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를 좋게 대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선의로 대하고 자기를 해치려는 원수에 대해서는 원수로 대하여야 한다는 말.
#원
#덕
#사람
#원쑤
#원수
#자기
#선의
•
: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의 북한 속담.
#덕
#원쑤
#원수
#은혜
•
:
수양산 그늘진 곳에 아름답기로 유명한 강동 땅 팔십 리가 펼쳐졌다는 뜻으로, 어떤 한 사람이 크게 되면 친척이나 친구들까지 그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팔십
#사람
#땅
#리가
#친구
#친척
#그늘
#리
#친구들
•
:
수양산 그늘진 곳에 아름답기로 유명한 강동 땅 팔십 리가 펼쳐졌다는 뜻으로, 어떤 한 사람이 크게 되면 친척이나 친구들까지 그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인왕산
#수양산
#팔십
#사람
#땅
#리가
#친구
#친척
#그늘
#리
#친구들
•
:
쾌활하게 시시덕거리는 사람이 생활에서는 어려운 고비를 겪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사람
#고비
#재
#생활
#시시
•
:
군자는 어진 덕이 있어도 그것을 내세우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그것
#덕
#군자
•
:
남편 덕에 먹고사는 것이 가장 편하고, 아들의 부양을 받는 것은 그보다 편하지 않으며, 시집간 딸의 집에 붙어사는 것은 어렵다는 말.
#영감
#덕
#남편
#집
#딸
#아들
#밥
#부양
•
:
우연히 남의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덕
#남
#개가
#옆집
#개
•
:
우연히 남의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개
#도적
#덕
#남
#개가
#이웃집
•
:
다른 사람의 혜택을 입어 성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큰사람
#덕
#사람
#성공
#나무
#혜택
•
:
다른 것으로는 남의 대접을 받을 만한 것이 없으니, 나이 먹은 것으로 대접 받자는 말.
#덕
#나이
#대접
#남
•
:
남의 덕이나 신세로 사는 것이 편치 못함을 이르는 말.
#가시
#덕
#신세
#밥
#남
#음식
•
:
자국의 힘으로 나라의 살림을 해 나가지 않고 다른 나라의 덕만 입자고 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말.
#살림
#덕
#자국
#손
#힘
#남
#나라
#망
•
:
•
:
남이 꺼리는 일을 할 핑계가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일
#남
#옴
#핑계
•
:
내가 잘된 덕으로 엉뚱한 남이 호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호사
#급제
#선배
#남
#비장
#엉뚱
•
:
출가한 딸의 도움으로 무슨 일을 하거나 잘되는 것을 이르는 말.
#덕
#일
#출가
#딸
#부원군
#도움
•
:
사람이 살아가는 모든 것은 하늘의 덕택이라는 말.
#덕
#하늘
#사람
#덕택
•
:
인왕산 그늘진 곳에 아름답기로 유명한 강동 땅 팔십 리가 펼쳐졌다는 뜻으로, 어떤 한 사람이 크게 되면 친척이나 친구들까지 그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인왕산
#팔십
#사람
#땅
#리가
#친구
#친척
#그늘
#리
#친구들
•
:
사또와 동행한 덕분에 나팔 불고 요란히 맞아 주는 호화로운 대접을 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덕으로 당치도 아니한 행세를 하게 되거나 그런 대접을 받고 우쭐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사또
#요란
#대접
#행세
#당치
#치도
#남
#호화
#당
#모양
#나팔
#동행
•
:
남의 덕을 보려다가 뜻대로 안되고 결국 제 돈을 쓰게 되었다는 말.
#나락
#덕
#뜻
#결국
#돈
#사
#남
#저
#안
#떡
•
:
무슨 일을 빙자하여 거기에서 이득을 얻는다는 말.
#덕
#일
#이득
#이밥
#빙자
#저
•
:
무슨 일을 빙자하여 거기에서 이득을 얻는다는 말.
#덕
#일
#이득
#이밥
#빙자
#제사
•
:
어떤 기회에 좋은 소득이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덕
#이밥
#소득
#기회
#저
•
:
•
:
•
:
•
:
입을 함부로 잘못 놀리다가는 큰 화를 입을 수 있음을 경계하는 말.
#덕
#입
#화
#조상
#주둥아리
#있음
#경계
•
:
죄를 지으면 벌을 받고 덕을 쌓으면 복을 받는다는 말.
#덕
#복
#벌
#죄
•
:
죄를 지으면 벌을 받고 덕을 쌓으면 복을 받는다는 말.
#덕
#복
#벌
#물
#죄
•
:
한 사람이 잘되면 그 덕을 여러 명이 입게 된다는 말.
#덕
#명
#사람
#열
•
:
늘그막에 자식을 보고서도 그 덕을 입게 됨을 이르는 말.
