, 740년에 파진찬 영종(永宗)의 모반을 평정하고, 당나라와 교섭하여 원만한 관계를 이루었다. 재위 기간은 737~742년이다.
  • 초보 : (1)어떤 분야에서, 그것을 전혀 알지 못하여 처음 시작하는 단계나 수준. 또는 그러한 사람.
  • 인공 : (1)인공적으로 왕완을 만들고 부화한 유충을 이식시킨 후 무왕군에서 여왕벌을 양성하는 공간.
  • 경주 전민애 : (1)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신라 제44대 민애왕의 것으로 전해지는 무덤.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무덤으로, 긴 돌을 사용하여 3단으로 둘레석을 쌓았다. 1984년에 발굴 조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사적 제190호.
  • 관음 : (1)바위 위에 가부좌하고 왼손을 무릎 위에 놓고 오른손에 푸른 나뭇가지를 잡고 있는 모양의 관음.
  • 고집 : (1)아주 심한 고집. 또는 그런 고집을 부리는 사람.
  • 내조 : (1)‘예수 공현’의 전 용어.
  • 마리 : (1)‘마루방’의 방언
  • 서고트 : (1)415년에 서고트족이 로마에서 아키텐을 정식으로 양도받아 세운 왕국. 에우리크 왕 때에 에스파냐의 거의 대부분을 정복하여 전성기를 이루었다. 3세기 동안 유지되다가 711년에 이슬람교도의 침입을 받아 멸망하였다.
  • 경주 헌안 : (1)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헌안왕의 능.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무덤으로 자연석을 이용하여 둘레돌을 쌓았으며, 내부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추측된다. 사적 제179호.
  • 세손비 : (1)왕세손의 아내.
  • 염라대 : (1)저승에서, 지옥에 떨어지는 사람이 지은 생전의 선악을 심판하는 왕. 지옥에 살며 십팔 장관(十八將官)과 팔만 옥졸을 거느리고 저승을 다스린다. 불상(佛像)과 비슷하고 왼손에 사람의 머리를 붙인 깃발을 들고 물소를 탄 모습이었으나, 뒤에 중국 옷을 입고 노기를 띤 모습으로 바뀌었다.
  • 사성 : (1)석가모니가 살던 시대의 강국인 마가다의 수도. 석가모니가 중생을 제도한 중심지로, 불교에 관한 유적이 많다.
  • 절대 : (1)군주(君主)의 절대적인 권한.
  • 구사 : (1)중국 명나라 때의 문학가(1468~1551). 자는 경부(敬夫). 호는 미파(渼陂). 1496년에 진사에 올라 관직 생활을 하였으나 유근(劉瑾)의 실각에 연좌된 후 시와 사곡(詞曲) 저작에 몰두하여 ≪미파집(渼陂集)≫, ≪벽산악부(壁山樂府)≫ 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
  • : (1)무당이 굿을 할 때, 조왕에게 올리려고 제물을 차린 상.
  • 유하다 : (1)가서 회유하다.
  • 호태릉비 : (1)만주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에 있는,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비석.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 : (1)임금을 몰아냄. 또는 그 임금.
  • : (1)임금의 풍채와 태도. (2)왕궁이 있는 도시. (3)임금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4)어진 덕을 근본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도리. 유학(儒學)에서 이상으로 하는 정치사상이다. (5)어떤 어려운 일을 하기 위한 쉬운 방법. (6)중국 청나라의 학자ㆍ번역가ㆍ평론가(1828~1897?). 본명은 이빈(利賓). 자는 자전(紫詮). 호는 도원(弢園). 과학 기술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변법자강론(變法自彊論)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도원문록(弢園文錄)≫, 번역한 책에 ≪보법전기(普法戰記)≫가 있다. (7)정도(正道)를 굽혀 남에게 아첨함. (8)중국 동진(東晉) 때의 정치가(276~339). 사마예(司馬睿)를 도와 동진을 세우는 데 공을 세워 승상에 올랐다. 이후 명제(明帝)ㆍ성제(成帝)까지 승상을 지내며 제왕을 보필하였다. (9)‘조선공’의 본명.
  • 붉은점모시나비 : (1)호랑나빗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7.2~9cm이며 무늬와 몸빛의 변화가 많다. 앞날개에는 검은색 또는 붉은색 무늬가 있고 뒷날개에는 붉은색 무늬가 있다. 더듬이는 잿빛을 띤 흰색, 시맥(翅脈)은 갈색이다. 한국, 중국, 시베리아,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 : (1)특정한 운동선수나 연예인 등을 매우 좋아하는 사람.
  • 벚나무 :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1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우산 모양의 꽃차례로 달리는데, 처음에는 분홍색이던 것이 활짝 피면서 흰색이 된다. 열매는 6~7월에 까맣게 익는다. 한라산, 대둔산 등지에 분포한다.
  • 잠녜 : (1)잠수를 할 때에 숨을 오래 참을 수 있고 물질에 능숙한 해녀. 제주 지역에서는 ‘왕녜’로도 적는다.
  • 미운 개가 주걱 들고 조에 오른다 : (1)미운 개가 못되게도 밥주걱을 물고서 부엌 귀신을 위해 두는 조왕에 오른다는 뜻으로,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응린 : (1)중국 남송의 학자(1223~1296). 자는 백후(伯厚). 호는 심녕거사(深寧居士). 박식하고 합리적인 그의 고증적 학풍은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저서에 ≪곤학기문≫, ≪옥해(玉海)≫, ≪통감지리통석(通鑑地理通釋)≫이 있다.
  • : (1)염라대왕이 사는 궁전.
  • : (1)알을 낳는 능력이 있는 암벌. 몸이 크며 벌 사회의 우두머리이다. 꿀벌에서는 한 떼에 한 마리만 있다.
  • 철륜 : (1)사륜왕 가운데 하나. 철륜(鐵輪)을 굴리면서 섬부주의 한 주(洲)를 다스리는 왕을 이른다. 증겁(增劫) 때에는 사람의 수명 2만 세에 나타나고 감겁(減劫) 때에는 사람의 수명 8만 세 이상이 되면 나타난다고 한다.
  • 미승 : (1)중국의 의사(1620~1659).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있던 봉림 대군이 1645년에 돌아올 때 귀화한 아홉 명의 의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경기도 가평군 하면 대보리에 있는 조종암 대통묘(朝宗巖大統廟)에 배향되었다.
  • 코살라 : (1)기원전 6세기 무렵에 현재 인도의 우타르프라데시주와 아와드 지방을 지배했던 나라. 수도였던 시라바스티는 석가모니의 설법지로 유명하다. 기원전 5세기경에 마가다 왕국에 병합되었다.
  • 프리드리히 대 : (1)프로이센의 국왕(1712~1786). 슐레지엔을 영유하고, 폴란드 분할로 서프로이센을 얻었다. 관료 조직을 정비하여 중상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부국강병에 앞장선 전형적인 계몽 전제 군주이다. 재위 기간은 1740~1786년이다.
4 5 6 8 9 1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왕으로 시작하는 단어 (899개) : 왕, 왕가, 왕가도, 왕가루, 왕가물, 왕가뭄, 왕가시나무, 왕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나무, 왕가위벌, 왕가위벌레, 왕가윤, 왕가의 계곡, 왕가하다, 왕간, 왕갈, 왕갈비, 왕갈비탕, 왕감, 왕갑년, 왕갓, 왕강, 왕강년, 왕강아지풀, 왕강충이, 왕개, 왕개구리, 왕개미, 왕개미 정자나무 흔드는 격, 왕개서어나무 ...
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8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왕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5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