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 (生産)
☆☆ 명사
🗣️ 발음, 활용: • 생산 (
생산
)
📚 파생어: • 생산되다(生産되다): 사람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물건이 만들어지다. • 생산적(生産的): 생산과 관련이 있는., 그것이 바탕이 되어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 생산적(生産的): 생산과 관련이 있는 것., 그것이 바탕이 되어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것. • 생산하다(生産하다): 사람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물건을 만들다.
🗣️ 생산 (生産) @ 뜻풀이
- 경제 (經濟) : 생산이나 소비 등과 관련된 사람들의 활동. 또는 한 사회나 국가에서 돈, 자원, 산업, 생산, 소비, 무역 등과 관련된 모든 활동.
- 천연자원 (天然資源) : 자연에서 얻어 인간 생활이나 생산 활동에 이용하는 물자나 에너지.
- 생산직 (生産職) : 생산 분야의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직원.
- 라인 (line) : 기업의 생산 공장에서 생산되는 물건의 제조가 진행되는 과정.
- 모니터 (monitor) : 생산 업체의 의뢰를 받아 제품을 써 보고 의견을 내놓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 농업 협동조합 (農業協同組合) : 농업을 발전시키고 농촌 지역의 소득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가입된 농민의 생산 활동과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전국적인 단체.
- 봉건 사회 (封建社會) : 중세 시대에, 군주나 제후 등이 자신의 토지를 농노에게 경작시켜 농산물을 거두어들이는 생산 양식을 바탕으로 한 사회.
- 부가 가치 (附加價値) : 생산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이 덧붙은 상품 가치.
- 재생산 (再生産) : 생산 과정이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일.
- 리콜 (recall) : 어떤 상품에 결함이 있을 때 생산 업체에서 그 상품을 회수하여 점검이나 수리, 또는 교환을 해 주는 제도.
- 자본 (資本) : 경제에서, 상품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돈과 생산 수단과 노동력.
- 리콜제 (recall制) : 어떤 상품에 결함이 있을 때 생산 업체에서 그 상품을 회수하여 점검이나 수리, 또는 교환을 해 주는 제도.
- 블루칼라 (blue-collar) :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푸른 작업복을 입는 것에서 온 말로, 생산 분야의 직업을 가진 노동자.
- 청동기 시대 (靑銅器時代) : 인류의 역사에서 무기나 생산 도구와 같은 주요 기구를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 공산주의 (共産主義) : 모든 재산과 생산 수단을 사회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계급의 차이를 없애는 것을 내세우는 사상.
- 자본주의 국가 (資本主義國家) : 개인의 자유로운 생산 활동을 보장하는 경제 체제를 기초로 하는 국가.
- 기업가 (企業家) : 이윤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하고 경영하는 사람.
- 경제권 (經濟權) : 생산, 소비 등과 관련된 활동을 할 수 있는 권리.
- 국민 소득 (國民所得) :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 활동을 통해 얻은 소득.
- 기업체 (企業體) : 이윤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하는 조직.
- 기업화 (企業化) :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적으로 경영하기 위하여 기업과 같은 체계를 갖추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 기업적 (企業的) : 이윤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하고 경영하는 것.
- 기업화되다 (企業化되다) :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적으로 경영하기 위하여 기업과 같은 체계를 갖추게 되다.
- 사회주의 (社會主義) : 개인의 재산을 인정하지 않고 생산 수단을 사회화하여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사회 제도를 실현하려는 사상. 또는 그 운동.
- 경제적 (經濟的) :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돈이나 물건, 노동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에 관한 것.
- 경제적 (經濟的) :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돈이나 물건, 노동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에 관한.
- 기업주 (企業主) : 이윤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하는 조직을 소유한 사람.
- 기업자 (企業者) : 이윤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하고 경영하는 사람.
- 기업화하다 (企業化하다) :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적으로 경영하기 위하여 기업과 같은 체계를 갖추게 되다. 또는 그렇게 만들다.
- 기업적 (企業的) : 이윤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서비스 등의 사업을 조직하고 경영하는.
- 경제 활동 (經濟活動) :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돈이나 물건, 노동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데에 관계된 모든 활동.
- 생산 구조 (生産構造) : 생산물이 완성되기까지의 생산 과정 전체.
- 자본주의 (資本主義) : 자본을 생산 수단으로 가진 사람이 이익을 얻기 위해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
- 자본재 (資本財) : 이윤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기계나 원자재 등의 생산 수단.
- 정보 산업 (情報産業) : 정보의 생산, 수집, 가공, 전달 등에 관한 일을 다루는 산업.
