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리 성의와 정성을 다하여도 그것을 받아 주는 태도가 없다면 그 행동이 빛이 날 수 없다는 말.
#정성
#태도
#노릇
#부모
#효자
#날
#그것
#성의
#행동
#빛
›
:
술 먹여 놓고 해장 가자 부르며 그를 위한다는 뜻으로, 교활하고 음흉한 자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병
#교활
#술
#해장
#행동
#음흉
›
:
술 먹여 놓고 해장 가자 부르며 그를 위한다는 뜻으로, 교활하고 음흉한 자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
#교활
#술
#배
#해장
#행동
#음흉
›
:
정신없이 술에 취해 행동을 멋대로 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사람
#술
#행동
#정신
#개
›
:
주견이나 주책이 없이 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책
#분명
#주견
#물
#술
#말
#행동
›
:
주견이나 주책이 없이 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책
#분명
#주견
#물
#술
#말
#행동
›
:
아주 느리고 끈질긴 사람이나 그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사람
#행동
›
:
여러 사람이 한 사람처럼 같은 생각과 뜻을 가지고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뜻
#생각
#사람
#숨
#말
#행동
›
:
사람의 행동이 몹시 눈에 거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똥구멍
#개미
#사람
#눈
#시기
#행동
›
:
심지가 굳지 못하고 감정에 좌우되어 주견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감정
#주견
#심지
#사람
#좌우
#비
#행동
#마음
›
:
어떠한 말이나 행동을 하더라도 하는 대로 내버려 둠을 이르는 말.
#응석
#대
#말
#행동
›
:
말과 행동보다 생각이 앞서야 한다는 말.
#생각
#앞
#행동
#말
›
:
실지 행동이나 책임이 뒤따르지 아니하는 말은 무슨 말이든지 다 할 수 있다는 말.
#책
#실지
#말로
#행동
#말
#책임
›
:
실지의 행동이나 실천은 없이 그저 말로만 하는 것이야 무슨 말인들 못하겠는가 하는 뜻으로 이르는 말.
#사촌
#기와집
#실천
#실지
#말로
#말
#행동
›
:
실지의 행동이나 실천은 없이 그저 말로만 하는 것이야 무슨 말인들 못하겠는가 하는 뜻으로 이르는 말.
#천당
#실천
#실지
#말로
#말
#행동
›
:
실제 행동은 하지 아니하고 말로만 때우는 것을 이르는 말.
#말로
#말
#행동
#실제
›
:
어슬렁어슬렁 굼뜨게 행동하는 것 같으면서도 실상은 재빠르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토끼
#재
#실상
#행동
›
:
나물을 캐기 어려운 우둔하고 무거운 도끼를 들고 나물을 캐러 간다는 뜻으로, 격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격
#도끼
#우둔
#나물
#행동
›
:
어느 순간에 무슨 변을 당할지 모를 만큼 아주 조심스럽고 위태로운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심
#우
#얼음
#신고
#만큼
#순간
#나막신
#행동
#변
›
:
›
:
잘못한 사람이 아무런 잘못도 없는 것처럼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사람
#잘못
#행동
#코
›
:
도적이 주인처럼 제 마음대로 행동하면서 오히려 주인더러 ‘그 밥 잡수우.’ 한다는 뜻으로, 잘못을 저지른 자가 매우 뻔뻔스럽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주인
#뻔뻔
#밥
#잘못
#저
#행동
#마음
›
:
행동이 느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흥정
#행동
›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남
#말
#행동
›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남
#행동
#말
›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남
#말
#떡
#행동
›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남
#행동
#말
#정
›
:
진취성이 없어 도무지 행동이 시원스럽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행동
#여든
#시원
›
:
행동이 매우 민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볕
#여우
#민첩
#행동
#콩
›
:
겉으로는 깨끗한 체하면서 실제로는 추잡한 행동을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경우
#겉
#체
#서방
#행동
#추잡
#열녀전
#실제
›
:
›
:
성질이 매우 조급하여 어떤 일을 당할 때 급히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때
#송진
#조급
#덩이
#성질
#행동
›
:
어떤 일이든지 하려고 생각했거나 또는 한창 열이 올랐을 때 망설이지 말고 곧바로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김
#일
#쇠
#함
#생각
#때
#벼
#열
#행동
›
:
든든히 박힌 소의 뿔을 뽑으려면 불로 달구어 놓은 김에 해치워야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하려고 생각했으면 한창 열이 올랐을 때 망설이지 말고 곧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김
#뿔
#일
#함
#생각
#때
#열
#불
#쇠뿔
#행동
#면
›
:
든든히 박힌 소의 뿔을 뽑으려면 불로 달구어 놓은 김에 해치워야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하려고 생각했으면 한창 열이 올랐을 때 망설이지 말고 곧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김
#일
#뿔
#함
#생각
#때
#소뿔
#열
#불
#행동
#면
›
:
여러 사람을 희생시키더라도 제 한 목숨만 살겠다고 너절하게 행동하는 사람과는 절대로 상종하지 말라는 말.
