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361 개
- 마음이 열두 번씩 변사(變詐)를 한다 : 마음이 요변스럽게 변함을 이르는 말.
- 숙맥이 상팔자 :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이 팔자가 좋다는 뜻으로, 모르는 것이 마음 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음이 지척이면 천 리도 지척이라 : 서로 정이 깊고 가까우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 숲이 커야 짐승이 나온다[든다] : 체격이 큰 사람이 마음도 그만큼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먹자니 싫고 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그네 먹던 김칫국도 먹자니 더럽고 남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음이 천 리면 지척도 천 리라 : 서로 정이 깊지 못하면 가까이 있어도 매우 멀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 새침데기 골로 빠진다 : 시시덕이는 힘을 들여 고개를 넘는데 새침데기는 꾀바르게 골짜기로 빠져나간다는 뜻으로, 겉으로 떠벌리는 사람보다 얌전한 척하는 사람이 오히려 나쁜 마음을 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앗끼리는 하품도 옮지 않는다 : 시앗끼리는 시기하는 마음이 몹시 강하여 흔히 잘 옮는 하품도 옮지 않는다는 말.
- 마음이 풀어지면 하는 일이 가볍다 : 마음에 맺혔던 근심과 걱정이 없어지고 부아가 풀리면 하는 일도 힘들지 않고 쉽게 됨을 이르는 말.
- 마음이 흔들 비쭉이라 : 심지가 굳지 못하고 감정에 좌우되어 주견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마음잡아 개장사 : 방탕하던 사람이 마음을 다잡아서 생업을 하게 되었으나 결국 오래가지 못하여 헛일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음 좋은 녀편네 동네에 시아버지가 열이다 : ‘인정에 겨워 동네 시아비가 아홉이라’의 북한 속담.
- 식혜 먹은 고양이 속 : 죄를 짓고 그것이 탄로 날까 봐 근심하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말끝에 단 장 달란다 : 상대편의 마음을 사 놓고 자기가 바라는 것을 요구한다는 말.
- 말로는 속여도 눈길은 속이지 못한다 : 말로는 별의별 소리로 사람을 속일 수 있으나 눈길에 나타나는 것은 속일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이 눈길에 그대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 말이 마음이고 마음이 말이다 : 말이란 곧 속마음의 표현이라는 말.
- 억지로 절 받기 : 상대편은 마음에 없는데 자기 스스로 요구하여 대접을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옆찔러 절 받기 : 상대편은 마음에 없는데 자기 스스로 요구하여 대접을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엎드려 절 받기 : 상대편은 마음에 없는데 자기 스스로 요구하여 대접을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양이한테 생선을 맡기다 : 어떤 일이나 사물을 믿지 못할 사람에게 맡겨 놓고 마음이 놓이지 않아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양이한테 반찬 단지 맡긴 것 같다 : 어떤 일이나 사물을 믿지 못할 사람에게 맡겨 놓고 마음이 놓이지 않아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양이보고 반찬 가게 지키라는 격(이다) : 어떤 일이나 사물을 믿지 못할 사람에게 맡겨 놓고 마음이 놓이지 않아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얻은 죽에 머리가 아프다 : 변변치 못한 것이나마 남의 것을 얻어 가지게 되면 마음에 짐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말 한마디에 북두칠성이 굽어본다 : 진실한 마음으로 말을 잘하면 보람이 크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이 제 발 저리다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적은 제 발이 저려서 뛴다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얼음에 소 탄 것 같다
: 얼음판 위에서 소를 탔기 때문에 언제 자빠질지 몰라 걱정스러워서 잠시도 마음을 놓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쩔 줄 모르고 쩔쩔매는 모양을 이르는 말.
-
때린 놈은 다릴 못 뻗고 자도 맞은 놈은 다릴 뻗고 잔다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
때린 놈은 가로 가고 맞은 놈은 가운데로 간다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
도적이 주인더러 밥 잡수 한다
: 도적이 주인처럼 제 마음대로 행동하면서 오히려 주인더러 ‘그 밥 잡수우.’ 한다는 뜻으로, 잘못을 저지른 자가 매우 뻔뻔스럽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손톱 밑의 가시
: 손톱 밑에 가시가 들면 매우 고통스럽고 성가시다는 뜻으로, 늘 마음에 꺼림칙하게 걸리는 일을 이르는 말.
-
여든 살이라도 마음은 어린애라
: 사람은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마음 한구석에는 언제나 어린애와 같은 심정이 숨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먹는 밥이 살로 가다
: 생활에 아무 걱정이나 근심이 없어 마음이 편한 경우를 이르는 말.
-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 여자가 한번 마음이 틀어져 미워하거나 원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릿발이 칠 만큼 매섭고 독하다는 말.
