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이 요변스럽게 변함을 이르는 말.
#번
#사
#열
#변
#마음
›
: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이 팔자가 좋다는 뜻으로, 모르는 것이 마음 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리
#편
#상
#맥
#사람
#팔자
#구별
#콩
#마음
›
:
서로 정이 깊고 가까우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정
#천
#지척
#짐
#마음
#리
›
:
체격이 큰 사람이 마음도 그만큼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숲
#사람
#짐승
#체격
#마음
›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용
#인색
#남
#개
#마음
›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그네
#소용
#김칫국
#인색
#남
#마음
›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용
#인색
#마음
#남
›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용
#인색
#남
#개
#마음
›
:
서로 정이 깊지 못하면 가까이 있어도 매우 멀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정
#천
#지척
#짐
#마음
#리
›
:
시시덕이는 힘을 들여 고개를 넘는데 새침데기는 꾀바르게 골짜기로 빠져나간다는 뜻으로, 겉으로 떠벌리는 사람보다 얌전한 척하는 사람이 오히려 나쁜 마음을 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고개
#골짜기
#골
#사람
#꾀
#힘
#겉
#척
#얌전
#새침
#시시
#마음
›
:
시앗끼리는 시기하는 마음이 몹시 강하여 흔히 잘 옮는 하품도 옮지 않는다는 말.
#시기
#마음
#하품
#시앗
›
:
마음에 맺혔던 근심과 걱정이 없어지고 부아가 풀리면 하는 일도 힘들지 않고 쉽게 됨을 이르는 말.
#걱정
#일
#근심
#부아
#마음
›
:
심지가 굳지 못하고 감정에 좌우되어 주견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감정
#주견
#심지
#사람
#좌우
#비
#행동
#마음
›
:
방탕하던 사람이 마음을 다잡아서 생업을 하게 되었으나 결국 오래가지 못하여 헛일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사람
#헛일
#장사
#개
#생업
#마음
#방탕
›
:
›
:
죄를 짓고 그것이 탄로 날까 봐 근심하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죄
#속
#근심
#식혜
#그것
#마음
#고양이
›
:
상대편의 마음을 사 놓고 자기가 바라는 것을 요구한다는 말.
#사
#요구
#말끝
#상대편
#장
#마음
›
:
말로는 별의별 소리로 사람을 속일 수 있으나 눈길에 나타나는 것은 속일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이 눈길에 그대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소리
#속
#눈길
#사람
#말로
#말
#마음
›
:
›
:
상대편은 마음에 없는데 자기 스스로 요구하여 대접을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억지
#대접
#요구
#스스로
#상대편
#마음
#절
›
:
상대편은 마음에 없는데 자기 스스로 요구하여 대접을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대접
#요구
#스스로
#상대편
#옆
#마음
#절
›
:
상대편은 마음에 없는데 자기 스스로 요구하여 대접을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대접
#요구
#스스로
#상대편
#마음
#절
›
:
어떤 일이나 사물을 믿지 못할 사람에게 맡겨 놓고 마음이 놓이지 않아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걱정
#일
#사람
#생선
#사물
#마음
#고양이
›
:
어떤 일이나 사물을 믿지 못할 사람에게 맡겨 놓고 마음이 놓이지 않아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걱정
#일
#반찬
#사람
#단지
#사물
#마음
#고양이
›
:
어떤 일이나 사물을 믿지 못할 사람에게 맡겨 놓고 마음이 놓이지 않아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걱정
#일
#격
#반찬
#사람
#가게
#사물
#마음
#고양이
›
:
변변치 못한 것이나마 남의 것을 얻어 가지게 되면 마음에 짐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죽
#머리
#남
#짐
#마음
›
:
진실한 마음으로 말을 잘하면 보람이 크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람
#북두칠성
#한마디
#말
#진실
#마음
›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발
#저
#짐
#마음
#죄
›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발
#저
#짐
#마음
#죄
›
:
얼음판 위에서 소를 탔기 때문에 언제 자빠질지 몰라 걱정스러워서 잠시도 마음을 놓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쩔 줄 모르고 쩔쩔매는 모양을 이르는 말.
#소
#줄
#걱정
#얼음판
#때문
#위
#판
#모양
#잠시
#얼음
#마음
›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불안
#놈
#사람
#남
#마음
›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불안
#놈
#가운데
#사람
#남
#마음
›
:
도적이 주인처럼 제 마음대로 행동하면서 오히려 주인더러 ‘그 밥 잡수우.’ 한다는 뜻으로, 잘못을 저지른 자가 매우 뻔뻔스럽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주인
#뻔뻔
#밥
#잘못
#저
#행동
#마음
›
:
손톱 밑에 가시가 들면 매우 고통스럽고 성가시다는 뜻으로, 늘 마음에 꺼림칙하게 걸리는 일을 이르는 말.
