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슨 일을 할 때 의견이 잘 맞고 손발이 척척 맞아 쉽게 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손발
#두부
#때
#의견
#딸
#어이
•
:
무슨 일을 할 때 의견이 잘 맞고 손발이 척척 맞아 쉽게 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손발
#때
#의견
#딸
#절구
#어이
•
:
말다툼을 할 때 한 사람이 무어라고 하고 나서 곧 또 한 사람이 이어 하기를 쉬지 않고 되풀이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되풀이
#때
#사람
#딸
#모양
#절구
#어이
#말다툼
•
:
칼도 아닌 송편으로 목을 딸 노릇이라는 뜻으로, 어처구니없는 일로 몹시 억울하고 원통함을 이르는 말.
#목
#일
#칼
#송편
#딸
#노릇
#억울
#어처구니
•
:
칼도 아닌 송편으로 목을 딸 노릇이라는 뜻으로, 어처구니없는 일로 몹시 억울하고 원통함을 이르는 말.
#목
#일
#칼
#송편
#딸
#노릇
#억울
#어처구니
#거미줄
•
:
남편 덕에 먹고사는 것이 가장 편하고, 아들의 부양을 받는 것은 그보다 편하지 않으며, 시집간 딸의 집에 붙어사는 것은 어렵다는 말.
#영감
#덕
#남편
#집
#딸
#아들
#밥
#부양
•
:
기다리는 사람은 오지 아니하고 올까 봐 꺼리는 사람만 온다는 말.
#사람
#며느리
#딸
•
:
딸을 먼저 낳고 다음에 아들을 낳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딸
#아들
#꽃
#열매
#나중
#다음
•
:
자기는 부족하고 불완전하면서 남의 완전한 것만을 구하는 것은 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족
#딸
#부당
#불완전
#남
#나비
#완전
•
:
나이가 적은 사람이 시집가기에 쉽다는 말.
#사람
#나이
#딸
•
:
젊은 사람이 사회에 잘 쓰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나이
#딸
#사회
#쓰임
•
:
양식 없이 밥 짓는 일은 며느리를 시키고 나무 없이 밥 짓는 일은 딸을 시킨다는 뜻으로, 흔히 시어머니가 며느리보다 자기 딸을 사랑하고 위하여 준다는 말.
#양식
#일
#며느리
#위
#사랑
#딸
#동자
#밥
#나무
#시어머니
•
:
돈 많고 잘사는 집에 몸을 붙이거나 태어나야 복을 받을 수 있다는 말.
#집
#복
#딸
#돈
#남
#시정
#몸
•
:
•
:
‘내 딸이 고와야 사위를 고르지’의 북한 속담.
#사위
#물건
#딸
#값
•
:
남에게 시키지 않고 자기 손으로 직접 일을 하는 것이 마음에 맞게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손
#딸
#남
#마음
•
:
출가한 딸의 도움으로 무슨 일을 하거나 잘되는 것을 이르는 말.
#덕
#일
#출가
#딸
#부원군
#도움
•
:
딸에게 조금씩 자꾸 드는 비용을 합쳐 보면 양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금
#딸
#비용
#쥐
#양
#조금씩
•
:
쥐 먹는 것을 못 먹게 할 수 없듯이 딸에게 드는 비용은 어쩔 수 없이 써야 된다는 말.
#비용
#딸
#쥐
•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살림
#재산
#시집
#뿌리
#때문
#셋
#비용
#딸
#도둑
#기둥뿌리
#무엇
#정도
#기둥
#버릇
•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살림
#재산
#시집
#때문
#딸
#문
#비용
#셋
#도둑
#무엇
#정도
#버릇
•
:
•
:
실상이 없으면 거기에 딸린 것은 귀할 것이 없다는 말.
#귀
#사위
#딸
#실상
•
:
직접적인 인연이나 관계가 끊어져 쓸데없거나 긴요하지 않게 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긴요
#사위
#딸
#인연
#관계
•
:
직접적인 인연이나 관계가 끊어져 쓸데없거나 긴요하지 않게 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화
#긴요
#사위
#위
#딸
#인연
#사
#관계
#불
•
:
직접적인 인연이나 관계가 끊어져 쓸데없거나 긴요하지 않게 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화
#긴요
#사위
#딸
#인연
#화로
#관계
#불
•
:
딸은 태어날 때 아들이 아니라 서운하고, 시집보낼 때도 서운하다는 말.
#때
#번
#서운
#딸
#아들
•
:
딸은 출가한 후에도 친정에 와서 이것저것 다 가져가 마치 도둑과 같다는 말.
#친정
#출가
#산적
#딸
#이것저것
#도둑
#후
•
:
딸은 키울 때나 출가한 후에도 아들보다 더 돈이 들고 친정집 세간도 축내지만, 딸에 대한 애정이 커서 그것이 도리어 예쁘게만 보임을 이르는 말.
#도적
#친정집
#출가
#때
#세간
#돈
#아들
#딸
#그것
#후
#애정
•
:
자식은 남의 자식보다 제 자식이 나아 보이고, 물건은 남의 물건이 제 물건보다 좋아 보임을 이르는 말.
