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에 관한 한자 모두 189

  • 駙馬都尉 획순 駙馬都尉(부마도위) :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駙: 곁말 馬: 都: 도읍 尉: 벼슬

  • 賢聖之君 획순 賢聖之君(현성지군) : 어질고 현명하며 거룩한 임금.
    賢: 어질 聖: 성스러울 之: 君: 임금

  • 瓊枝玉葉 획순 瓊枝玉葉(경지옥엽)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瓊: 枝: 가지 玉: 구슬 葉:

  • 賜牌之地 획순 賜牌之地(사패지지)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賜: 牌: 之: 地:

  • 風行草偃 획순 風行草偃(풍행초언)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風: 바람 行: 草: 偃: 누울

  • 都尉(도위) :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都: 도읍 尉: 벼슬

  • 雨露之澤(우로지택) :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왕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雨: 露: 이슬 之: 澤:

  • 城狐社鼠(성호사서)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城: 狐: 여우 社: 토지신 鼠:

  • 太平聖代(태평성대) :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太: 平: 평평할 聖: 성스러울 代: 대신

  • 股肱(고굉) :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股: 넓적다리 肱:

  • 阿父(아부) : 예전에, ‘아버지’를 정답게 이르던 말.
    阿: 언덕 父: 아비

  • 天恩罔極(천은망극) : 임금의 은혜가 한없이 두터움.
    天: 하늘 恩: 은혜 罔: 그물 極: 다할

  • 繼體之君(계체지군)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繼: 이을 體: 之: 君: 임금

  • 乃武乃文(내무내문) : 문무(文武)를 아울러 갖추었다는 뜻으로 임금의 높은 덕을 기려 이르는 말.
    乃: 이에 武: 호반 乃: 이에 文: 글월

  • 蜀帝化杜鵑(촉제화두견) : 촉의 임금이 두견이 되었다는 뜻으로, 촉 망제(望帝) 혼백이 화하여 두견새가 되었다는 전설.
    蜀: 나라 이름 帝: 임금 化: 화할 杜: 팥배나무 鵑: 소쩍새

  • 禪讓放伐(선양방벌) :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
    禪: 봉선 讓: 사양할 放: 놓을 伐:

  • 顧命之臣(고명지신) : 임금의 유언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은 대신.
    顧: 돌아볼 命: 목숨 之: 臣: 신하

  • 含垢納汚(함구납오) : 수치(羞恥)를 참고 더러움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임금이 치욕을 잘 참음을 이르는 말.
    含: 머금을 垢: 納: 들일 汚: 더러울

  • 大逆無道(대역무도) :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大: 逆: 거스를 無: 없을 道:

  • 亡國富庫(망국부고) : 나라를 망하게 하면서도 창고는 부유해진다는 뜻으로, 망하는 나라의 임금은 백성을 부(富)하게 하지 못하고 헛되이 자신의 창고만 가득 채운다는 의미.
    亡: 잃을 國: 나라 富: 가멸 庫: 곳집

  • 天生民而樹之君(천생민이수지군) : 하늘이 백성(百姓)을 낳고 그리고 임금을 세운다는 뜻으로, 임금을 내세움은 백성(百姓)을 위(爲)한 것임을 이르는 말.
    天: 하늘 生: 民: 백성 而: 말 이을 樹: 나무 之: 君: 임금

  • 天無二日(천무이일) : 하늘에는 해가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두 임금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無: 없을 二: 日:

  • 面折廷爭(면절정쟁) :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2)때와 곳을 가리지 않고 다툼.
    面: 折: 꺾을 廷: 조정 爭: 다툴

  • 抗表極論(항표극론) : 상소문을 올리고 있는 힘을 다하여 논함.
    抗: 막을 表: 極: 다할 論: 의논할

  • 山呼萬歲(산호만세) :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山: 呼: 부를 萬: 일만 歲:

  • 聰明叡智(총명예지) :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나다는 뜻으로, 주로 임금이 슬기로움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聰: 귀밝을 明: 밝을 叡: 밝을 智: 슬기

  • 減膳撤樂(감선철악) :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減: 膳: 반찬 撤: 거둘 樂: 풍류

  • 望五(망오) :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望: 바랄 五: 다섯

  • 魚水親(어수친) : (1)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魚: 고기 水: 親: 친할

  • 與民同樂(여민동락) :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與: 民: 백성 同: 한가지 樂: 즐거울