#덕
#자식
#효도
#늘그막
#칠십
•
:
정성 없이 세간을 함부로 탕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간
#정성
#탕진
#덕
•
:
빚을 잔뜩 걸머지고 헤어나지 못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모양
#덕
#외상
#빚
•
:
사또를 따라다니는 낮은 관원인 비장이 사또의 권세 덕분에 좋은 대우를 받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붙어서 덕을 봄을 이르는 말.
#덕
#대우
#권세
#관
#원인
#덕분
#남
#비장
#비
#사또
#관원
#호강
#장
#봄
#낮
•
:
나무는 키가 크면 먼저 잘리기 쉽지만 사람은 키가 크면 여러모로 뽑히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사람은 뭐니 뭐니 해도 키가 커야 함을 이르는 말.
#덕
#사람
#나무
#뭐
#마련
#함
#리
•
:
덕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람은 겉으로 떠벌리고 잘난 체하거나 뽐내지 않는다는 말.
#소리
#덕
#생각
#사람
#겉
#물
#체
•
:
금강산의 아름다움이 관동 팔십 리 곧 강원도 지방에 널리 미친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 밑에서 지내면 그의 덕이 미치고 도움을 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팔십
#훌륭
#사람
#지방
#강원도
#밑
#도움
#그늘
#금강산
#리
•
:
저는 불을 켜 들지도 않고 남이 든 곁불에 게를 잡아 볼 생각을 한다는 뜻으로, 자기 자신의 노력은 들이지 않고 남의 덕으로 이익을 얻으려 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곁
#생각
#이익
#불
#남
#저
#곁불
#행동
#노력
#자신
•
:
어떤 공덕을 늘 입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두드러지지 않으면 그냥 잊고 지내기가 쉽다는 말.
#덕
#며느리
#공덕
#그것
#고양이
•
:
고양이가 쥐를 잡아서 이익을 준다는 것은 알면서도, 며느리가 자식을 낳고 집안일을 하는 것은 조금도 고맙게 여기지 않는다는 말.
#집안일
#덕
#며느리
#자식
#조금
#이익
#쥐
#고양이
•
:
변변치 못한 사람이 좋은 가문에 태어난 덕분에 좋은 대우를 받는다는 말.
#덕
#대우
#사람
#대접
#덕분
#가문
•
:
꾸지람을 듣거나 벌을 받을 경우라도 이왕이면 덕 있고 이름 있는 사람에게 당하는 것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덕
#이왕
#사람
#손
#벌
#이름
#값
#꾸지람
•
:
부자는 여러 사람에게 많건 적건 덕을 끼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밥상
#덕
#사람
#부자
•
:
양반은 학식 덕으로 살아가고 학식 없는 상놈은 발로 걷고 노동하여 살아감을 이르는 말.
#덕
#노동
#양반
#학식
#글
#발
#상놈
•
:
사랑과 은덕은 으레 윗사람에게서 받기 마련이지 아랫사람에게서 받는 일은 없음을 이르는 말.
#덕
#일
#상
#아랫사람
#은덕
#사랑
#마련
#윗사람
•
:
안주 없이 술만 마시면 더 취하게 됨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덕
#안주
#사위
#술
#안
#경계
•
:
사람이란 조상의 덕은 입지 못해도 이웃 사람들의 고마운 덕은 입는다는 뜻으로, 죽은 조상에게 바랄 것이 아니라 이웃 간에 화목하고 서로 도와주는 의리를 지켜야 자신도 도움을 받는다는 말.
#덕
#인심
#화목
#사람
#조상
#이웃
#간
#선영
#의리
#도움
#자신
•
:
조상의 무덤을 잘 쓴 덕에 자손이 훌륭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훌륭
#자손
#조상
#바람
#선영
#무덤
#명
•
:
살림살이가 알뜰하고 덕이 있는 며느리가 들어와야 그 집안이 화목하고 흥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화목하고 행복하게 되려면 안주인의 성품과 덕행이 중요하다는 말.
#덕행
#살림살이
#행복
#덕
#며느리
#집안
#알뜰
#성품
#중요
#화목
#안주인
•
:
성인의 덕이 널리 미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성
#성인
#그늘
#리
•
:
말이 없어 입이 무거운 사람이 덕이 있다는 말.
#소
#덕
#입
#사람
#열
#말
#가지
•
:
작은 나무는 큰 나무의 그늘에 가려 잘 자라지 못하지만 사람은 형제간에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돌봄을 받으며 살아갈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아랫사람
#사람
#있음
#나무
#큰집
#윗사람
#그늘
#형제간
#봄
•
:
권세나 재물이 있는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 그로 인한 혜택이 있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권세
#재물
#사람
#있음
#관계
#나무
#큰집
#혜택
•
:
훌륭한 사람에게는 음으로나 양으로나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음
#큰사람
#덕
#훌륭
#사람
#양
#나무
•
:
훌륭한 사람에게는 음으로나 양으로나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음
#덕
#훌륭
#사람
#양
#나무
#키
•
:
노련한 장수는 군사에 관하여 함부로 말을 하지 않으며 훌륭한 상인은 좋은 물건을 깊이 감추어 두고 판다는 뜻으로, 참으로 훌륭한 사람은 그 뛰어난 재주나 덕을 함부로 자랑하지 않는다는 말.
