鴻鵠將至(홍곡장지) 풀이

鴻鵠將至

홍곡장지

큰 기러기나 고니가 장차 이른다는 뜻으로, 글을 배우면서 마음은 새 잡는 일 따위를 생각하는 것처럼, 마음이 엉뚱한 곳에 있어 일이 몸에 배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 #마음 #엉뚱 #생각 #비유 #고니 #따위


한자 풀이:
  • (큰기러기 ): 큰기러기, 굳세다, 번성하다, 같다, 기러기 비슷한데, 그보다 큰 물새.
  • (고니 ): 고니, 정곡, 넓다, 백조, 과녁의 한가운데.
  • (장수 ): 장수, 장차, 인솔자, 거느리다, 원컨대.
  • (이를 ): 이르다, 몹시, 궁극(窮極), 극진히 하다, 깊다.
鴻鵠將至(홍곡장지) 웹스토리 보기
鴻鵠將至(홍곡장지)의 의미: 큰 기러기나 고니가 장차 이른다는 뜻으로, 글을 배우면서 마음은 새 잡는 일 따위를 생각하는 것처럼, 마음이 엉뚱한 곳에 있어 일이 몸에 배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雪泥鴻爪 획순 雪泥爪(설니조)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之歎(연지탄)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 毳沈舟(취침주) : 기러기의 솜털이 배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많이 싸이면 큰 힘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漁網離(어망리) : 고기 그물을 쳤는 데 기러기가 걸렸다는 뜻으로, (1) 구(求)하려는 것은 얻지 못하고 반대(反對)로 엉뚱한 것을 얻게 되었음을 이르는 말 (2) 남의 일로 횡액을 당(當)함을 이르는 말.

  • 刻鵠類鶩 획순 類鶩(각유목) :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 射空中(사공중) : 무턱대고 쏜 화살이 과녁에 맞았다는 뜻으로, 멋모르고 한 일이 우연히 들어맞아 성공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홍) : 큰 기러기와 고니라는 뜻으로, 포부가 원대하고 큰 인물을 이르는 말.
  • 之志(홍지지) : 크고 높게 품은 뜻. ≪사기≫ <진섭세가(陳涉世家)>에 나오는 말이다.


鴻鵠將至(홍곡장지) 관련 한자

  • 風斯在下 획순 風斯在下(풍사재하)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屋漏痕(옥루흔) :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 花鳥使(화조사) :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可與樂成(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刻鵠類鶩 획순 刻鵠類鶩(각곡유목) :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 燕鴻之歎(연홍지탄)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 鴻鵠(홍곡) : 큰 기러기와 고니라는 뜻으로, 포부가 원대하고 큰 인물을 이르는 말.

  • 頭東尾西 획순 頭東尾西(두동미서)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不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牛刀割鷄(우도할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好竽鼓瑟 획순 好竽鼓瑟(호우고슬)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白日夢(백일몽) : 대낮에 꿈을 꾼다는 뜻으로, 실현될 수 없는 헛된 공상을 이르는 말.
  • 問東答西(문동답서) :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가운데 104 #생각 236 #모양 142 #비유 1177 #실패 56 #재주 82 #은혜 70 #처음 91 #마음 496 #속담 63 #상황 119 #시대 114 #자연 73 #집안 93 #근본 66 #상대 56 #이치 67 #사이 200 #조금 96 #싸움 61 #학문 107 #여자 101 #가난 90 #상태 110 #경우 64 #정도 153 #무리 64 #어머니 72 #형제 68 #편안 6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1개) : 할기족족, 항간질제, 핵가족적, 핵가족제, 혈관절증, 혈관종증, 홍곡지지, 화공지적, 환고자제, 흘기죽죽, 하계 전정, 하기 전정, 학교 조직, 한계 조작, 한국 전쟁, 항공 작전, 항공 전자, 해군 작전, 해군 전쟁, 행거 조정, 혈관 절제, 혐광 종자, 형광 적정, 호광 종자, 화공 작전, 환경 조절, 환경 조정, 환기 저장, 활기 증진, 후각 조직, 흉골 중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