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過知仁(관과지인) 풀이

觀過知仁

관과지인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한 데서 온다는 말.

#후한 #허물 #소인 #과정 #의미 #과오 #군자 #사람


한자 풀이:
  • (볼 ): 보다, 자세히 봄, 보이다, 드러내다, 볼품.
  • (지날 ):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 (알 ): 알다, 슬기, 알리다, 앎, 아는 바가 많은 일.
  • (어질 ): 어질다, 어진 이, 사람, 사람의 마음, 모든 덕(德)의 총칭.
🦖 觀過知仁(관과지인) 웹스토리 보기
觀過知仁(관과지인)의 의미: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한 데서 온다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本有觀念 획순 本有念(본유념) :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 坐井天(좌정천) :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 明若火(명약화) : 불을 보듯 분명하고 뻔함.

  • 取善輔仁 획순 取善輔(취선보) : 선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선행을 본받아 자기의 인덕을 기르는 것처럼 친구의 유익함을 이르는 말.
  • 者安(자안) :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인(仁)에 만족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 吮疽之(연저지) :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 者樂山(자요산) :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觀過知仁(관과지인) 관련 한자

  • 天之亡我 획순 天之亡我(천지망아) : 하늘이 나를 망쳤다는 뜻으로, 자기는 잘못이 없는데 저절로 망함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 自頭至尾 획순 自頭至尾(자두지미) :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
  • 切磋琢磨(절차탁마) :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위풍(衛風)> <기오편(淇澳篇)>과 ≪논어≫의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말이다.

  • 廓然大公 획순 廓然大公(확연대공)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淡水之交(담수지교) : 물과 같은 담박한 사귐이라는 뜻으로, 교양이 있는 군자(君子)의 교제를 이르는 말.
  • 如松之盛(여송지성) :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말한 것임.

  • 燕雀之徒 획순 燕雀之徒(연작지도) : 소인(小人)의 무리를 이름.
  • 不惡而嚴(불오이엄) :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輕事重報 획순 輕事重報(경사중보) :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 好好先生(호호선생) :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 柯亭(가정) :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모습 66 #세상 339 #생각 236 #가운데 104 #임금 189 #표현 88 #비유 1177 #동안 70 #노력 69 #아내 81 #물건 136 #모양 142 #부부 76 #마음 496 #자리 94 #따위 228 #생활 82 #어버이 60 #세월 71 #지위 65 #의지 69 #사람 1461 #은혜 70 #상대 56 #경우 64 #태도 72 #근심 65 #부모 136 #목숨 58 #구름 6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26개) : 가감지인, 가게쟁이, 가공종이, 가구장이, 가구재이, 가구쟁이, 갈고쟁이, 갈구재이, 갈구쟁이, 갈구젱이, 감각주의, 감교전악, 강경주의, 강권주의, 개괄주의, 개구장이, 개구쟁이, 개국주의, 객공잡이, 객관주의, 거간쟁이, 건공잡이, 건궁조왕, 걸게장이, 게걸쟁이, 결과절위, 결과주의, 결교지인, 경건주의, 경골전열, 계급주의, 고개잡이, 고관절염, 고기잡이, 고기잽이, 고기졸임, 골관절염, 공간주의, 공갈쟁이, 공개주의, 공곡족음, 과갈지의, 과격주의, 과구중인, 관계자용, 관계주의, 관공작용, 관과지인, 관곽장이, 관구지옥, 관권주의, 광고쟁이, 괴기잽이, 교권주의, 구궁젱이, 구기자액, 국가주의, 군것질용, 군국주의, 권고지은, 궤기잡이, 귀금주의, 극기주의, 근검절약, 금강장왕, 금광장이, 금광쟁이, 금권주의, 기간지염, 기계쟁이, 기계접이, 기계주의, 기관지암, 기관지염, 기교주의, 기구주의, 기구지업, 기국주의, 가공 작업, 가공 정원, 간격 전압, 감각 장애, 감각 적응, 감각 전이, 감각 제어, 감광 작용, 강경 진압, 개간 작업, 개구 장애, 건강 장애, 경골 전연, 경관 자원, 경구 전염, 경기 지역, 계간 전이, 계개 작업, 고갈 자원, 고객 점유, 고객 지원, 고결 작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