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餘涅縏(무여열반) 풀이

無餘涅縏

무여열반

온갖 번뇌(煩惱)를 다 없애고 분별(分別)하는 슬기를 떠나 육신(肉身)까지도 없애어 완전(完全)히 정적(靜寂)으로 들어선 경지(境地).

#완전 #번뇌 #분별 #육신


한자 풀이:
  • (없을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 (남을 ): 남다, 나머지, 남기다, 죄다, 오래다.
  • (개흙 열(녈)): 개흙(갯바닥이나 늪 바닥에 있는 거무스름하고 미끈미끈한 고운 흙), 진흙, 반석(盤石ㆍ磐石), 열반(涅槃), 검은 물을 들이다, 막다, 메우다, 극락(極樂)에 가다, 죽다.
  • (주머니 ): 주머니, 작은 주머니.
🤞 無餘涅縏(무여열반) 웹스토리 보기
無餘涅縏(무여열반)의 의미: 온갖 번뇌(煩惱)를 다 없애고 분별(分別)하는 슬기를 떠나 육신(肉身)까지도 없애어 완전(完全)히 정적(靜寂)으로 들어선 경지(境地).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無餘涅縏(무여열반) 관련 한자

  • 轉迷開悟 획순 轉迷開悟(전미개오) :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에 이름.
  • 百八煩惱(백팔번뇌)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兩豆塞耳 획순 兩豆塞耳(양두색이)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徙家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魚魯不辨(어로불변) : 어(魚) 자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무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無量淸淨土 획순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萬全之計(만전지계)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桃源境(도원경)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근본 66 #잘못 93 #이익 89 #여자 101 #동안 70 #집안 93 #어버이 60 #신하 62 #부부 76 #태도 72 #가난 90 #벼슬 88 #예전 60 #지위 65 #방법 59 #때문 58 #나이 97 #이치 67 #유래 280 #죽음 73 #백성 105 #이름 211 #표현 88 #세상 339 #사랑 91 #군자 56 #어려움 105 #나라 392 #노력 69 #아래 8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개) : 목안이발, 무여열반, 무열왕비, 무우잎벌, 미음완보, 면역 요법, 모음 악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