卜晝卜夜(복주복야) 풀이

卜晝卜夜

복주복야

(1) 낮 또는 밤의 길흉(吉凶)을 점침 (2) 술 마시고 노는 것이 절도(節度)가 없이 주야(晝夜)로 계속(繼續)됨을 일컫는 말.

# # #절도 #길흉 # #


한자 풀이:
  • (점 ): 점, 점치다, 점장이, 주다, 바라다.
  • (낮 ): 낮 주.
  • (점 ): 점, 점치다, 점장이, 주다, 바라다.
  • (밤 ): 밤, 땅 이름, 제(齊)의 전단(田單)의 봉읍(封邑), 산동성 액현(掖縣), 새벽.
🤟 卜晝卜夜(복주복야) 웹스토리 보기
卜晝卜夜(복주복야)의 의미: (1) 낮 또는 밤의 길흉(吉凶)을 점침 (2) 술 마시고 노는 것이 절도(節度)가 없이 주야(晝夜)로 계속(繼續)됨을 일컫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弱馬重(약마중) : 약한 말에 무거운 짐을 실었다는 뜻으로, 재주와 힘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이 능력에 벅찬 일을 맡음을 이르는 말.
  • 不襲吉(불습길) : 처음에 길한 징조를 얻으면 다시 더 점을 칠 필요가 없음을 이르는 말.

  • 弱馬重(약마중) : 약한 말에 무거운 짐을 실었다는 뜻으로, 재주와 힘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이 능력에 벅찬 일을 맡음을 이르는 말.
  • 不襲吉(불습길) : 처음에 길한 징조를 얻으면 다시 더 점을 칠 필요가 없음을 이르는 말.

  • 不夜城 획순 城(불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長長秋(장장추) : 기나긴 가을밤.
  • 以繼晝(이계주) :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 之飮(장지음) : 밤새도록 술을 마심. 또는 그 술.


卜晝卜夜(복주복야) 관련 한자

  • 夜以繼晝 획순 夜以繼晝(야이계주) :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 春分(춘분) :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21일 무렵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直射)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 葉錢(엽전) :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 魂飛中天 획순 魂飛中天(혼비중천)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不夜城 획순 不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長長秋夜(장장추야) : 기나긴 가을밤.

  • 塞翁馬 획순 塞翁馬(새옹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運否天賦(운부천부) : 좋은 운명이건 나쁜 운명이건 모두 하늘이 내림을 이르는 말.
  •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 길흉화복이 뒤바뀌어 예측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상대 56 #편안 62 #어버이 60 #처음 91 #신하 62 #목숨 58 #속담 63 #얼굴 99 #서로 71 #부모 136 #상황 119 #상태 110 #음식 79 #여자 101 #조금 96 #의미 1817 #행동 137 #바람 136 #나무 166 #동안 70 #자식 104 #머리 141 #가운데 104 #나이 97 #고사 108 #벼슬 88 #싸움 61 #모습 66 #백성 105 #훌륭 8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4개) : 반잠방어, 반정방어, 반짓불이, 백절불요, 베잠방이, 베잠뱅이, 보조법어, 복잡반응, 비조불입, 반점 반응, 발전 비용, 발주 비용, 배주 배양, 번조 불안, 번지 배열, 범주 변이, 범주 변인, 변제 비용, 볏짚 비율, 보전 반응, 보전 비용, 보전 비율, 보정 범위, 보존 배양, 보증 비용, 복장 부위, 복제 배아, 복지 비용, 부족 비용, 분자 반응, 분자 배열, 분장 비용, 빈지 뷰잉, 빗장 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