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에 관한 한자 모두 141

  • 頭東尾西 획순 頭東尾西(두동미서)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頭: 머리 東: 동녘 尾: 꼬리 西: 서녘

  • 魚頭一味 획순 魚頭一味(어두일미) :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一: 味:

  • 首如飛蓬 획순 首如飛蓬(수여비봉) : 머리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 머리털의 흐트러진 모양을 쑥의 흐트러진 모양에 견주어 이르는 말.
    首: 머리 如: 같을 飛: 蓬:

  • 被髮纓冠 획순 被髮纓冠(피발영관) : 머리를 풀어 헤친 채 갓끈을 맨다는 뜻으로, 몹시 바쁜 상황을 이르는 말. ≪맹자≫의 <이루하(離婁下)>에 나오는 말이다.
    被: 이불 髮: 터럭 纓: 갓끈 冠:

  • 蝨處頭而黑 획순 蝨處頭而黑(슬처두이흑) : 흰 이도 머리 속에 있으면 검다는 뜻으로, 사람도 사귀는 사람에 따라 성질이 달라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蝨: 處: 머무를 頭: 머리 而: 말 이을 黑: 검을

  • 男左女右(남좌여우) :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男: 사내 左: 女: 右: 오른쪽

  • 葉錢(엽전) :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葉: 錢:

  • 擧頭對面(거두대면) : 머리를 들어 서로 얼굴을 마주 대함.
    擧: 頭: 머리 對: 대답할 面:

  • 沐雨櫛風(목우즐풍) : 비로 목욕하고 바람으로 머리 빗는다는 뜻으로, 비바람 무릅쓰고 어려운 고통을 겪는다는 의미.
    沐: 머리감을 雨: 櫛: 風: 바람

  • 白首殘年(백수잔년) : 늙어서 머리가 세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음.
    白: 首: 머리 殘: 해칠 年:

  • 油頭粉面(유두분면) : 기름 바른 머리와 분 바른 얼굴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화장한 모습을 이르는 말.
    油: 기름 頭: 머리 粉: 가루 面:

  • 徹頭徹尾(철두철미) :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徹: 통할 頭: 머리 徹: 통할 尾: 꼬리

  • 羊頭狗肉(양두구육)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羊: 頭: 머리 狗: 肉: 고기

  • 白髮紅顔(백발홍안) :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白: 髮: 터럭 紅: 붉을 顔: 얼굴

  • 艾老(애로) : 쑥처럼 머리가 하얗게 세었다는 뜻으로, 쉰 살이 넘음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艾: 老: 늙을

  • 被髮左衽(피발좌임) :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被: 이불 髮: 터럭 左: 衽: 옷깃

  •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馬: 依: 의지할 北: 북녘 風: 바람

  • 綠鬢紅顔(록빈홍안) : (1)윤이 나는 검은 귀밑머리와 발그레한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고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 또는 젊은 여자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2)‘녹빈홍안’의 북한어.
    鬢: 살쩍 紅: 붉을 顔: 얼굴

  • 綠鬢(록빈) : (1)윤이 나는 고운 귀밑머리. (2)‘녹빈’의 북한어.
    鬢: 살쩍

  • 濯髮雲漢(탁발운한) : 은하수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으로, 벼슬하여 출세함을 이르는 말.
    濯: 씻을 髮: 터럭 雲: 구름 漢: 한수

  • 蛇無頭不行(사무두불행) : 뱀이 머리가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무리를 지어 횡행하는 자는 두목이 없으면 일을 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蛇: 無: 없을 頭: 머리 不: 아니 行:

  • 蓬頭亂髮(봉두난발) : 머리털이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마구 흐트러짐. 또는 그 머리털.
    蓬: 頭: 머리 髮: 터럭

  • 頓首再拜(돈수재배) : 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경의를 표한다는 뜻으로 주로 편지의 첫머리나 끝에 쓴다.
    頓: 조아릴 首: 머리 再: 拜:

  • 鶴髮童顔(학발동안) :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鶴: 髮: 터럭 童: 아이 顔: 얼굴

  • 戴星(대성) :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戴: 星:

  • 殺頭便冠(쇄두편관) : 머리를 깎아내서 관 쓰기에 편하도록 한다는 뜻으로, 본말(本末)이 전도(顚倒)된 상황을 이르는 말.
    殺: 頭: 머리 便: 편할 冠:

