負薪之憂(부신지우) 풀이

負薪之憂

부신지우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땔나무 #섶나무 #나무 #병환 # #사용 #겸손 #근심 #자신 #피로


한자 풀이:
  • (질 ): 지다, 경쟁에서 짐, 씌우다, 업다, 입다.
  • (섶나무 ): 섶나무, 나무하다, 봉급, 풀, 땔나무.
  • (갈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 (근심 ): 근심, 근심하다, 고통, 병, 친상(親喪).

같은 의미의 한자:
  • 채신지우(採薪之憂)
🎁 負薪之憂(부신지우) 웹스토리 보기
負薪之憂(부신지우)의 의미: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薪盡火滅 획순 盡火滅(진화멸)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入火(부입화) :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 杯水車(배수거) : 한 잔의 물로 수레의 장작불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없는 짓을 비유하는 말.
  • 釜底抽(부저추) :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殺活之權 획순 殺活權(살활권)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刎頸友(문경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風木悲(풍목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樂而忘憂 획순 樂而忘(낙이망)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樹(무수)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漆室之(칠실지) :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樂生於(낙생어) :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 데서 나온다는 말.


負薪之憂(부신지우) 관련 한자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無何之症(무하지증)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遽篨戚施(거저척이)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芝焚蕙嘆 획순 芝焚蕙嘆(지분혜탄) : 지초가 불타니 혜초가 탄식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입은 재앙이 자기에게도 근심이 되는 것처럼 안타까워함.
  •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無憂樹(무우수)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愚問賢答 획순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甕算畵餠(옹산화병)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明鏡不疲 획순 明鏡不疲(명경불피) :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疲勞困憊(피로곤비) : 몹시 지쳐 괴롭고 나른함.
  • 以血洗血(이혈세혈) : (1)피를 피로 씻는다는 뜻으로, 악을 악으로 갚거나 거듭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2)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싸움.

  • 負荊 획순 負荊(부형) :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 薪盡火滅(신진화멸)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樵童汲婦(초동급부)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抱火臥薪 획순 抱火臥薪(포화와신) : 불을 안고 섶나무 위에 눕는다는 뜻으로, 점점 더 위험(危險)한 짓을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篳路藍縷(필로남루) :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篳門圭竇(필문규두) :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이치 67 #아래 86 #의지 69 #때문 58 #어머니 72 #재능 61 #군자 56 #재주 82 #경우 64 #사물 172 #세월 71 #마음 496 #유래 280 #따위 228 #하늘 251 #구름 67 #지위 65 #의미 1817 #아내 81 #상황 119 #동안 70 #죽음 73 #잘못 93 #머리 141 #학문 107 #자신 208 #모양 142 #가난 90 #정도 153 #비유 117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0개) : 박산정요, 반석지안, 반설중음, 반수주의, 발생주의, 발설지옥, 발신주의, 방송쟁이, 배상주의, 백수진인, 범성주의, 별신종이, 보수주의, 보수주인, 보신주의, 복사종이, 복상지음, 복수주의, 복술쟁이, 봉소직염, 부식작용, 부신지우, 분산주의, 분석주의, 불상지언, 비상지원, 비성절음, 반사 작용, 반사 장애, 발사 작용, 발사 지연, 발산 작용, 발산 적응, 발생 작업, 발생 장애, 발생 전위, 발성 장애, 발신 전용, 밤샘 작업, 방사 장애, 방사 전열, 배설 작용, 배송 지연, 배수 지역, 배스 전압, 백색 잡음, 버스 제어, 변성 작용, 보상 작용, 보상 제어, 보색 적응, 보세 작업, 보세 지역, 보속 작업, 복사 작용, 복사 전열, 복사 전이, 복수 작업, 복수 작용, 복수 종양, 복수 지원, 부상 전위, 부속 작업, 부식 전위, 분산 제어, 분산 조인, 분석 저울, 불소 주입, 빙산 지역, 빙식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