#덕
#훌륭
#사람
#군사
#자랑
#병
#장수
#상인
#재주
#노장
#담
#말
#물건
•
:
인왕산 그늘진 곳에 아름답기로 유명한 강동 땅 팔십 리가 펼쳐졌다는 뜻으로, 어떤 한 사람이 크게 되면 친척이나 친구들까지 그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인왕산
#수양산
#팔십
#사람
#땅
#리가
#친구
#친척
#그늘
#리
#친구들
•
:
사또와 동행한 덕분에 나팔 불고 요란히 맞아 주는 호화로운 대접을 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덕으로 당치도 아니한 행세를 하게 되거나 그런 대접을 받고 우쭐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요란
#치도
#행세
#대접
#덕분
#남
#호화
#발
#원님
#당
#당치
#사또
#나팔
#모양
#동행
•
:
•
:
죄를 지으면 벌을 받고 덕을 쌓으면 복을 받는다는 말.
#곬
#덕
#복
#벌
#물
#죄
•
:
실컷 먹고 나서 잘 먹었다는 말은커녕 도리어 말 냄새가 난다고 흉만 본다는 뜻으로, 남의 신세나 덕을 많이 지고도 비방하거나 모략하는 경우에 이르는 말.
#경우
#덕
#신세
#흉
#냄새
#비방
#남
#지고
#말
#모략
#마리
•
:
회덕에서 살았던 송시열이 욕심이 많았다는 데서, 겉으로는 점잖은 체하나 속마음은 엉큼하고 욕심 많은 사람을 이르는 말. 송시열을 중상하려는 사람들이 만들어 낸 말이다.
#덕
#선생
#속마음
#중상
#사람
#겉
#체
#회
#욕심
#말
•
:
개가 기름을 도둑질하여 먹고 고소한 맛에 홀려 먹을 것이 더 없나 하고 기웃거린다는 뜻으로, 남의 눈치를 살피며 불안스럽게 눈동자를 이리저리 굴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불안
#도적
#덕
#도둑질
#기름
#도둑
#눈
#눈치
#남
#눈동자
#개가
#고소
#모양
#개
#맛
#리
•
:
부처에게 재물을 바쳐 가며 보람도 없는 공양을 할 것이 아니라 그 재물을 가지고 굶주린 사람들을 조금이라도 도와서 밥을 먹이는 것이 참된 길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어진 일을 하여 덕을 쌓으면 복이 저절로 옴을 이르는 말.
#길
#일
#덕
#복이
#재물
#사람
#사람들
#복
#부처
#조금
#공양
#밥
#남
#보람
#부처님
•
:
상놈이 힘들여 일하여 꾸려 가는 살림이 곧 양반의 양식이 된다는 뜻으로, 상놈이 힘겹게 살아가는 반면 양반은 그 덕에 호의호식하게 됨을 비난하여 이르는 말.
#비난
#덕
#반면
#살림
#양식
#양반
#일
#호의호식
#상놈
•
:
명당 자리 잡아 조상의 묘를 써서 조상의 덕을 바랄 생각을 하지 말고, 남에게 나쁜 짓을 하지 않는 것이 복을 받는 길임을 이르는 말.
#자리
#덕
#길
#묘
#임
#명산
#생각
#배은망덕
#복
#조상
#남
#짓
#명당
•
:
무슨 일이든지 마음을 가다듬어 하면 그만한 이익이 있음을 이르는 말.
#덕
#일
#있음
#이익
#마음
#명심
•
:
쉬파리가 천리마 꼬리에 붙어서 먼 곳까지 간다는 뜻으로, 자기는 하는 일 없이 남의 덕이나 세력 밑에 붙어 다니며 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일
#세력
#천리마
#남
#꼬리
#밑
#모양
#쉬파리
•
:
쉬파리가 천리마 꼬리에 붙어서 먼 곳까지 간다는 뜻으로, 자기는 하는 일 없이 남의 덕이나 세력 밑에 붙어 다니며 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일
#세력
#천
#천리마
#남
#꼬리
#밑
#모양
#파리
#말
#쉬파리
#리
•
:
좋은 일을 하며 덕을 쌓으면 오래도록 그 공이 남지만 재앙과 손해는 얼마 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불행하다고 하여 낙심하지 말고 덕을 쌓고 좋은 일을 하라는 말.
#덕
#일
#백
#낙심
#손해
#얼마
#금년
#불행
#년
#공이
#공
#재앙
#가지
•
:
남의 은덕을 입고 자라났음에도 그 은덕을 모름을 이르는 말.
#덕
#은덕
#잔뼈
#남
#뉘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