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여덟 , 나눌
  • 여덟 , 나누다 , 나누어짐 , 여덟째 , 여덟 번
  •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를 표시해 ‘분별하다’는 의미에서 음수(陰數: 짝수)의 완성으로 설정해 ‘二(이)’의 네 배를 의미하는 ‘여덟’의 뜻을 도출함

# 에 관한 한자 모두 54

  • 三歲之習至于八十 획순 三歲之習至于十(삼세지습지우팔십)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감.
    三: 歲: 之: 習: 익힐 至: 이를 于: 어조사 八: 여덟 十:

  • 四面八方 획순 四面方(사면팔방) :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四: 面: 八: 여덟 方:

  • 八徵九徵 획순 徵九徵(팔징구징) : 여덟 가지 조짐과 아홉 가지 조짐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됨됨이나 성품을 판단하는 기준이나 방법을 이르는 말.
    八: 여덟 徵: 부를 九: 아홉 徵: 부를

  • 達八十 획순 十(달팔십) :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達: 통할 八: 여덟 十:

  • 四飛八散 획순 四飛散(사비팔산) : 사방팔방으로 날리어 이리저리 흩어짐.
    四: 飛: 八: 여덟 散: 흩을

  • 七顚起(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七: 일곱 顚: 넘어질 八: 여덟 起: 일어날

  • 街九陌(팔가구맥) : 여덟 갈래의 거리와 아홉 갈래의 거리라는 뜻으로, 팔방(方)으로 통하는 거리와 구방(九方)으로 통하는 거리가 있는 교통의 요충지나 번화한 곳을 이르는 말.
    八: 여덟 街: 거리 九: 아홉 陌: 두둑

  • 內三千外百(내삼천외팔백) :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
    內: 三: 千: 일천 外: 바깥 八: 여덟 百: 일백

  • 不出(팔불출) :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八: 여덟 不: 아니 出:

  • 煩惱(백팔번뇌)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百: 일백 八: 여덟 煩: 번거로울 惱: 괴로워할

  • 苦(팔고) : 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병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른다.
    八: 여덟 苦:

  • 字所關(팔자소관) : 타고난 운수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당하는 일.
    八: 여덟 字: 글자 所: 關: 빗장

  • 査頓寸(사돈팔촌) : 사돈의 팔촌이라는 뜻으로, 소원(疎遠)한 친척으로 남이나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査: 조사할 頓: 조아릴 八: 여덟 寸: 마디

  • 鳥飛枝二月風吹葉分(조비지이월풍취엽팔분) : 새가 나니 가지는 한들한들(한달+한달=두달), 바람이 불니 잎이 사뿐사뿐함(사분+사분=팔분).
    鳥: 飛: 枝: 가지 二: 月: 風: 바람 吹: 葉: 八: 여덟 分: 나눌

  • 四通達(사통팔달) : 도로나 교통망, 통신망 따위가 이리저리 사방으로 통함.
    四: 通: 통할 八: 여덟 達: 통할

  • 虛通(사팔허통) : ‘사발허통’의 원말.
    四: 八: 여덟 虛: 通: 통할

  • 戶封縣(호봉팔현) : 한(漢)나라가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고 여덟 고을 민호(民戶)를 주어 공신(功臣)을 봉(封)함.
    戶: 지게 封: 봉할 八: 여덟 縣: 고을

  • 萬長安(팔만장안) : 수많은 사람이 사는 곳이라는 뜻으로, ‘서울’을 이르는 말.
    八: 여덟 萬: 일만 長: 安: 편안할

  • 字打令(팔자타령) : 팔자 타령을 한다는 뜻으로, 자기신세를 한탄하거나 원망한다는 의미.
    八: 여덟 字: 글자 打: 令: 하여금

  • 四苦苦(사고팔고) : (1)온갖 심한 고통과 괴로움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사고(四苦)와 팔고(苦)를 아울러 이르는 말.
    四: 苦: 八: 여덟 苦:

  • 包大商(팔포대상) : (1)조선 후기에,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가는 사신을 따라가서 홍삼을 팔도록 허가를 받은 의주 상인. (2)생활에 걱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包: 大: 商: 헤아릴

  • 面不知(팔면부지) : 어느 면으로 보나 전혀 모름. 또는 그런 사람.
    八: 여덟 面: 不: 아닌가 知:

  • (백팔) : (1)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2)1년의 12개월, 24기(氣), 72후(候)를 합하여 이르는 말.
    百: 일백 八: 여덟

  • 道江山(팔도강산) : 팔도의 강산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강산을 이르는 말.
    八: 여덟 道: 江: 山:

  • 旬(팔순) : 여든 살.
    八: 여덟 旬: 열흘

  • 靑春(이팔청춘) :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二: 八: 여덟 靑: 푸를 春:

  • 珍之味(팔진지미) : 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악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八: 여덟 珍: 보배 之: 味:

  • 四都道(사도팔도) : 네 개의 도읍과 여덟 개의 도라는 뜻으로, 한반도 전체를 이르던 말.
    四: 都: 도읍 八: 여덟 道:

  • 紘(팔굉) : 여덟 방위의 멀고 너른 범위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八: 여덟 紘:

  • 七落落(칠락팔락) : (1)사물이 가지런하게 고르지 못함. (2)제각기 뿔뿔이 흩어지거나 이리저리 없어짐.
    七: 일곱 落: 떨어질 八: 여덟 落: 떨어질