- 산업체 (産業體) : 생산 활동을 하는 업체.
- 기업 (企業) : 이윤을 얻기 위해 생산, 판매, 유통 등의 경제 활동을 하는 조직체.
🗣️ 생산 (生産) @ 용례
- 생산 요소. [요소 (要素)]
- 생산 자급. [자급 (自給)]
- 우리 회사는 생산 제품의 해외 수출량이 줄어 외환이 부족해졌다. [외환 (外換)]
- 생산 공장. [공장 (工場)]
- 공장에서 생산되다. [공장 (工場)]
- 이 공장에서 생산된 물건은 철도를 따라 전국 각지로 흩어지게 된다. [공장 (工場)]
- 생산의 자동화. [자동화 (自動化)]
- 로봇을 이용한 생산 공정의 자동화는 효율적인 생산을 가져왔다. [자동화 (自動化)]
- 우리 회사는 생산 체계가 전문화되어 있다. [체계 (體系)]
- 올해 국내 채소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작년에 비해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황 (現況)]
- 우리 부서에서는 제품 생산 비용을 극소화할 방법을 찾고 있다. [극소화하다 (極少化하다)]
- 김 부장은 생산 과정에서 불량품 수량을 극소화하도록 지시했다. [극소화하다 (極少化하다)]
- 독점적 생산. [독점적 (獨占的)]
- 우리 회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적 생산 설비를 갖추고 전기 자동차를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독점적 (獨占的)]
- 생산 과정이 기계화되다. [기계화되다 (機械化되다)]
- 우리 공장에서는 생산 과정 대부분이 기계화되면서 공장 근로자의 수가 많이 줄었다. [기계화되다 (機械化되다)]
- 직조 생산. [직조 (織造)]
- 회사는 파업 중인 노동자들 때문에 제품 생산 중단 위기에서 헤맸다. [헤매다]
- 생산 연도. [연도 (年度)]
- 이 와인은 생산 연도가 오래되어서 가격이 비싸다. [연도 (年度)]
- 그 화장품은 제품 뒷면에 생산 연도가 표기되어 있다. [연도 (年度)]
- 과량 생산. [과량 (過量)]
- 회사 사장은 생산 능력이 낙후된 공장들은 도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태하다 (淘汰/陶汰하다)]
- 한국의 통신 기술 회사는 중국의 휴대 전화 생산 업체와 백만 달러 규모의 부품에 대한 수출 계약을 체결하였다. [수출 (輸出)]
- 모든 기업은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이익 (利益)]
- 유류 생산. [유류 (油類)]
- 우리 회사는 석유에서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각종 유류를 생산하고 있다. [유류 (油類)]
- 신형 자동차에서 결함이 발견되어 생산 업체가 자발적 리콜을 실시했다. [리콜 (recall)]
- 신제품 생산 기술이 경쟁사로 들어가지 않게 특별히 조심해 주기 바랍니다. [들어가다]
- 생산비 감소. [생산비 (生産費)]
- 생산비 절감. [생산비 (生産費)]
- 생산비가 늘다. [생산비 (生産費)]
- 생산비를 낮추다. [생산비 (生産費)]
- 생산비를 줄이다. [생산비 (生産費)]
- 원료의 가격이 오르면서 생산비도 두 배가 올랐다. [생산비 (生産費)]
- 생산 과정의 분업. [분업 (分業)]
- 생산의 각 단계마다 그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사람들이 일을 맡아서 하기 때문이지. [분업 (分業)]
- 공장장은 생산 설비를 증설하고 사업을 확장하였다. [증설하다 (增設하다)]
- 생산 수단이 없는 노동자들은 자본가에게 임금을 받고 자신의 노동력을 판다. [자본가 (資本家)]
- 공장의 생산 라인은 중단 없이 가동한다. [가동하다 (稼動하다)]
- 우리 회사에서는 연휴에도 쉬지 않고 생산 설비를 가동했다. [가동하다 (稼動하다)]
- 발전소가 가동하는 동안은 전력 생산이 계속 이어질 것이다. [가동하다 (稼動하다)]
- 대량 생산. [대량 (大量)]
- 대량으로 생산하다. [대량 (大量)]
- 공장에서는 기계화를 통해 매일 제품을 대량 생산하고 있다. [대량 (大量)]
- 작물 생산. [작물 (作物)]
- 조, 수수 등의 잡곡은 다른 작물에 비해 생산량이 많지 않다. [작물 (作物)]
- 한정 생산. [한정 (限定)]
- 와! 사장님 차 너무 멋있네요. 전 세계에 딱 천 대만 한정 생산된다는 그 차 맞죠? [한정 (限定)]
- 위탁 생산. [위탁 (委託)]
- 우리 회사는 부품의 일부를 다른 회사에서 만드는 위탁 생산으로 제조하고 있다. [위탁 (委託)]
- 이 차는 핵심 부품이 수입산으로 채워진 시범 생산 조립품에 불과했다. [조립품 (組立品)]
- 공사 현장에서는 노동자가 십장에게 보고하면, 십장이 생산 감독에게 보고하는 형식으로 일이 이루어진다. [십장 (什長)]