  • 炮烙之刑(포락지형) :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왕(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炮: 구울 烙: 지질 之: 刑: 형벌

  • 大王大妃(대왕대비) :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비(妃). 주로 왕의 할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大: 王: 임금 大: 妃: 왕비

  • 事君之道與父一體(사군지도여부일체) : 임금을 섬기는 도리(道理)는 부모(父母)를 섬기는 것과 똑같음.
    事: 君: 임금 之: 道: 與: 父: 아비 一: 體:

  • 犬馬之誠(견마지성) : (1)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2)개나 말의 정성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 馬: 之: 誠: 정성

  • 不事二君(불사이군) :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
    不: 아니 事: 二: 君: 임금

  • 使臣以禮事君以忠(사신이례사군이충) : 신하(臣下)를 예로써 부려야 하고 임금을 충성(忠誠)으로써 섬겨야 함.
    使: 부릴 臣: 신하 以: 禮: 예도 事: 君: 임금 以: 忠: 충성

  • 謝恩肅拜(사은숙배) :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謝: 사례할 恩: 은혜 肅: 엄숙할 拜:

  • 魚水之親(어수지친) : 물고기와 물처럼 친(親)한 사이라는 뜻으로, (1) 임금과 신하(臣下)의 친밀(親密)한 사이 (2) 서로 사랑하는 부부(夫婦) 사이.
    魚: 고기 水: 之: 親: 친할

  • 宵衣旰食(소의간식) : ‘소의한식’의 원말.
    宵: 衣: 旰: 해 질 食:

  • 三綱五倫(삼강오륜) :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三: 綱: 벼리 五: 다섯 倫: 인륜

  • 投杼疑(투저의) : 베틀의 북을 내던지는 의심(疑心)(疑心)이라는 뜻으로, (1) 여러 번 말을 들으면 곧이듣게 된다는 말 (2) 임금이 참언을 믿는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投: 던질 杼: 疑: 의심할

  • 亞父(아부) : (1)‘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2)아버지 다음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흔히 임금이 공신을 존경하여 부르던 말. 중국 초(楚)나라의 항우가 범증을 존경하여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亞: 버금 父: 아비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君: 임금 師: 스승 父: 아비 一: 體:

  • 忠臣不事二君(충신불사이군) : 충신(忠臣)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忠: 충성 臣: 신하 不: 아니 事: 二: 君: 임금

  • 莫嚴之地(막엄지지) : 더할 바 없이 엄숙한 곳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앞이나 임금이 거처하는 곳을 이르는 말.
    莫: 없을 嚴: 엄할 之: 地:

  • 與民偕樂(여민해락) :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與: 民: 백성 偕: 함께 樂: 즐거울

  • 易名之典(역명지전) : 임금에게서 시호(諡號)를 받는 은전.
    易: 바꿀 名: 이름 之: 典:

  • 攀龍附鳳(반룡부봉) : 훌륭한 임금을 좇아서 공명을 세움. 용과 봉은 임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攀: 더위잡을 龍: 附: 붙을 鳳: 봉새

  • 海不揚波(해불양파) :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백성이 편안함을 이르는 말.
    海: 바다 不: 아니 揚: 오를 波: 물결

  • 母后(모후) : 임금의 어머니.
    母: 어미 后: 임금

  • 主聖臣直(주성신직) : 임금이 성군이면 신하도 곧다는 뜻으로, 임금이 어질고 바르면 신하도 바르게 되는 것처럼, 위에서 행하는 바를 아래에서 이를 본보기 삼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主: 주인 聖: 성스러울 臣: 신하 直: 곧을

  • 折檻(절함) : (1)강경하게 간(諫)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한(前漢)의 주운(朱雲)이 성제(成帝)에게 간하니 성난 임금이 그를 끌어내라고 하자, 어전의 난간을 붙잡고 계속 간하다가 그가 잡았던 난간이 부러졌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한서(漢書)≫의 <주운전(朱雲傳)>에 나오는 말이다. (2)엄하게 꾸짖음.
    折: 꺾을 檻: 우리

  • 無父無君(무부무군) : 어버이도 임금도 안중에 없을 만큼 행동이 막됨.
    無: 없을 父: 아비 無: 없을 君: 임금

  • 保世之主(보세지주) : 세상을 잘 다스려 보전하는 임금.
    保: 보전할 世: 인간 之: 主: 주인

  • 逆鱗(역린)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逆: 거스를 鱗: 비늘

  • 孝悌忠信(효제충신) :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孝: 효도 悌: 공경할 忠: 충성 信: 믿을