#가시
#일
#손톱
#고통
#꺼림칙
#밑
#마음
›
:
사람은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마음 한구석에는 언제나 어린애와 같은 심정이 숨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심정
#한구석
#사람
#나이
#살
#있음
#여든
#마음
#어린애
›
:
생활에 아무 걱정이나 근심이 없어 마음이 편한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걱정
#근심
#생활
#밥
#마음
›
:
여자가 한번 마음이 틀어져 미워하거나 원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릿발이 칠 만큼 매섭고 독하다는 말.
#여자
#서리
#번
#서릿발
#오뉴월
#한
#만큼
#원한
#마음
›
:
여자가 한번 마음이 틀어져 미워하거나 원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릿발이 칠 만큼 매섭고 독하다는 말.
#여자
#서리
#계집
#번
#서릿발
#오뉴월
#독
#만큼
#원한
#마음
›
:
여자가 앙심을 품고 하는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를 치게 할 만큼 매섭고 독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는 말.
#여자
#서리
#사람
#앙심
#악담
#오뉴월
#독
#만큼
#싸늘
#마음
›
:
여자가 앙심을 품고 하는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를 치게 할 만큼 매섭고 독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는 말.
#여자
#서리
#계집
#사람
#앙심
#악담
#오뉴월
#독
#만큼
#싸늘
#말
#마음
›
:
›
:
마음이 좋지 못한 사람의 요구를 안 들어주면 피해가 더 커지므로 싫어도 들어주어야 한다는 말.
#사람
#귀신
#요구
#피해
#마음
›
:
아무리 뜻이 굳은 사람이라도 여러 번 권하거나 꾀고 달래면 결국은 마음이 변한다는 말.
#뜻
#사람
#결국
#번
#열
#나무
#변
#마음
›
:
제 할 일은 안 하고 딴마음을 먹었다가는 낭패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송충이
#일
#잎
#마음
#낭패
#저
#봄
›
:
맡은 일에는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면서 잇속에만 마음을 두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젯밥
#경우
#일
#정성
#잇속
#제사
#정신
#마음
›
:
마음보가 검고 음흉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굴뚝
#음흉
#마음
›
:
여섯 치를 쓰겠는지 다섯 치를 쓰겠는지 묻는다는 뜻으로, 어떤 것이나 갖추어져 있으니 마음대로 고르라는 말.
#엿
#쓰라
#마음
›
:
도둑질은 유전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마음을 잘못 먹으면 누구나 도둑이 될 수 있다는 말.
#도둑질
#씨
#도둑
#오이
#유전
#마음
›
:
아쉬울 것이 없이 마음대로 인심을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물
#인심
#마음
›
: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면 못 할 일이 없다는 말.
#일
#하늘
#사람
#힘
#마음
›
:
서로 마음이 통하는 사람과 함께 일하면 힘도 덜 들고 성과도 더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길
#일
#성
#성과
#사람
#힘
#마음
›
:
사람은 오랫동안 함께 사귀고 지내 보아야 그가 진짜 어떤 사람인지를 알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길이
#진짜
#사람
#힘
#오랫동안
#있음
#날
#말
#마음
›
:
겉모양이 허술하고 누추하여도 마음까지 악할 리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
#속
#까마귀
#허술
#겉모양
#마음
#리
›
:
›
:
심술이 사납고 마음이 토라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칠팔월
#심술
#사람
#수숫잎
#마음
›
:
아무리 마음에 있는 일이라도 꼭 필요한 수단이 없으면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수단
#필요
#꼬리
#마음
›
:
›
: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 일을 미리부터 자기 마음대로 상상하고 기대한다는 말.
#일
#해몽
#기대
#전
#미리
#상상
#꿈
#마음
›
:
위험한 일을 모면하여 막 마음을 놓으려던 차에 뜻밖에 다시 위험에 처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위험
#모면
#뜻
#범
#차
#마음
›
:
권세가 대단하여 모든 일을 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상태
#권세
#새
#짐승
#저
#대단
#마음
›
:
권세가 대단하여 모든 일을 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권세
#상태
#새
#저
#대단
#마음
›
:
나라님이 편해야 그 밑의 신하들도 마음 편히 지낼 수 있다는 말.
#나라
#밑
#나라님
#마음
›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바
#재
#밥
#남
#저
#마음
›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바
#남
#저
#마음
›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바
#심사
#호박
#남
#저
#마음
›
:
자기 자신 외에는 아무도 마음 놓고 믿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남
#외
#마음
#자신
›
:
자기 물건들이 마음에 들면서도 남의 것을 다 가지고 싶어 한다는 뜻으로, 욕심이 매우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
#욕심
#물건
#마음
›
:
욕망은 크나 나이가 너무 들어서 마음뿐임을 이르는 말.
