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刀兩斷(일도양단) 풀이

一刀兩斷

일도양단

(1)칼로 무엇을 대번에 쳐서 두 도막을 냄. (2)어떤 일을 머뭇거리지 아니하고 선뜻 결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비유 #결정 #무엇 #행동


한자 풀이:
  • (한 ): 하나, 처음, 모조리, 같다, 어떤.
  • (칼 ): 칼, 거룻배, 돈의 이름, 작은 배.
  • (두 ): 두, 량, 냥, 둘, 수레를 세는 단위.
  • (끊을 ): 끊다, 결단하다, 쪼개다, 단념하다, 베다.

같은 의미의 한자:
  • 일도할단(一刀割斷)
🍓 一刀兩斷(일도양단) 웹스토리 보기
一刀兩斷(일도양단)의 의미: (1)칼로 무엇을 대번에 쳐서 두 도막을 냄. (2)어떤 일을 머뭇거리지 아니하고 선뜻 결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割鷄牛刀 획순 割鷄牛(할계우)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鷄(우할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之夢(삼지몽) : 칼 세 자루의 꿈이라는 뜻으로, 영전(榮轉)함을 이르는 말.
  • 山劍水(산검수) : (1)칼을 심어 놓은 것 같은 산수라는 뜻으로, 몹시 험하고 위험한 지경을 이르는 말. (2)가혹한 형벌.

  • 兩豆塞耳 획순 豆塞耳(양두색이)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輪(양륜) : 수레의 두 바퀴라는 뜻으로, 서로 떨어져서는 제구실을 못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相和賣(양상화매)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 笑啼難(소제양난) : 웃거나 울기가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기쁜 일과 슬픈 일이 함께 닥치는 상황을 이르는 말.

  • 徑先處斷 획순 徑先處(경선처) :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 相約(상약) : 서로 굳게 약속함.
  • 機之戒(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殘編簡(잔편간) : 손상된 책과 끊어진 죽간이라는 뜻으로, 이지러지고 흩어져 온전하지 못한 책이나 글발.


一刀兩斷(일도양단) 관련 한자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可與樂成(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割鷄牛刀 획순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牛刀割鷄(우도할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刀之夢(삼도지몽) : 칼 세 자루의 꿈이라는 뜻으로, 영전(榮轉)함을 이르는 말.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結局原因(결국원인)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 同質多形(동질다형) : 같은 화학 성분을 가진 물질이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결정 구조를 이루는 것. 예를 들면 같은 탄소로 된 흑연과 다이아몬드 따위가 있다.

  • 殺氣膽盛 획순 殺氣膽盛(살기담성) : 살기가 있어서 무엇이라도 무섭지 않음.
  • 若烹小鮮(약팽소선) :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의 준말.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 徙家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사물 172 #사용 312 #이익 89 #사이 200 #지위 65 #머리 141 #모습 66 #서로 71 #편안 62 #학문 107 #어머니 72 #처음 91 #백성 105 #자식 104 #구름 67 #이치 67 #세월 71 #속담 63 #상황 119 #따위 228 #아내 81 #하늘 251 #관계 90 #어버이 60 #가난 90 #물건 136 #임금 189 #생각 236 #방법 59 #가운데 10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7개) : 아득아득, 아득이다, 아등아등, 앍둑앍둑, 앙당앙당, 애달우다, 앵당앵당, 야단야단, 야들야들, 얇디얇다, 얕디얕다, 얘들얘들, 어두이다, 어둑어둑, 어득어득, 언더우드, 언듯언듯, 얽동이다, 얽둑얽둑, 업데우다, 에동아들, 여들없다, 연달없다, 연덕없다, 연득없다, 옅디옅다, 오던없다, 오독오독, 오돌오돌, 오동오동, 오둔없다, 오둘오둘, 오들오들, 올디어다, 옴닥옴닥, 와당와당, 와들와들, 왁달왁달, 왜동아들, 외동아들, 욕도이다, 우당우당, 우던우던, 우둑우둑, 우둔우둔, 우둘우둘, 우둥우둥, 우드워드, 우득우득, 우들우들, 욱닥욱닥, 욱덕욱덕, 움덕움덕, 위동아들, 유들유들, 윤동운동, 으득으득, 으등으등, 이들이들, 일도양단, 잇대이다, 연대 운동, 연동 운동, 올드 올드, 월동 온도, 유도 운동, 이동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