- 생산 개시일. [개시일 (開始日)]
- 대량 생산 기술. [대량 생산 (大量生産)]
- 대량 생산 설비. [대량 생산 (大量生産)]
- 대량 생산 시스템. [대량 생산 (大量生産)]
- 대량 생산에 돌입하다. [대량 생산 (大量生産)]
- 대량 생산에 들어가다. [대량 생산 (大量生産)]
- 회사는 부품의 대량 생산을 위해 대규모 공장을 새로 짓기로 했다. [대량 생산 (大量生産)]
- 효율적 생산. [효율적 (效率的)]
- 회사는 빠른 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율적 방법을 모색했다. [효율적 (效率的)]
- 생산 일정이 밀려서 사장님이 엄청 화를 내셨다면서요? [밀리다]
- 도매상은 생산 공장에서 직접 다량의 물건을 사다가 파는 곳이기 때문에 물건값이 싸다. [도매상 (都賣商)]
- 공장의 생산 시설은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요? [각부 (各部)]
- 컴퓨터 시스템으로 생산 시설의 각부를 관리 통제하고 있습니다. [각부 (各部)]
- 공산주의 국가는 생산 수단 을 국가가 소유한다면서요? [사회화하다 (社會化하다)]
- 네,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를 부인하고 이것을 사회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사회화하다 (社會化하다)]
- 소비자들은 생산 과정에서 발암 물질이 들어간 식품을 보이콧하기로 했다. [보이콧하다 (boycott하다)]
- 대규모 생산. [대규모 (大規模)]
- 조선 기업과 해운 기업은 생산과 유통 과정의 단축을 위해 계열화를 추진했다. [계열화 (系列化)]
- 회사는 부품을 제공하는 회사와 계열화가 되자 생산 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계열화 (系列化)]
- 그럼 의류 생산에서 유통까지 완벽하게 할 수 있겠군요. [계열화 (系列化)]
- 이 도시는 한때 시멘트 공업으로 번성했던 공업 도시였으나 생산 시설의 낙후로 점점 경쟁에서 도태되었다. [낙후 (落後)]
- 전문화 생산. [전문화 (專門化)]
- 기계적 생산. [기계적 (機械的)]
- 우리 공장은 신제품의 생산 라인에 인원을 집중시켜서 배치하였다. [집중시키다 (集中시키다)]
- 농업 생산. [농업 (農業)]
- 농업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류는 식량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농업 (農業)]
- 사회주의는 생산 수단을 사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폐지하고 사회화를 주장하였다. [사회화 (社會化)]
- 수소탄 생산. [수소탄 (水素彈)]
- 승규 씨는 생산 현장에 온 지 얼마 안 됐는데 일을 참 잘하네. [공업 고등학교 (工業高等學校)]
- 월 생산. [월 (月)]
- 생산 현장. [현장 (現場)]
- 나는 실업 학교를 졸업한 뒤 휴대폰 생산 공장에 취직했다. [실업 학교 (實業學校)]
-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중앙 집권식 전력 생산이 아닌 소규모의 분산적 전력 생산 체제를 따라야 한다. [분산적 (分散的)]
- 생산 공장의 산재로 인해 제품을 생산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산재 (散在)]
- 기술의 발달과 물질의 생산 측면에서는 문명사회가 원시 사회보다 우월하다. [문명사회 (文明社會)]
- 주문 생산 공장. [주문 생산 (注文生産)]
- 주문 생산 방식. [주문 생산 (注文生産)]
- 주문 생산이 되다. [주문 생산 (注文生産)]
- 주문 생산을 하다. [주문 생산 (注文生産)]
- 주문 생산으로 만들다. [주문 생산 (注文生産)]
- 우리 공장은 주문 생산만 하기 때문에 재고가 없다. [주문 생산 (注文生産)]
- 석유 생산. [석유 (石油)]
- 우리나라는 석유가 생산되지 않아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석유 (石油)]
- 우리 공장은 제품을 생산 원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투매하였다. [투매하다 (投賣하다)]
- 네. 그래서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표시하다 (表示하다)]
- 광공업 생산. [광공업 (鑛工業)]
- 경제 성장에 힘입어 광공업 생산과 수출이 활발해졌다. [광공업 (鑛工業)]
- 이 지역의 공단들은 구인난으로 생산 라인을 대폭 줄였다. [구인난 (求人難)]