-
계집의 곡한[독한] 마음 오뉴월에 서리 친다
: 여자가 한번 마음이 틀어져 미워하거나 원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릿발이 칠 만큼 매섭고 독하다는 말.
-
여자의 악담에는 오뉴월에도 서리가 온다
: 여자가 앙심을 품고 하는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를 치게 할 만큼 매섭고 독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는 말.
-
계집의 말은 오뉴월 서리가 싸다
: 여자가 앙심을 품고 하는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를 치게 할 만큼 매섭고 독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는 말.
-
열 고을 화냥년이 한 고을의 지어미 된다
: 행실이 곱지 못하던 여자가 마음을 고쳐먹고 정숙한 아내가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먹자는 귀신은 먹여야 한다
: 마음이 좋지 못한 사람의 요구를 안 들어주면 피해가 더 커지므로 싫어도 들어주어야 한다는 말.
-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아무리 뜻이 굳은 사람이라도 여러 번 권하거나 꾀고 달래면 결국은 마음이 변한다는 말.
-
송충이가 갈잎을 먹으면 죽는다[떨어진다]
: 제 할 일은 안 하고 딴마음을 먹었다가는 낭패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사보다 젯밥에 정신이 있다
: 맡은 일에는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면서 잇속에만 마음을 두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염초청 굴뚝 같다
: 마음보가 검고 음흉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엿 치를 쓰라오 닷 치를 쓰라오
: 여섯 치를 쓰겠는지 다섯 치를 쓰겠는지 묻는다는 뜻으로, 어떤 것이나 갖추어져 있으니 마음대로 고르라는 말.
-
오이는 씨가 있어도 도둑은 씨가 없다
: 도둑질은 유전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마음을 잘못 먹으면 누구나 도둑이 될 수 있다는 말.
-
흘러가는 물 퍼 주기
: 아쉬울 것이 없이 마음대로 인심을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면 못 할 일이 없다는 말.
-
길동무가 좋으면 먼 길도 가깝다
: 서로 마음이 통하는 사람과 함께 일하면 힘도 덜 들고 성과도 더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길이 멀면 말의 힘을 알고 날이 오래면 사람의 마음을 안다
: 사람은 오랫동안 함께 사귀고 지내 보아야 그가 진짜 어떤 사람인지를 알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까마귀가 검기로 마음[살,속]도 검겠나
: 겉모양이 허술하고 누추하여도 마음까지 악할 리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까마귀가 검기로 마음[살,속]도 검겠나
: 사람을 평가할 때 겉모양만 보고 할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
꼬기는 칠팔월 수숫잎 꼬이듯
: 심술이 사납고 마음이 토라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꼬리가 있어야 흔든다
: 아무리 마음에 있는 일이라도 꼭 필요한 수단이 없으면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
: 마음에 없는 행동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꿈도 꾸기 전에 해몽
: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 일을 미리부터 자기 마음대로 상상하고 기대한다는 말.
-
나가던 범이 몰려든다
: 위험한 일을 모면하여 막 마음을 놓으려던 차에 뜻밖에 다시 위험에 처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는 새도 떨어뜨리고 닫는 짐승도 못 가게 한다.
: 권세가 대단하여 모든 일을 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
: 권세가 대단하여 모든 일을 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라가 편해야 신하가 편하다
: 나라님이 편해야 그 밑의 신하들도 마음 편히 지낼 수 있다는 말.
-
나 못 먹을 밥에는 재나 넣지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
못 먹는 호박 찔러 보는 심사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
나 아니면 남이다
: 자기 자신 외에는 아무도 마음 놓고 믿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나의 것 맞갖지 않은 것 없고 남의 것 욕심나지 않은 것 없다
: 자기 물건들이 마음에 들면서도 남의 것을 다 가지고 싶어 한다는 뜻으로, 욕심이 매우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이가 원수
: 욕망은 크나 나이가 너무 들어서 마음뿐임을 이르는 말.
-
마음을 잘 가지면 죽어도 옳은 귀신이 된다
: 착한 마음씨를 지니고 살면 죽어도 유감됨이 없음을 이르는 말.
-
날 문은 낮아도 들 문은 높다
: 마음에 맞지 아니한다고 그 집을 뛰쳐나오기는 쉽지만 다시 들어가기는 어렵다는 말.
-
남을 위해 주는 일엔 북두칠성도 굽어본다
: 마음을 바르게 쓰면 신명(神明)도 알아 보살핀다는 말.
-
마음 한번 잘 먹으면 북두칠성이 굽어보신다
: 마음을 바르게 쓰면 신명(神明)도 알아 보살핀다는 말.
-
남의 생손은 제 살의 티눈만도 못하다
: 남의 괴로움이 아무리 크다고 해도 자기의 작은 괴로움보다는 마음이 쓰이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염병이 내 고뿔만 못하다
: 남의 괴로움이 아무리 크다고 해도 자기의 작은 괴로움보다는 마음이 쓰이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낯은 알아도 마음은 모른다
: 사람의 마음속은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님 보고 남의 님 보면 심화 난다
: 자기 님이 더 훌륭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잘난 남의 님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아니하다는 말.