#임
#나이
#원수
#욕망
#마음
›
:
착한 마음씨를 지니고 살면 죽어도 유감됨이 없음을 이르는 말.
#귀신
#마음
#마음씨
›
:
마음에 맞지 아니한다고 그 집을 뛰쳐나오기는 쉽지만 다시 들어가기는 어렵다는 말.
#집
#문
#날
#마음
›
:
마음을 바르게 쓰면 신명(神明)도 알아 보살핀다는 말.
#남
#북두칠성
#일
#마음
›
:
마음을 바르게 쓰면 신명(神明)도 알아 보살핀다는 말.
#북두칠성
#번
#마음
›
:
남의 괴로움이 아무리 크다고 해도 자기의 작은 괴로움보다는 마음이 쓰이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티눈
#괴로움
#남
#저
#마음
›
:
남의 괴로움이 아무리 크다고 해도 자기의 작은 괴로움보다는 마음이 쓰이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뿔
#염병
#괴로움
#고뿔
#남
#마음
›
:
사람의 마음속은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
#사람
#낯
#마음속
#마음
›
:
자기 님이 더 훌륭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잘난 남의 님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아니하다는 말.
#님
#훌륭
#뜻
#남
#심화
#마음
›
:
남에게 시키지 않고 자기 손으로 직접 일을 하는 것이 마음에 맞게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손
#딸
#남
#마음
›
:
제 것이라도 남의 손에 들어가면 제 마음대로 하기 어렵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칼집
#칼
#손
#남
#저
#마음
›
:
제 것이라도 남의 손에 들어가면 제 마음대로 하기 어렵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칼집
#칼
#손
#남
#저
#마음
›
:
›
:
마음이 음충맞고 우중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무
#함
#마음
#밑
›
:
사람마다 정해진 팔자는 숙명이어서 마음대로 벗어날 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숙명
#도망
#사람
#독
#팔자
#안
#마음
›
:
남이 들을까 봐 몰래 푸념한다는 뜻으로,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답답
#독
#남
#짓
#안
#마음
›
: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당사자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잣죽
#일
#피
#돈
#당사자
#돈피
#마음
›
: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당사자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평안
#감사
#당사자
#마음
›
:
›
:
›
:
›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필요
#눈앞
#곡식
#마음
›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필요
#눈앞
#곡식
#마음
›
:
마음을 놓으면 생각지 아니하던 실수가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조심하라는 말.
#조심
#두부
#실수
#생각
#마음
›
:
어린아이를 우물가에 내놓으면 언제 우물에 빠질지 몰라 마음이 불안하다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되어 마음이 놓이지 아니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물가
#불안
#걱정
#상태
#어린아이
#우
#우물
#애
#마음
›
:
어린아이를 우물가에 내놓으면 언제 우물에 빠질지 몰라 마음이 불안하다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되어 마음이 놓이지 아니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물가
#불안
#걱정
#상태
#어린아이
#우
#우물
#우물가
#애
#마음
›
:
자기 일이 아주 급한 때는 통사정하며 매달리다가 그 일을 무사히 다 마치고 나면 모른 체하고 지낸다는 말.
#뒷간
#일
#때
#사정
#체
#통사정
#통
#마음
›
:
딸은 귀하게 여겨 어떻게 하든지 그 시앗을 없애려 하나, 며느리에 대해서는 미워하는 마음으로 며느리가 시앗을 보고 괴로워하는 것을 도리어 통쾌하게 여긴다는 말.
#통쾌
#바늘방석
#며느리
#방석
#시앗
#딸
#바늘
#꽃방석
#마음
›
:
›
:
말 못 하는 소가 안타까운 마음을 하소연할 길이 없어 속만 썩이듯 한다는 뜻으로, 답답한 사정이 있어도 남에게 말하지 못하고 혼자만 괴로워하며 걱정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길
#걱정
#속
#소
#답답
#하소연
#사정
#혼자
#냉가슴
#남
#벙어리
#말
#마음
›
:
은이 많지만 그 가운데서 마음에 꼭 맞는 은을 골라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것을 찾기란 매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려움
#중
#가운데
#마음
›
:
사이 좋은 어머니와 두 딸처럼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사이
#시장
#상황
#가운데
#불평
#사람
#딸
#사
#서로
#도토리
#별
#삶
#어머니
#마음
›
:
여러 사람의 뜻이 합쳐지고 마음이 맞으면 무슨 일이라도 해낼 수 있다는 말.
#소
#일
#뜻
#사람
#마음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