  • 綠髮(록발) : (1)푸른 머리털이라는 뜻으로, 검고 윤이 나는 아름다운 머리를 이르는 말. (2)‘녹발’의 북한어.
    髮: 터럭

  • 藏頭隱尾(장두은미) :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일의 전말을 분명히 밝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藏: 감출 頭: 머리 隱: 숨을 尾: 꼬리

  • 狐死首丘(호사수구) : (1)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으로 돌린다는 뜻으로, 죽을 때라도 자기의 근본을 잊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고향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狐: 여우 死: 죽을 首: 머리 丘: 언덕

  • 三頭六臂(삼두육비) : 머리가 셋,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힘이 엄청나게 센 사람을 이르는 말.
    三: 頭: 머리 臂:

  • 埋頭沒身(매두몰신) : (1)머리와 몸이 파묻혔다는 뜻으로, 일에 파묻혀 헤어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일에 매달려 물러날 줄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埋: 묻을 頭: 머리 沒: 빠질 身:

  • 首鼠兩端(수서양단) :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首: 머리 鼠: 端: 바를

  • 晝寢夜梳(주침야소) : 낮잠 자는 일과 밤에 하는 빗질이라는 뜻으로, 위생에 해로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晝: 寢: 잠잘 夜: 梳:

  • 沒頭沒尾(몰두몰미) : 머리도 꼬리도 없다는 뜻으로, 밑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
    沒: 빠질 頭: 머리 沒: 빠질 尾: 꼬리

  • 魚頭鳳尾(어두봉미) : 물고기는 머리 쪽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鳳: 봉새 尾: 꼬리

  • 俯仰廊廟(부앙낭묘) : 항상(恒常) 낭묘(廊廟)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禮儀)를 지켜야 함.
    俯: 구부릴 仰: 우러를 廟: 사당

  • 陵遲處斬(능지처참) : (1)‘능지처참’의 북한어. (2)대역죄를 범한 자에게 과하던 극형.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형벌이다.
    遲: 늦을 處: 머무를 斬:

  • 露尾藏頭(노미장두) : 꼬리는 드러낸 채 머리만 숨긴다는 뜻으로, 잘못을 숨기려 해도 결국 드러나게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尾: 꼬리 藏: 감출 頭: 머리

  • 低首下心(저수하심) : 머리를 숙이고 마음을 억누른다는 뜻으로, 상대에게 굴복(屈服)함을 의미하는 말.
    低: 낮을 首: 머리 下: 아래 心: 마음

  • 反首拔舍(반수발사) : 머리는 헝클어지고 옷은 해어진 초라한 모습으로 한데서 잠.
    反: 돌이킬 首: 머리 拔: 舍:

  • 以頭搶地(이두창지) : 머리를 땅에 대고 비빈다는 뜻으로, 무엇을 호소하거나 잘못을 뉘우쳐 용서를 빎을 이르는 말.
    以: 頭: 머리 搶: 닿을 地:

  • 黔首(검수) : 검은 두건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 일반 백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평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쓴 데서 비롯된 말이다.
    黔: 검을 首: 머리

  • 父母有命府首聞之(부모유명부수문지) : 부모(父母)님께서 명하심이 있으면 머리를 숙이고 들어야 함.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命: 목숨 府: 곳집 首: 머리 聞: 들을 之:

  • 俛首帖耳(면수첩이) : 머리를 수그리고 귀를 드리워 엎드린다는 뜻으로, 온순(溫純)하게 맹종하는 모양.
    俛: 힘쓸 首: 머리 帖: 표제 耳:

  • 自頭至尾(자두지미) :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
    自: 스스로 頭: 머리 至: 이를 尾: 꼬리

  • 皤皤老人(파파노인) : 머리털이 하얗게 센 늙은이.
    皤: 머리센모양 皤: 머리센모양 人: 사람

  • 蓬頭垢面(봉두구면) : 흐트러진 머리와 때 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성질이 털털하여 외양에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蓬: 頭: 머리 垢: 面:

  • 免白(면백) : 늙어서야 처음으로 변변치 못한 벼슬을 하게 됨을 이르는 말.
    免: 벗어날 白:

  • 紅顔白髮(홍안백발) : 늙어서 머리는 세었으나 얼굴은 붉고 윤이 나는 모습.
    紅: 붉을 顔: 얼굴 白: 髮: 터럭

  • 焦頭爛額(초두난액) :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불을 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 나온다.
    焦: 그스를 頭: 머리 額: 이마

