何面目見之(하면목견지) 풀이

何面目見之

하면목견지

‘무슨 면목으로 보랴?’는 뜻으로, 사람들을 볼 낯이 없다는 말.

# #면목 #사람들 #사람


한자 풀이:
  • (어찌 ): 어찌, 메다, 무엇, 어느, 왜냐하면.
  • (낯 ): 낯, 앞, 겉, 쪽, 탈.
  • (눈 ): 눈, 보다, 말하다, 알다, 보는 일.
  • (볼 ): 보다, 나타나다, 관(棺)을 덮는 보, 드러남, 보이다.
  • (갈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 何面目見之(하면목견지) 웹스토리 보기
何面目見之(하면목견지)의 의미: ‘무슨 면목으로 보랴?’는 뜻으로, 사람들을 볼 낯이 없다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殺活之權 획순 殺活權(살활권)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刎頸友(문경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風木悲(풍목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何面目見之(하면목견지) 관련 한자

  • 刑不上大夫 획순 刑不上大夫(형불상대부) : 사대부(士大夫)에게는 형벌(刑罰)을 내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옛날 대부(大夫)는 예를 지켜 범죄(犯罪)함이 없으므로 면목(面目)을 존중(尊重)해 주고, 또한 절의(節義)를 장려(奬勵)하기 위(爲)해서임.
  • 無面渡江東(무면도강동) : 일에 실패하여 고향에 돌아갈 면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항우가 싸움에서 패하고 오강(烏江)에 이르렀을 때, 정장(亭長)이 그에게 고향인 강동으로 돌아가 다시 일을 도모할 것을 권하자 무슨 면목으로 고향에 돌아가겠느냐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無面渡江(무면도강) : 일에 실패하여 고향에 돌아갈 면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항우가 싸움에서 패하고 오강(烏江)에 이르렀을 때, 정장(亭長)이 그에게 고향인 강동으로 돌아가 다시 일을 도모할 것을 권하자 무슨 면목으로 고향에 돌아가겠느냐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築室道謀 획순 築室道謀(축실도모) : 집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집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집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桃源(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特立之士(특립지사) : 세속에 따르지 아니하고 스스로 믿는 바를 행하는 훌륭한 사람.

#세월 71 #서로 71 #나무 166 #잘못 93 #시대 114 #인간 65 #자리 94 #가운데 104 #아침 72 #죽음 73 #여자 101 #백성 105 #실패 56 #이익 89 #마음 496 #이치 67 #어머니 72 #부모 136 #경우 64 #음식 79 #사용 312 #목숨 58 #재능 61 #의미 1817 #때문 58 #관계 90 #형용 67 #모습 66 #근본 66 #모양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