- 모든 기업은 경제 원칙에 따라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최대화하려고 한다. [경제 (經濟)]
- 전문화된 생산. [전문화되다 (專門化되다)]
- 우리 회사는 제품 생산에 신기술을 적용하면서 생산 비용을 대폭 감소시켰다. [적용하다 (適用하다)]
- 생산 계획자. [계획자 (計劃者)]
- 그 회사는 표준화되고 규범화된 생산 시스템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추었다. [규범화되다 (規範化되다)]
- 독자 생산. [독자 (獨自)]
- 생산이 분업화되다. [분업화되다 (分業化되다)]
- 상품 생산 과정은 모두 분업화되어 있어서 한 가지 일만 익히시면 됩니다. [분업화되다 (分業化되다)]
- 정유를 생산하다. [정유 (精油)]
- 우리 공장은 석유의 생산 설비와 정유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다. [정유 (精油)]
- 농업의 생산 구조. [생산 구조 (生産構造)]
- 효율적인 생산 구조. [생산 구조 (生産構造)]
- 생산 구조를 분석하다. [생산 구조 (生産構造)]
- 생산 구조를 비교하다. [생산 구조 (生産構造)]
- 생산 구조를 평가하다. [생산 구조 (生産構造)]
- 그 기업은 생산 구조를 개편하면서 더 큰 이익을 창출했다. [생산 구조 (生産構造)]
- 갑자기 기계가 뚝 멈춰 버려서 생산 공정에 차질이 생겼다. [뚝]
- 우리 회사는 환율이 오르면서 제품 생산 비용 증가라는 난문제에 부딪치게 되었다. [난문제 (難問題)]
- 그는 공업계 출신으로 20년 넘게 생산 현장에서 일했다. [공업계 (工業界)]
- 그는 생산 공장에서 일하면서 인두로 라디오 부품을 붙이는 일을 한다. [인두]
- 생산 중지. [중지 (中止)]
- 현대적인 생산 현장에서는 자동화된 설비로 제품을 만든다. [현대적 (現代的)]
- 인원 감축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감축 (減縮)]
- 생산 과정의 분업화. [분업화 (分業化)]
- 우리 회사가 생산 설비 공사의 계약자로 선정돼 다음 달부터 공사에 들어간다. [계약자 (契約者)]
- 독점 생산. [독점 (獨占)]
- 생산 라인의 공원들은 전자 제품을 조립하기 위해 하루 종일 납땜을 했다. [납땜]
- 반제품 생산. [반제품 (半製品)]
- 농작물 생산. [농작물 (農作物)]
- 생산 촉진. [촉진 (促進)]
- 생산성을 제고하다. [제고하다 (提高하다)]
- 김 상무는 생산 과정의 자동화가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고하다 (提高하다)]
- 원자재 수입 중단으로 우리 공장은 사실상 생산 중절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중절 (中絕)]
- 내 동료와 나는 세라믹 생산 라인에서 같이 근무한 지 오래 되어서 꽤 친하다. [세라믹 (ceramics)]
- 공장의 기계가 다시 가동되면서 생산 속도가 빨라졌다. [가동되다 (稼動되다)]
- 군수품 생산. [군수품 (軍需品)]
- 군수품을 생산하다. [군수품 (軍需品)]
- 우리 회사는 생산 공정을 과학화하기 위해 최첨단 무인 설비를 들여왔다. [과학화하다 (科學化하다)]
- 생산 라인. [라인 (line)]
- 조립 라인에서 작은 사고가 나서 전체 물건 생산이 잠시 중단되었다. [라인 (line)]
- 우리 업체는 매년 기술자를 파견해서 물건의 생산 라인을 조정합니다. [라인 (line)]
- 그러면 제품 생산에 큰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겠군요. [라인 (line)]
- 생산의 일원화. [일원화 (一元化)]
- 김 과장은 생산 관리를 하나로 합하는 일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원화 (一元化)]
- 중공업 생산. [중공업 (重工業)]
- 새로운 제조법의 발견으로 제품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제조법 (製造法)]
- 우리 회사는 오 년 연속 생산 목표 달성에 성공했고, 매출과 순이익도 증가했다. [순이익 (純利益)]
- 석탄 생산. [석탄 (石炭)]
- 생산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는 것입니까? [인계되다 (引繼되다)]
- 수공업 생산 기술. [수공업 (手工業)]
- 고려 후기에는 수공업 생산 기술의 발달로 수공업자들이 많이 등장했다. [수공업 (手工業)]
- 그렇군요. 생산 설비가 조금 더 증설돼야 하겠군요. [증설되다 (增設되다)]
- 니켈 생산. [니켈 (nickel)]
-
ㅅㅅ (
소설
)
: 작가가 지어내어 쓴, 이야기 형식으로 된 문학 작품.