#너절
#희생
#사람
#목숨
#열
#저
#상종
#말
#행동
›
:
상대편의 의사는 알지도 못하면서 제 나름대로 생각하여 행동하다가 일을 망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의사
#일
#장
#처녀
#생각
#옆집
#나름
#저
#상대편
#행동
›
:
상대편의 의사는 알지도 못하면서 제 나름대로 생각하여 행동하다가 일을 망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의사
#일
#장
#이웃집
#생각
#나름
#색시
#저
#상대편
#행동
›
:
›
:
매우 축 늘어지게 행동하는 사람이나 그런 성질을 지닌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쇠
#사람
#불알
#오뉴월
#축
#성질
#행동
›
:
상대편이 자기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자기도 상대편에게 좋게 한다는 말.
#말
#행동
#떡
#상대편
›
:
상대편이 자기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자기도 상대편에게 좋게 한다는 말.
#상대편
#행동
#말
›
:
상대편이 자기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자기도 상대편에게 좋게 한다는 말.
#상대편
#말
#행동
#정
›
:
›
:
되지도 않을 무모한 행동을 함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흙
#놀림
#부처
#무모
#행동
›
:
말이나 행동을 희떱게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닥
#배
#까치
#모양
#말
#행동
›
:
해 줄 사람은 생각지도 않는데 미리부터 다 된 일로 알고 행동한다는 말.
#일
#생각
#사람
#김칫국
#꿈
#미리
#행동
#떡
›
:
›
:
›
:
풍류를 모르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불
#꽃밭
#행동
#풍류
›
:
›
:
영문도 모르고 함부로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국
#행동
#맛
#영문
›
:
영문도 모르고 함부로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국
#행동
#맛
#영문
›
:
부분만 보고 전체는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숲
#전체
#부분
#나무
#행동
›
:
늙으면 말과 행동이 오히려 어린아이와 같이 된다는 말.
#어린아이
#나이
#말
#행동
#어린애
›
:
늙으면 말과 행동이 오히려 어린아이와 같이 된다는 말.
#아이
#말
#행동
#어린아이
›
:
늙으면 말과 행동이 오히려 어린아이와 같이 된다는 말.
#어린아이
#늙은이
#아이
#말
#행동
›
:
늙어서도 아이들처럼 분수없이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이
#분수
#아이들
#아이
#행동
#셈
›
:
나이를 아무리 속이려고 해도 행동의 이모저모에서 그 티가 반드시 드러나고야 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
#나이
#이모저모
#티
#행동
›
:
하는 행동이나 성격 따위가 어릴 때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성격
#마찬가지
#때
#있음
#행동
#대
#따위
›
:
매우 우둔하고 미련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손발
#미련
#사람
#우둔
#불
#행동
›
:
행동의 기본 수단을 잃고 옴짝달싹할 수 없는 처지에 빠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
#사람
#수단
#옴
#날개
#짝
#싹
#행동
#처지
#기본
›
:
남의 것을 가지고 자기의 이익을 채우는 염치없는 행동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밭
#멍에
#이익
#남
#저
#염치
#행동
›
:
남에게 술을 얻어먹기 위해서 삼십 리라는 먼 길도 간다는 뜻으로, 공짜를 좋아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십
#길
#공짜
#남
#얻어먹기
#술
#행동
#리
›
:
사람의 행동이 도덕적인 일보다 흥미로운 일에 더 많이 지배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지배
#군자
#집
#사람
#불구경
#남
#흥미
#행동
›
:
고약한 노린내가 나는 노래기의 회를 먹는다는 뜻으로, 염치도 체면도 없이 행동함을 핀잔하는 말.
#핀잔
#노래기
#번
#고약
#체면
#푸념
#염치
#회
#행동
›
:
고약한 노린내가 나는 노래기의 회를 먹는다는 뜻으로, 염치도 체면도 없이 행동함을 핀잔하는 말.
#핀잔
#노래기
#고약
#염치
#행동
#회
#체면
›
:
고약한 노린내가 나는 노래기의 회를 먹는다는 뜻으로, 염치도 체면도 없이 행동함을 핀잔하는 말.
#핀잔
#노래기
#고약
#염치
#행동
#회
#체면
›
:
어떤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부분을 가로채어 가는 염치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
#핵심
#녹용
#부분
#염치
#대가리
#중요
#행동
#셈
›
:
없는 형편에 빚까지 내서 굿을 하니 맏며느리가 분수 없이 굿판에 뛰어들어 춤을 춘다는 뜻으로, 어렵게 된 일을 잘하려고 노력하여야 할 사람이 도리어 엉뚱한 행동을 한다는 말.
