叩盆之嘆(고분지탄) 풀이

叩盆之嘆

고분지탄

아내가 죽은 한탄(恨歎)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한탄 #한문투 #아내


한자 풀이:
  • (두드릴 ): 두드리다, 조아리다, 잡아당기다, 묻다, 툭툭 침.
  • (동이 ): 동이, 물이 솟다, 밥 짓는 그릇, 소금 굽는 그릇, 목욕통.
  • (갈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 (탄식할 ): 탄식하다, 한숨쉬다.
🥝 叩盆之嘆(고분지탄) 웹스토리 보기
叩盆之嘆(고분지탄)의 의미: 아내가 죽은 한탄(恨歎)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叩盆之痛 획순 之痛(고지통)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之痛(고지통) :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陶者用缺(도자용결) : 도공(陶工)은 깨진 동이만 사용(使用)한다는 뜻으로, 남을 위(爲)해서는 하지만 자기(自己)를 위(爲)해서는 하지 못함을 두고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殺活之權 획순 殺活權(살활권)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刎頸友(문경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風木悲(풍목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叩盆之嘆(고분지탄) 관련 한자

  • 丈人 획순 丈人(장인)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 徙家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風木之悲 획순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環顧一世(환고일세) : 온 세상을 빙 둘러본다는 뜻으로, 세상에 쓸 만한 사람이 없어 찾아 헤맴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 鳳鳥不至(봉조부지) :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 叩盆之痛 획순 叩盆之痛(고분지통)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敬復(경복) : 경복(敬覆).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主)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 敬覆(경복) : 경복(敬復).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어머니 72 #시대 114 #상황 119 #상대 56 #하늘 251 #나이 97 #인간 65 #의지 69 #행동 137 #얼굴 99 #백성 105 #훌륭 85 #이름 211 #자신 208 #부부 76 #바람 136 #태도 72 #무리 64 #조금 96 #실패 56 #마음 496 #가운데 104 #사용 312 #모양 142 #예전 60 #처음 91 #지위 65 #형제 68 #잘못 93 #이치 6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개) : 고분지탄, 고분지통, 견본 주택, 규범적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