-
내 손이 내 딸이라
: 남에게 시키지 않고 자기 손으로 직접 일을 하는 것이 마음에 맞게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칼도 남의 칼집에 들면 찾기 어렵다
: 제 것이라도 남의 손에 들어가면 제 마음대로 하기 어렵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칼도 남의 칼집에 들면 찾기 어렵다
: 제 것이라도 남의 손에 들어가면 제 마음대로 하기 어렵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녀자 셋이 원한을 품으면 오뉴월 하늘이 서리를 내린다
: ‘계집의 곡한[독한] 마음 오뉴월에 서리 친다’의 북한 속담.
-
노송나무 밑이다
: 마음이 음충맞고 우중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독 안에 들어가도 팔자 도망은 못한다
: 사람마다 정해진 팔자는 숙명이어서 마음대로 벗어날 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독 안에서 푸념
: 남이 들을까 봐 몰래 푸념한다는 뜻으로,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
돈피에 잣죽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당사자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평안 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당사자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정호 칠백 리를 내 당나귀 타고 간다
: 자기의 세력이 미치는 곳에서 자기 마음대로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지섣달에 베잠방이를 입을망정 다듬이 소리는 듣기 싫다
: 들볶이면서 대접을 받느니보다 고생스러워도 마음 편안히 지내는 것이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두 계집 둔 놈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 첩을 둔 자의 마음은 몹시 괴로워 속이 썩는다는 말.
-
보고도 못 먹는 전라도 곡식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전라도 곡식이라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두부 먹다 이 빠진다
: 마음을 놓으면 생각지 아니하던 실수가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조심하라는 말.
-
우물가에 애 보낸 것 같다
: 어린아이를 우물가에 내놓으면 언제 우물에 빠질지 몰라 마음이 불안하다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되어 마음이 놓이지 아니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우물둔덕에 애 내놓은 것 같다
: 어린아이를 우물가에 내놓으면 언제 우물에 빠질지 몰라 마음이 불안하다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되어 마음이 놓이지 아니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뒷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 자기 일이 아주 급한 때는 통사정하며 매달리다가 그 일을 무사히 다 마치고 나면 모른 체하고 지낸다는 말.
-
딸의 시앗은 바늘방석에 앉히고 며느리 시앗은 꽃방석에 앉힌다
: 딸은 귀하게 여겨 어떻게 하든지 그 시앗을 없애려 하나, 며느리에 대해서는 미워하는 마음으로 며느리가 시앗을 보고 괴로워하는 것을 도리어 통쾌하게 여긴다는 말.
-
똥 누고 밑 아니 씻은 것 같다
: 뒤처리가 깨끗하지 않아 마음에 꺼림칙하다는 말.
-
벙어리 냉가슴 앓듯
: 말 못 하는 소가 안타까운 마음을 하소연할 길이 없어 속만 썩이듯 한다는 뜻으로, 답답한 사정이 있어도 남에게 말하지 못하고 혼자만 괴로워하며 걱정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은에서 은 못 고른다
: 은이 많지만 그 가운데서 마음에 꼭 맞는 은을 골라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것을 찾기란 매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음이 맞으면 삶은 도토리 한 알 가지고도 시장 멈춤을 한다
: 사이 좋은 어머니와 두 딸처럼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
의가 맞으면 소도 잡아먹는다
: 여러 사람의 뜻이 합쳐지고 마음이 맞으면 무슨 일이라도 해낼 수 있다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 #마음에 관한 361개의 속담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ㅁ
ㅇ
(총 652개)
:
마아, 마안, 마알, 마앙, 마애, 마야, 마약, 마어, 마엠, 마역, 마연, 마염, 마엽, 마영, 마예, 마온, 마옴, 마왕, 마욜, 마용, 마울, 마웃, 마웉, 마원, 마위, 마유, 마육, 마융, 마은, 마을, 마음, 마의, 마이, 마인, 마일, 마임, 막압, 막야, 막엄, 막역, 막연, 막영, 막옥, 막옷, 막원, 막윷, 막이, 막일, 막잎, 만아, 만악, 만안, 만앙, 만앵, 만야, 만약, 만양, 만어, 만억, 만언, 만업, 만엔, 만역, 만연, 만열, 만염, 만엽, 만영, 만왕, 만외, 만요, 만용, 만운, 만원, 만월, 만위, 만유, 만윤, 만음, 만의, 만이, 만인, 만일, 만입, 많이, 맏아, 맏이, 말액, 말약, 말언, 말엽, 말예, 말왐, 말요, 말운, 말월, 말위, 말은, 말음, 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