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복숭아나무 , 복숭아
  • 복숭아나무 , 복숭아 , 침대 , 달아나다 , 침상
  • 는 발음 요소

# 에 관한 한자 모두 15

  • 滿庭桃花 획순 滿庭花(만정도화) : 뜰에 가득한 복숭아꽃.
    滿: 庭: 桃: 복숭아나무 花:

  • 桃李滿天下 획순 李滿天下(도리만천하) : 복숭아와 오얏이 천하(天下)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우수(優秀)한 문하생(門下生)이 많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桃: 복숭아나무 李: 오얏나무 滿: 天: 하늘 下: 아래

  • 餘桃之罪 획순 之罪(여도지죄) :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之: 罪: 허물

  • 桃源 획순 源(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桃源境 획순 源境(도원경)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境: 지경

  • 報李(투도보리) :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投: 던질 桃: 복숭아나무 報: 갚을 李: 오얏나무

  • 武陵源(무릉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武: 호반 陵: 큰 언덕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李不言下自成蹊(도리불언하자성혜) : 복숭아()와 오얏(李)은 꽃이 곱고 열매가 맛이 좋으므로, 오라고 하지 않아도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그 나무 밑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는 뜻으로, 덕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桃: 복숭아나무 李: 오얏나무 不: 아니 言: 말씀 下: 아래 自: 스스로 成: 이룰 蹊: 지름길

  • 夭時節(도요시절) : (1)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처녀가 나이로 보아 시집가기에 알맞은 때.
    桃: 복숭아나무 夭: 어릴 時: 節: 마디

  • 梨千機錦江山一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 복숭아와 배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강과 산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桃: 복숭아나무 梨: 배나무 千: 일천 機: 베틀 錦: 비단 江: 山: 一: 畵: 그림 屛: 병풍

  • 花源(도화원) : 이 세상(世上)과 따로 떨어진 별천지(別天地).
    桃: 복숭아나무 花: 源: 근원

  • 杏臉腮(행검도시) : 살구꽃 같은 흰 얼굴과 복숭아꽃처럼 붉은 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얼굴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杏: 살구나무 臉: 桃: 복숭아나무 腮:

  • 園結義(도원결의) :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말로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에서 의형제를 맺은 데에서 유래한다.
    桃: 복숭아나무 園: 동산 結: 맺을 義: 옳을

  • 源鄕(도원향)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鄕: 시골

  • 啗君(여도담군) :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啗: 먹을 君: 임금

#상대 56 #정도 153 #재주 82 #음식 79 #나이 97 #상태 110 #하늘 251 #방법 59 #재앙 64 #중국 253 #바람 136 #신하 62 #아내 81 #형제 68 #처음 91 #재능 61 #이름 211 #의지 69 #경우 64 #자신 208 #학문 107 #목숨 58 #가운데 104 #상황 119 #따위 228 #무리 64 #시대 114 #아침 72 #때문 58 #아래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