糟糠不飽(조강불포) 풀이

糟糠不飽

조강불포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쌀겨 # #가난


한자 풀이:
  • (지게미 ): 지게미, 전국, 헐다,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 청주를 떠내지 않은 막걸리.
  • (겨 ): 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쌀겨.
  • (아니 ):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 (배부를 ): 배부르다, 물리게 하다, 실컷, 물림, 배불리.
🎄 糟糠不飽(조강불포) 웹스토리 보기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糠(강)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糠之妻(강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 (조)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粃(비) : 겨와 쭉정이라는 뜻으로, 거친 식사를 이르는 말.
  • 之妻(조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 擧棋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一失(백일실)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回避得(회피부득)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踏覆轍(부답복철)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糟糠不飽(조강불포) 관련 한자

  • 奢者心常貧(사자심상빈)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糟糠(조강)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糟糠之妻(조강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시대 114 #의미 1817 #사물 172 #나무 166 #근심 65 #마음 496 #방법 59 #아내 81 #얼굴 99 #실패 56 #이익 89 #아래 86 #잘못 93 #무리 64 #태도 72 #죽음 73 #생활 82 #소리 96 #예전 60 #형용 67 #관계 90 #의지 69 #생각 236 #싸움 61 #벼슬 88 #사이 200 #서로 71 #형제 68 #문장 59 #군자 5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9개) : 자가비판, 자기비판, 장공발파, 저근백피, 중간발표, 지개비풀, 직경비파, 저급 비평, 전기 발파, 전기 불판, 전기 비평, 정견 발표, 정규 분포, 주관 비평, 중간 발판, 중고 부품, 증기 박편, 증기 박피, 직경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