☆☆☆
명사
🌏 NOVEL: A literary work that an author writes in the form of storytelling. -
ㅅㅅ (
수술
)
: 병을 고치기 위하여 몸의 한 부분을 째고 자르거나 붙이고 꿰매는 일.
☆☆☆
명사
🌏 SURGERY; OPERATION: An act of slitting, cutting, attaching, and stitching a body part or organ in order to treat an illness. -
ㅅㅅ (
순서
)
: 정해진 기준에서 앞뒤, 좌우, 위아래 등으로 벌여진 관계.
☆☆☆
명사
🌏 ORDER; SEQUENCE: A relationship of order such as front and back,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etc., fix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
ㅅㅅ (
사십
)
: 십의 네 배가 되는 수.
☆☆☆
수사
🌏 FORTY: The number that is the product of four times ten. -
ㅅㅅ (
세수
)
: 물로 손이나 얼굴을 씻음.
☆☆☆
명사
🌏 WASHING UP: The act of washing one's hands or face with water. -
ㅅㅅ (
세상
)
: 지구 위 전체.
☆☆☆
명사
🌏 WORLD: The entire space on earth. -
ㅅㅅ (
실수
)
: 잘 알지 못하거나 조심하지 않아서 저지르는 잘못.
☆☆☆
명사
🌏 MISTAKE; BLUNDER: A fault committed because one does not know something well or is not careful. -
ㅅㅅ (
선수
)
: 운동 경기에서 대표로 뽑힌 사람. 또는 스포츠가 직업인 사람.
☆☆☆
명사
🌏 ATHLETE; PLAYER; REPRESENTATIVE PLAYER: A person chosen as a representative in a sports game, or a person whose job is to play a sports game. -
ㅅㅅ (
생신
)
: (높이는 말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난 날.
☆☆☆
명사
🌏 BIRTHDAY: (polite form) A person's day of birth. -
ㅅㅅ (
소식
)
: 멀리 떨어져 있거나 자주 만나지 않는 사람의 사정이나 상황을 알리는 말이나 글.
☆☆☆
명사
🌏 NEWS: Words or a piece of writing that describes the state or circumstances of a person who is far away or not frequently available. -
ㅅㅅ (
식사
)
: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이 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음식을 먹는 일. 또는 그 음식.
☆☆☆
명사
🌏 MEAL: The act of eating food daily at a certain time such as breakfast, lunch and dinner, or such food. -
ㅅㅅ (
사실
)
: 실제에 있어서.
☆☆☆
부사
🌏 ACTUALLY; AS A MATTER OF FACT; DE FACTO: In reality. -
ㅅㅅ (
생선
)
: 먹기 위해서 물에서 잡아 올린 신선한 물고기.
☆☆☆
명사
🌏 RAW FISH: Fresh fish that has just been caught for food. -
ㅅㅅ (
사실
)
: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
☆☆☆
명사
🌏 FACT: An incident that actually happened or is in progress. -
ㅅㅅ (
사십
)
: 마흔의.
☆☆☆
관형사
🌏 FORTY: Being number forty. -
ㅅㅅ (
삼십
)
: 십의 세 배가 되는 수.
☆☆☆
수사
🌏 THIRTY: The number that is the product of three times ten. -
ㅅㅅ (
삼십
)
: 서른의.
☆☆☆
관형사
🌏 THIRTY: Being the number thirty.
• 영화 보기 (8) • 역사 (92) • 주말 및 휴가 (47) • 공연과 감상 (52) • 약국 이용하기 (6)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주거 생활 (48) • 사회 제도 (78) • 과학과 기술 (91) • 철학·윤리 (86) • 법 (42) • 전화하기 (15) • 건축 (43)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음식 주문하기 (132) • 심리 (365) • 사회 문제 (226) • 여가 생활 (48) • 대중 매체 (47) • 인간관계 (255) • 건강 (155) • 외모 표현하기 (105) • 여행 (98) • 식문화 (104) • 보건과 의료 (204) • 시간 표현하기 (82) • 복장 표현하기 (121) • 지리 정보 (138) • 집안일 (41) • 감사하기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