#자식
#딸
#남
#저
#곡식
#탐
#물건
•
:
유월에 벼가 누런 집에 시집을 가야 굶지 않고 잘살 수 있다는 말.
#시집
#유월
#집
#주라
#벼
#딸
#가야
#달
•
:
아무리 남을 위하여 하는 일이라도 자기의 이익을 바라게 된다는 말.
#일
#전대
#딸
#굿
#셋
#이익
#남
•
:
딸은 귀하게 여겨 어떻게 하든지 그 시앗을 없애려 하나, 며느리에 대해서는 미워하는 마음으로 며느리가 시앗을 보고 괴로워하는 것을 도리어 통쾌하게 여긴다는 말.
#통쾌
#바늘방석
#며느리
#방석
#시앗
#딸
#바늘
#꽃방석
#마음
•
:
물건을 몹시 아껴 두고 쓴다는 말.
#집
#고추장
#물건
#딸
•
:
딸에게 줄 차반은 아끼지 않으면서 며느리에게 줄 차반은 아까워 농 위에 두고 망설인다는 뜻으로, 며느리보다 딸을 더 생각한다는 말.
#줄
#며느리
#차반
#생각
#위
#딸
#재
•
:
딸을 시집보내는 부담이 매우 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곳
#딸
#어미
#부담
#여럿
•
:
딸은 하나만 되어도 과하다고 여길 만큼 부모의 부담이 크다는 말.
#딸
#부담
#만큼
#반
#부모
•
:
딸과 아들을 혼인시키고 나면 관계가 멀어진다는 말.
#딸
#아들
#관계
#딸자식
#혼인
•
:
•
:
딸과 아들을 혼인시키고 나면 관계가 멀어진다는 말.
#사촌
#딸
#아들
#관계
#혼인
#말
•
:
•
:
사이 좋은 어머니와 두 딸처럼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사이
#시장
#상황
#가운데
#불평
#사람
#딸
#사
#서로
#도토리
#별
#삶
#어머니
#마음
•
:
자기의 처지나 조건이 유리해야 높은 수준의 요구를 내세우고 자기 의사대로 그 요구를 관철해 나갈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철
#의사
#사위
#유리
#딸
#있음
#수준
#요구
#자기
#저
#조건
#처지
•
:
딸이 바른길로 들어서도록 교육을 잘 시켜야 한다는 말.
#교육
#넝쿨
#호박
#딸
•
:
어디를 주책없이 허둥지둥 드나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책
#집
#딸
#령감
#모양
#어디
•
:
청빈한 황희 정승의 아내와 두 딸이 치마가 없어 치마 하나를 번갈아 입고 손님 앞에 인사하였다는 데서, 옷 하나를 여럿이 서로 번갈아 입음을 이르는 말.
#치마
#옷
#인사
#앞
#정승
#딸
#청빈
#손님
#여럿
#어이
#아내
•
:
딸에 대한 극진한 사랑으로, 친손자가 더 소중하면서도 외손자를 더 귀여워함을 이르는 말.
#소중
#친손자
#손자
#사랑
#딸
#극진
#리
•
:
딸에 대한 극진한 사랑으로, 친손자가 더 소중하면서도 외손자를 더 귀여워함을 이르는 말.
#소중
#친손자
#사랑
#딸
#손자
#아이
#발
#극진
#리
•
:
시집간 딸이 친정에서 되도록 많은 것을 가져가려 함을 이르는 말.
#자루
#친정
#딸
#아홉
#함
•
:
너무도 자신을 과신하여 허황된 꿈을 꾸거나, 남을 지나치게 추어올리는 경우를 비난조로 이르는 말.
#과신
#경우
#리
#비난
#허황
#하늘
#딸
#남
#별
#꿈
#자신
•
:
장인이나 장모가 출가한 딸네 집에서 더부살이하기란 떳떳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이르는 말.
#떳떳
#어려움
#더부살이
#출가
#집
#사위
#딸
#장인
#장모
•
:
사위를 보려면 보기 싫은 짓도 많이 보게 된다는 말.
#사위
#짓
#놈
#딸
•
:
고운 딸이 있어야 잘난 사위를 맞을 수 있다는 뜻으로, 내가 가진 것이 좋아야 맞먹는 좋은 것을 요구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위
#딸
#있음
#요구
#반달
#온달
•
:
자기 것이 허물이 없어야 남에게도 허물이 없을 것을 요구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허물
#사위
#딸
#있음
#요구
#남
#반달
#온달
•
:
딴생각을 하고 다니다가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 가는 경우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영감
#경우
#실
#집
#생각
#놀림
#딸
#엉뚱
#정신
•
:
딴생각을 하고 다니다가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 가는 경우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경우
#늙은이
#집
#생각
#놀림
#딸
#엉뚱
#정신
•
:
그래도 얼마간 먹을 수 있는 썩은 배는 딸을 주고 전혀 먹을 것이 없는 썩은 밤은 며느리를 준다는 뜻으로, 며느리보다는 자기가 낳은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며느리
#얼마간
#딸
#밤
#배
•
:
•
:
고양이 딸의 아비라는 뜻으로, 그 내력을 도무지 알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딸
#내력
#괴
#아비라
#아비
#고양이
•
:
•
:
선선한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살갗이 잘 타고 거칠어지는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며느리
#살갗
#쬐
#딸
#봄볕
#가을
#저
#볕
#시어머니
#가을볕
•
:
흔히 딸 살림살이를 더 아끼고 위하여 주는 부모의 심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심정
#살림살이
#집
#위
#딸
#아들
#물
#밥
#부모
•
:
•
:
시집간 딸에 대한 부모의 사랑이 매우 극진함을 이르는 말.