  • 犬馬之心(견마지심) :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 馬: 之: 心: 마음

  • 輔弼之任(보필지임) : 임금을 보좌하는 책임. 또는 그런 직임.
    輔: 도울 弼: 도울 之: 任: 맡길

  • 駙馬(부마) : 임금의 사위.
    駙: 곁말 馬:

  • 大逆不道(대역부도) :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大: 逆: 거스를 不: 아닌가 道:

  • 舟非水不行(주비수불행) : 배는 물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임금은 백성이 없으면 임금이 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舟: 非: 아닐 水: 不: 아니 行:

  • 天日照臨(천일조림) : (1)하늘과 해가 내려다본다는 뜻으로, 속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2)임금이 잘 살펴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日: 照: 비출 臨: 임할

  • 風雲魚水(풍운어수) :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風: 바람 雲: 구름 魚: 고기 水:

  • 賜牌基地(사패기지) : 임금이 내려 준 터.
    賜: 牌: 基: 地:

  • 南面之尊(남면지존) : 임금의 지위.
    南: 남녘 面: 之: 尊: 높을

  • 懷寵尸位(회총시위) : 총애를 품고 헛되이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의 사랑을 믿고 물러가야 할 때에 물러가지 않고 직위를 도둑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寵: 尸: 주검 位: 자리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父: 아비 子: 아들 有: 있을 親: 친할 君: 임금 臣: 신하 有: 있을 義: 옳을

  • 忠則盡命(충칙진명) : 충성(忠誠)함에는 곧 목숨을 다하니 임금을 섬기는 데 몸을 사양(辭讓)해서는 안됨.
    忠: 충성 則: 盡: 다할 命: 목숨

  • 懸車(현거) :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懸: 매달 車: 수레

  • 蜂蟻君臣(봉의군신) :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蜂: 蟻: 개미 君: 임금 臣: 신하

  • 咸有一德(함유일덕) : 임금과 신하(臣下)가 다 한 가지 덕이 있음.
    咸: 有: 있을 一: 德:

  • 乃公(내공) : (1)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주로 임금이 신하를, 또는 아버지가 아들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를 때 쓴다. (2)‘그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乃: 이에 公: 공변될

  • 爭臣(쟁신) : 임금의 잘못에 대(對)하여 바른말로 간하는 신하(臣下).
    爭: 다툴 臣: 신하

  • 推位讓國(추위양국) :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辭讓)하니 요(堯)임금이 순(舜)임금에게 전위(傳位)하였음.
    推: 옮을 位: 자리 讓: 사양할 國: 나라

  • 摹天畵日(모천화일) : 임금의 공덕(功德)을 칭송(稱頌)하는 말.
    摹: 본뜰 天: 하늘 畵: 그림 日:

  • 允文允武(윤문윤무) : 문무(文武)를 아울러 갖추었다는 뜻으로 임금의 높은 덕을 기려 이르는 말.
    允: 진실할 文: 글월 允: 진실할 武: 호반

  • 轉日回天(전일회천) : 해를 돌리고 하늘을 돌게 한다는 뜻으로, 임금의 마음을 뒤집어 돌아서게 함을 이르는 말.
    轉: 구를 日: 回: 天: 하늘

  • 天威咫尺(천위지척) : 천자의 위엄과 권위가 지척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과 매우 가까운 곳 또는 제왕의 앞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威: 위엄 咫: 길이 尺:

  • 事君之事(사군지사) : 임금을 섬기는 일.
    事: 君: 임금 之: 事:

  • 木子得國(목자득국) : 고려 중기의 동요. ‘목자’는 ‘이’의 파자(破字)로서 이씨가 장차 왕이 될 것임을 예언한 노래이다. ≪고려사≫에 전하며 작자와 가사는 알 수 없다.
    木: 나무 子: 아들 得: 얻을 國: 나라

  • 忠臣不諂其君(충신불첨기군) : 충신(忠臣)은 임금에게 아첨(阿諂)하지 않음.
    忠: 충성 臣: 신하 不: 아니 諂: 아첨할 其: 君: 임금

  • 明天之下(명천지하) : 밝은 하늘 아래라는 뜻으로, 총명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明: 밝을 天: 하늘 之: 下: 아래

  • 白虹貫日(백홍관일) :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白: 虹: 무지개 貫: 日:

