荊妻(형처) 풀이

荊妻 : 형처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 #가시 #나무 #치마 # #중국 #아내 #맹광 #유래


한자 풀이:
  • (모형나무 ): 모형나무, 가시나무, 매, 다스리다, 땅 이름.
  • (아내 ): 아내, 시집보내다.

같은 의미의 한자:
  • 형부(荊婦)
  • 과처(寡妻)
  • 가속(家屬)
😀 荊妻(형처) 웹스토리 보기
荊妻(형처)의 의미: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負荊 획순 (부) :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 山之玉(산지옥)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請罪(부청죄) : 가시 나무를 등(等)에 지고 때려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죄(謝罪)하는 것을 의미(意味)함.
  • 棘銅駝(극동타) : 구리 낙타(駱駝)가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다는 뜻으로, 궁전(宮殿)이나 후원(後園)이 황폐(荒廢)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荊妻(형처) 관련 한자

  • 風斯在下 획순 風斯在下(풍사재하)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感懷(감회)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圍籬安置 획순 圍籬安置(위리안치)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 拔眼中釘(발안중정) : 눈 속의 못을 뽑는다는 뜻으로, 눈에 박힌 못을 뽑듯이 눈에 가시 같은 간신을 제거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眼中釘(안중정) :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

  • 擧案齊眉 획순 擧案齊眉(거안제미) :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 丈人 획순 丈人(장인)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 徙家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綠衣紅裳 획순 綠衣紅裳(녹의홍상) : (1)‘녹의홍상’의 북한어. (2)연두저고리와 다홍치마. (3)곱게 차려입은 젊은 여자의 옷차림을 이르는 말.
  • 紅裙(홍군) : 붉은 치마란 뜻으로, ‘미인’이나 ‘예기’를 이르는 말.
  • 黃裳綠衣(황상녹의) : 의(衣)는 위에 입는 상의, 상(裳)은 아래에 입는 치마, 황색은 정색(正色)이어서 존귀하고, 녹색은 간색(間色)이라 천한 것을 가리키는데 정색인 황(黃)이 아래로 가야 될 치마로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본처가 밀려나고 첩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

  • 輕事重報 획순 輕事重報(경사중보) :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 好好先生(호호선생) :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 柯亭(가정) :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얼굴 99 #상태 110 #구름 67 #유래 280 #학문 107 #아침 72 #고사 108 #머리 141 #천하 94 #자신 208 #경계 56 #지위 65 #어머니 72 #가난 90 #방법 59 #사이 200 #행동 137 #나이 97 #어버이 60 #이름 211 #모습 66 #재능 61 #무리 64 #잘못 93 #군자 56 #상대 56 #싸움 61 #나라 392 #노력 69 #죽음 7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95개) : 하차, 하찬, 하찰, 하창, 하책, 하처, 하천, 하철, 하첨, 하첩, 하청, 하체, 하초, 하촌, 하추, 하취, 하측, 하층, 하치, 하칙, 하침, 학창, 학채, 학처, 학철, 학체, 학춤, 학취, 학치, 학칙, 한차, 한찬, 한참, 한창, 한채, 한척, 한천, 한철, 한청, 한초, 한촌, 한축, 한충, 한취, 한층, 한치, 한칠, 한칩, 한칭, 할차, 할참, 할취, 함차, 함찰, 함창, 함채, 함척, 함천, 함철, 함청, 함추, 함축, 함치, 함칠, 함침, 함칫, 합착, 합참, 합창, 합책, 합천, 합체, 합취, 합치, 합침, 항차, 항체, 항충, 항취, 항측, 항칙, 항칠, 해차, 해착, 해찬, 해찰, 해참, 해채, 해척, 해천, 해청, 해체, 해초, 해촉, 해총, 해추, 해춘, 해충, 해치, 해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