#형편
#굿판
#일
#며느리
#사람
#맏며느리
#분수
#굿
#논
#춤
#빚
#엉뚱
#행동
#노력
#내서
›
:
›
:
돈이라면 오금을 못 쓰고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금
#사람
#돈
#대통
#그림자
#행동
#맛
›
:
돈이라면 오금을 못 쓰고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금
#사람
#돈
#대통
#그림자
#행동
›
:
의지와 기개가 있는 사람은 재물에 팔려 행동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의지
#재물
#사람
#돈
#행동
›
:
동정 하나 제대로 못 달아 너절하게 하고 사는 며느리가 그래도 모양을 내겠다고 물 발라 머리만 빗고 있다는 뜻으로, 일을 할 줄 모르는 주제에 멋만 부리는 밉살스러운 행동을 비꼬는 말.
#주제
#일
#줄
#너절
#며느리
#밉살
#발라
#땜질
#이마
#동정
#머리
#부뚜막
#물
#털
#모양
#행동
#멋
›
:
›
:
›
:
상궤에 벗어난 일을 하거나 남과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상궤
#남
#돼지
#행동
#발톱
›
:
아무리 평범한 행동이라도 다 목적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꺼비
#뜻
#목적
#있음
#행동
›
:
아무리 평범한 행동이라도 다 목적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뜻
#있음
#행동
#개구리
#목적
›
:
남의 등을 치고나서 배를 만져 주며 그를 구원하는 체한다는 뜻으로, 교활하고 음흉한 자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
#교활
#체
#남
#배
#행동
#음흉
#구원
›
:
남의 등을 치고나서 배를 만져 주며 그를 구원하는 체한다는 뜻으로, 교활하고 음흉한 자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
#교활
#체
#남
#배
#술
#해장
#행동
#음흉
#구원
›
:
겉으로는 아주 어리석은 듯이 행동하면서도 속은 실속 있게 깐깐하거나 알면서도 모르는 체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
#의뭉
#사람
#창
#겉
#벌레
#체
#실속
#행동
›
:
잡혀서 푸줏간에 매달린 돼지가 살아서 누워 있는 돼지를 보고 무엇을 잘못한다고 꾸짖는다는 뜻으로, 더없이 어려운 처지에 있으면서도 오히려 저보다 나은 처지에 있는 사람을 흉보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잘못
#무엇
#저
#행동
›
:
›
:
무슨 일이든 낭패를 보지 아니하기 위해서는 신중하게 생각하여 행동해야 함을 이르는 말.
#재고
#일
#함
#생각
#번
#천
#낭패
#행동
#신중
›
:
서로 약속이나 다짐 따위를 하고 나서 금방 태도를 바꾸어 행동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태도
#전
#다짐
#약속
#입술
#침
#따위
#행동
›
:
나이가 어려 하는 말이나 행동이 유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
#말
#나이
#행동
›
:
잔인하고 참혹한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행동
#어린아이
›
:
갑자기 당한 위험에 놀라서 정신없이 하는 행동이 상상할 수 없는 큰 힘을 낸다는 말.
#위험
#새
#힘
#상상
#당
#정신
#행동
›
:
한참 단잠 자는 새벽에 남의 집 봉창을 두들겨 놀라 깨게 한다는 뜻으로, 뜻밖의 일이나 말을 갑자기 불쑥 내미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벽
#단잠
#일
#봉
#집
#창
#남
#봉창
#놀라
#말
#행동
#뜻밖
›
:
한창 잘되어 가는 것을 훼방을 놓고 방해하는 심술 사나운 마음이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심술
#호박
#훼방
#방해
#행동
#말뚝
#마음
›
:
자식이 어렸을 때는 부모의 뜻을 따르지만 자라서는 제 뜻대로 행동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뜻
#함
#때
#저
#부모
#안
#행동
›
:
자식이 어렸을 때는 부모의 뜻을 따르지만 자라서는 제 뜻대로 행동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뜻
#함
#때
#저
#안
#부모
#행동
›
:
자식이 어렸을 때는 부모의 뜻을 따르지만 자라서는 제 뜻대로 행동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뜻
#함
#때
#저
#안
#부모
#행동
›
:
›
:
스스로 자신의 신세를 망쳐 버릴 수 있는 어리석은 행동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멍청이
#신세
#손
#눈
#저
#우비
#행동
#자신
›
:
자기 앞에 어려운 일이 닥쳐야 비로소 그것을 처리하려고 행동한다는 말.
#일
#앞
#등
#제
#저
#처리
#그것
#행동
›
:
›
:
자기 물건을 써 가며 공짜로 큰집 일을 해 주고 있다는 뜻으로, 자기 할 일은 똑똑히 못하면서 주책없이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책
#일
#못
#공짜
#밥
#상전
#자기
#저
#행동
#물건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