#사랑
#딸
#쥐
#부모
•
:
딸은 집안 살림을 맡아 하게 되므로 큰 밑천이나 다름없다는 말.
#살림
#집안
#세간
#딸
#첫딸
#밑천
•
:
딸을 둔 어머니는 중매쟁이가 되다시피 하여야 딸을 시집보낼 수 있다는 뜻으로, 과년한 딸을 가진 어머니는 딸을 시집보내기 위해서 누구보다 애쓰고 뛰어야 한다는 말.
#중매
#딸
#반
#어머니
•
:
평소에 깔보거나 업신여기던 사람에게서 뜻밖에 도움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평소
#뜻
#사람
#함지
#딸
#도움
#떡
•
:
적도 딸 줄 모르면서 가지를 따려 든다는 뜻으로, 기초적인 것도 모르면서 어려운 것을 하려 드는 것을 이르는 말.
#줄
#딸
#기초
#적도
•
:
자기는 부족하고 불완전하면서 남의 완전한 것만을 구하는 것은 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위
#부족
#딸
#부당
#불완전
#남
#완전
•
:
돈 많고 잘사는 집에 몸을 붙이거나 태어나야 복을 받을 수 있다는 말.
#양반
#서울
#집
#복
#딸
#돈
#남
#종이
#시정
#몸
•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살림
#재산
#시집
#형제
#때문
#딸
#비용
#좀도둑
#도둑
#무엇
#정도
#버릇
•
:
딸은 시집을 가면 그 집 사람이 되어 옆집이라도 돌아오지 않으나 강아지는 주인을 따르기에 옆집에 주면 늘 주인을 찾아와 산다는 데서, 키워 준 주인을 따르는 개의 습성을 이르는 말.
#주인
#시집
#집
#사람
#딸
#습성
#옆집
#개
•
:
아무리 남을 위하여 하는 일이라도 자기의 이익을 바라게 된다는 말.
#자루
#일
#딸
#굿
#이익
#남
#아홉
•
:
딸은 차반을 재를 넘어 시집으로 가져가고 며느리는 남편에게 주려고 차반을 제 방 농 위에 둔다는 뜻으로, 딸이나 며느리나 부모보다는 제 남편을 더 위하고 생각한다는 말.
#남편
#며느리
#시집
#방
#차반
#생각
#위
#딸
#재
#저
#부모
•
:
사이 좋은 어머니와 두 딸처럼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사이
#시장
#상황
#가운데
#불평
#사람
#딸
#어이
#사
#서로
#도토리
#별
#어머니
#마음
•
:
남은 것이 거의 없는데도 남 주기 아까워한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남 주기 싫어하고 몹시 인색한 사람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번
#딸
#인색
#무엇
#숨
#남
#행동
•
:
쉽게 할 수 있는 설거지는 딸을 시키고 어렵게 해야 하는 설거지는 며느리를 시킨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며느리
#딸
#그릇
#저
#시어머니
•
:
호박 넝쿨은 가지를 옮겨 놓은 데로 뻗기 마련이고 딸은 시집가면 남편을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딸을 시집보낼 때는 사윗감을 잘 골라야 한다는 말.
#남편
#넝쿨
#때
#호박
#딸
#마련
#사윗감
#가지
•
:
딸에 대한 극진한 사랑으로, 친손자가 더 소중하면서도 외손자를 더 귀여워함을 이르는 말.
#소중
#친손자
#갑갑
#사랑
#딸
#손자
#아이
#극진
#리
•
:
선선한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살갗이 잘 타고 거칠어지는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며느리
#살갗
#쬐
#딸
#봄볕
#가을
#저
#볕
#시어머니
#가을볕
•
:
아이를 낳는 고생스러움은 보기에 매우 안타깝다는 말.
#고생
#며느리
#딸
#아이
#애
•
:
젊어서 홀로 된 과부가 변변치 못한 딸 하나를 믿고 일생을 헛되이 보낼 수 없지 않느냐는 뜻으로, 적당한 대상을 찾아 재가하는 것이 홀로 사는 것보다 낫다는 말.
#적당
#때문
#대상
#딸
#과부
#하나
#일생
•
: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사이
#시장
#별
#상황
#가운데
#불평
#사람
#딸
#서로
#도토리
#어이
#마음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