  • (망팔) : 여든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일흔한 살을 이르는 말.
    望: 바랄 八: 여덟

  • 面玲瓏(팔면영롱) : (1)‘팔면영롱’의 북한어. (2)‘팔면영롱’의 북한어. (3)어느 면으로 보나 아름답게 빛나고 환하게 맑음. (4)마음에 아무런 거리낌이나 우울함이 없음.
    八: 여덟 面: 瓏: 옥 소리

  • 方美人(팔방미인) : (1)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사람. (2)여러 방면에 능통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한 가지 일에 정통하지 못하고 온갖 일에 조금씩 손대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4)주관이 없이 누구에게나 잘 보이도록 처세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八: 여덟 方: 美: 아름다울 人: 사람

  • 叉手(팔차수) : (1) 시재(詩才)에 능통(能通)함 (2) 또는 시를 짓는 데 재빠름을 이르는 말.
    八: 여덟 叉: 깍지낄 手:

  • 四方方(사방팔방) :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四: 方: 八: 여덟 方:

  • 字打開(팔자타개) : 팔자(字) 모양으로 확 연다는 뜻으로, 아주 명백하게 밝혀서 해명한다는 의미.
    八: 여덟 字: 글자 打: 開:

  • 七顚倒(칠전팔도) : 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뜻으로,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거나 매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七: 일곱 顚: 넘어질 八: 여덟 倒: 넘어질

  • 字春山(팔자춘산) : 여덟 팔 자 모양의 봄 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字: 글자 春: 山:

  • 四角方(사각팔방) :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四: 角: 八: 여덟 方:

  • 犯禁條(범금팔조) : 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犯: 범할 禁: 금할 八: 여덟 條: 가지

  • 斗才(팔두재) : 여덟 말의 재주라는 뜻으로, 팔 두나 되는 많은 양의 재주를 지닌 사람의 의미인데, 주로 시문(詩文)을 짓는 재주가 풍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八: 여덟 斗: 才: 재주

  • 七零落(칠령팔락) : (1)사물이 가지런하게 고르지 못함. (2)제각기 뿔뿔이 흩어지거나 이리저리 없어짐.
    七: 일곱 零: 조용히 오는 비 八: 여덟 落: 떨어질

  • 永字法(영자팔법) : 서예에서, ‘永’ 자 한 글자로써 모든 한자에 공통되는 여덟 가지 쓰기를 보이는 법. 중국 한(漢)나라의 채옹이 고안하였다고 전한다.
    永: 字: 글자 八: 여덟 法:

  • 面六臂(팔면육비) : (1)‘팔면육비’의 북한어. (2)여덟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이라는 뜻으로, 언제 어디서 어떤 일에 부딪치더라도 능히 처리하여 내는 수완과 능력을 이르는 말.
    八: 여덟 面: 臂:

  • 不用(팔불용) :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八: 여덟 不: 아니 用:

  • 七難苦(칠난팔고) : 칠난과 팔고라는 뜻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이르는 말.
    七: 일곱 難: 어려울 八: 여덟 苦:

  • 年風塵(팔년풍진) : 오랜 세월 동안 고생함을 이르는 말. 중국에서, 유방이 8년을 고생한 끝에 항우를 멸한 데서 유래한다.
    八: 여덟 年: 風: 바람 塵: 티끌

  • 尺長身(팔척장신) : 키가 매우 큰 사람이나 그 사람의 몸을 과장하여 이르는 말.
    八: 여덟 尺: 長: 身:

  • 衰年(망팔쇠년) : 늙어서 기력이 쇠약해지는 나이 일흔한 살을 이르는 말.
    望: 바랄 八: 여덟 衰: 쇠할 年:

  • 三界苦(삼계팔고) : 중생이 생사 왕래한다는 삼계에서 가장 힘이 드는 여덟 가지의 고통.
    三: 界: 지경 八: 여덟 苦:

  • 三災難(삼재팔난) : 삼재와 팔난이라는 뜻으로, 모든 재앙과 곤란을 이르는 말.
    三: 災: 재앙 八: 여덟 難: 어려울

  • 十中九(십중팔구) :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
    十: 中: 가운데 八: 여덟 九: 아홉

  • 四柱字(사주팔자) : (1)사주의 간지(干支)가 되는 여덟 글자. 예를 들어, ‘갑자년, 무진월, 임신일, 갑인시’에 태어난 경우, ‘갑자, 무진, 임신, 갑인’의 여덟 글자를 말한다. (2)타고난 운수.
    四: 柱: 기둥 八: 여덟 字: 글자

  • 年兵火(팔년병화) : 싸움이 오랫동안 계속되어도 승부가 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중국에서, 항우와 유방의 싸움이 8년이나 걸린 데서 유래한다.
    八: 여덟 年: 兵: 군사 火:

#어머니 72 #사이 200 #근본 66 #백성 105 #가난 90 #태도 72 #이치 67 #서로 71 #형용 67 #목숨 58 #소리 96 #부부 76 #자리 94 #조금 96 #구름 67 #은혜 70 #생활 82 #재주 82 #경계 56 #의지 69 #바람 136 #표현 88 #편안 62 #방법 59 #형제 68 #벼슬 88 #무리 64 #예전 60 #신하 62 #얼굴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