  • 鸞輿(란여) : ‘난여’의 북한어.
    輿: 수레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鷄: 狗: 馬: 之: 血:

  • 補過拾遺(보과습유) :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아 고치게 함.
    補: 기울 過: 지날 拾: 주울 遺: 남길

  • 忠君愛國(충군애국) :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나라를 사랑함.
    忠: 충성 君: 임금 愛: 사랑 國: 나라

  • 欽明文思(흠명문사) : 심신을 삼가고, 도리에 밝고, 문장이 빛나고, 생각이 깊다는 뜻으로, 요임금의 덕을 기리는 말.
    欽: 공경할 明: 밝을 文: 글월 思: 생각할

  • 輔弼之臣(보필지신) :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
    輔: 도울 弼: 도울 之: 臣: 신하

  • 簒弑之變(찬시지변) : 임금을 죽이고 그 자리를 빼앗는 변란.
    簒: 빼앗을 弑: 윗사람 죽일 之: 變: 변할

  • 南面出治(남면출치) : 임금의 자리에 오르거나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신하와 대면한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面: 出: 治: 다스릴

  • 尺地莫非其有(척지막비기유) : 한 자의 땅도 그의 소유(所有) 아닌 것이 없다는 뜻으로, 임금이 천하(天下)의 모든 땅을 다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尺: 地: 莫: 없을 非: 아닐 其: 有: 있을

  • 堯長舜短(요장순단) : 요임금은 크고 순임금은 작다는 뜻으로, 성인(聖人)의 품격이나 가치는 외모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이르는 말.
    堯: 요임금 長: 舜: 순임금 短: 짧을

  • 投鼠恐器(투서공기) : 던져서 쥐를 잡으려 하나 그릇이 깨질까 두려워한다는 뜻으로, 임금 측근에서 알랑거리는 간신을 제거하고 싶으나 임금을 상하게 할까 걱정됨을 이르는 말.
    投: 던질 鼠: 恐: 두려울 器: 그릇

  • 事君之道(사군지도) : 임금을 섬기는 도리.
    事: 君: 임금 之: 道:

  • 桀犬吠堯(걸견폐요) :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桀: 횃대 犬: 吠: 짖을 堯: 요임금

  • 犬馬之忠(견마지충) : 주인에 대한 개나 말의 충성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 馬: 之: 忠: 충성

  • 甲帳對楹(갑장대영) : 아름다운 갑장(甲帳)이 기둥을 대하였으니, 동방삭(東方朔)이 갑장(甲帳)을 지어 임금이 잠시(暫時) 정지(停止)하는 곳임.
    甲: 갑옷 帳: 휘장 對: 대답할 楹: 기둥

  • 對揚休命(대양휴명) :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그 뜻을 널리 알려 드높임.
    對: 대답할 揚: 오를 休: 命: 목숨

  • 請老(청로) :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請: 청할 老: 늙을

2
#훌륭 85 #아래 86 #비유 1177 #행동 137 #정도 153 #의미 1817 #고사 108 #벼슬 88 #목숨 58 #표현 88 #형제 68 #재앙 64 #구름 67 #생활 82 #지위 65 #자연 73 #바람 136 #노력 69 #형용 67 #천하 94 #자식 104 #가운데 104 #소리 96 #가난 90 #조금 96 #때문 58 #생각 236 #백성 105 #어머니 72 #사용 31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707개) : 아가, 아각, 아간, 아갈, 아감, 아갑, 아강, 아개, 아객, 아갸, 아건, 아게, 아견, 아결, 아경, 아계, 아고, 아곤, 아골, 아곱, 아공, 아과, 아관, 아광, 아교, 아구, 아국, 아군, 아굼, 아궁, 아권, 아귀, 아그, 아근, 아금, 아긋, 아기, 아깆, 악가, 악각, 악간, 악감, 악개, 악견, 악계, 악곡, 악골, 악공, 악과, 악관, 악괄, 악구, 악궁, 악권, 악귀, 악극, 악긔, 악기, 안가, 안각, 안간, 안감, 안갑, 안강, 안개, 안거, 안건, 안걸, 안검, 안겁, 안겅, 안게, 안겐, 안겡, 안견, 안경, 안계, 안고, 안곡, 안골, 안공, 안과, 안관, 안광, 안교, 안구, 안국, 안굽, 안굿, 안궁, 안궤, 안귀, 안근, 안기, 안길, 안김, 안깃, 알가, 알각, 알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