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博咸亡宅看章細覺情(호박함망택간장세각정) 풀이

好博咸亡宅看章細覺情

호박함망택간장세각정

노름을 좋아하니 다 집을 잃어버리고, 글을 보니 자세(仔細)하게 뜻을 깨달음.

# #깨달음 #자세 #노름


한자 풀이:
  • (좋을 ): 좋다, 좋아하다, 사랑함, 아름답다, 우의.
  • (넓을 ): 넓다, 넓히다, 도박, 넓이, 노름함.
  • (다 ): 다, 덜다, 모두, 줄임, 64괘(卦)의 하나.
  • (잃을 ): 잃다, 없다, 분실함, 멸망하다, 죽다.
  • (집 ): 집, 댁, 남의 집·가정·부인의 경칭, 대지(垈地), 무덤.
  • (볼 ): 보다, 방문하다, 지키다, 대접(待接), 터득하다.
  • (문채 ): 문채(文彩), 악곡·시문(詩文)의 한 단락, 글, 조목, 규정.
  • (가늘 ): 가늘다, 작다, 여위다, 적다, 잘다.
  • (깨달을 ): 깨닫다, 깨다, 터득함, 꿈을 깸, 깨우치다.
  • (뜻 ): 뜻, 욕심, 바람, 심기(心氣), 본성(本性).
🏆 好博咸亡宅看章細覺情(호박함망택간장세각정) 웹스토리 보기
好博咸亡宅看章細覺情(호박함망택간장세각정)의 의미: 노름을 좋아하니 다 집을 잃어버리고, 글을 보니 자세(仔細)하게 뜻을 깨달음.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咸興差使 획순 興差使(흥차사) :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 有一德(유일덕) : 임금과 신하(臣下)가 다 한 가지 덕이 있음.

  • 出言有章 획순 出言有(출언유)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摘句(수적구)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法約三(법약삼) :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진(秦)의 가혹(苛酷)한 법을 고쳐 세 조문(條文)으로 줄인 일.
  • 星句(월성구) :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好博咸亡宅看章細覺情(호박함망택간장세각정) 관련 한자

  • 三十六計 획순 三十六計(삼십육계) :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 酒色雜技(주색잡기) : 술과 여자와 노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亡羊(망양) :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병무편(騈拇篇)>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정도 153 #속담 63 #경우 64 #마음 496 #자연 73 #죽음 73 #하늘 251 #나이 97 #재능 61 #상대 56 #모습 66 #어려움 105 #행동 137 #학문 107 #형용 67 #어버이 60 #세월 71 #잘못 93 #싸움 61 #표현 88 #모양 142 #중국 253 #동안 70 #벼슬 88 #관계 90 #자리 94 #사물 172 #사이 200 #천하 94 #노력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