  • 吐哺握髮(토포악발)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吐: 토할 哺: 먹일 握: 髮: 터럭

  • 拜復(배복) :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拜: 復: 회복할

  • 鶴首苦待(학수고대) :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鶴: 首: 머리 苦: 待: 기다릴

  • 垂頭塞耳(수두색이) : 머리를 숙이고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머리 숙여 아첨하며 귀를 막고 세간의 비난을 염두에 두지 않아 아첨만 일삼는다는 의미.
    垂: 드리울 頭: 머리 塞: 막을 耳:

  • 負戴(부대) : (1)짐을 지고 임. (2)매우 힘든 일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負: 戴:

  • 有頭無尾(유두무미) : 머리는 있어도 꼬리가 없다는 뜻으로, 시작은 있어도 마침이 없다는 의미나 일이 흐지부지 끝나버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有: 있을 頭: 머리 無: 없을 尾: 꼬리

  • 白頭如新(백두여신) : 머리가 백발이 되도록 오래 사귀었어도 서로 마음을 깊이 알지 못하면 새로 사귄 사람과 다름이 없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사귀어 온 사이지만 서로 간의 정이 두텁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白: 頭: 머리 如: 같을 新:

  • 簡髮而櫛(간발이즐) : 머리를 한 가닥씩 골라서 빗는다는 뜻으로, 몹시 좀스러운 것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簡: 대쪽 髮: 터럭 而: 말 이을 櫛:

  • 皓皓白髮(호호백발) : 밝고 밝은 흰 머리터럭이라는 뜻으로, 온통 하얗게 센 머리. 또는 그런 노인.
    皓: 皓: 白: 髮: 터럭

  • 平身低頭(평신저두) : 몸을 낮추고 머리를 숙임.
    平: 평평할 身: 低: 낮을 頭: 머리

  • 虎頭蛇尾(호두사미) : 범의 머리에 뱀이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성(盛)하나 끝은 부진한 형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頭: 머리 蛇: 尾: 꼬리

  • 落髮爲僧(락발위승) : (1)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2)‘낙발위승’의 북한어.
    髮: 터럭 爲: 僧:

  • 銅頭鐵額(동두철액) : 성질이 모질고 의지가 굳어 거만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銅: 구리 頭: 머리 鐵: 額: 이마

  • 四大六身(사대육신) : 두 팔, 두 다리, 머리, 몸뚱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四: 大: 身:

  • 齒髮不長(치발부장) : 젖니를 다 갈지 못하고 머리는 다박머리라는 뜻으로, 아직 나이가 어림을 이르는 말.
    齒: 髮: 터럭 不: 아니 長:

  • 白首之年(백수지년) : 머리가 허옇게 센 늙은 나이.
    白: 首: 머리 之: 年:

  • 截髮易酒(절발역주) : 머리를 잘라 술과 바꾼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對)한 모정(母情)의 지극(至極)함을 이르는 말.
    截: 끊을 髮: 터럭 易: 바꿀 酒:

  • 鷄皮鶴髮(계피학발) :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鷄: 皮: 가죽 鶴: 髮: 터럭

  • 繫頸以組(계경이조) : 갓이나 머리에 매는 끈을 목에 맨다는 뜻으로,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繫: 頸: 以: 組:

  • 蒙網捉魚(몽망착어) : 그물을 머리에 쓰고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우연히 운이 좋았음을 이르는 말.
    蒙: 입을 網: 그물 捉: 잡을 魚: 고기

  • 懸羊頭賣馬脯(현양두매마포) : 양의 머리를 매달아 놓고 말린 말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선을 가장하여 악을 행(行)함을 이르는 말.
    懸: 매달 羊: 頭: 머리 賣: 馬: 脯:

  • 首身分離(수신분리) : 머리와 몸통이 서로 떨어진다는 뜻으로, 참형(斬刑)을 당함을 이르는 말.
    首: 머리 身: 分: 나눌 離: 떠날

  • 龍頭蛇尾(용두사미) : (1)‘용두사미’의 북한어. (2)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한 현상을 이르는 말.
    頭: 머리 蛇: 尾: 꼬리

  • 叩謝(고사) : (1)머리를 조아려서 고마운 마음을 나타냄. (2)머리를 조아려서 죄를 빎.
    叩: 두드릴 謝: 사례할

  • 低頭傾首(저두경수) : 머리를 낮게 숙이거나 떨어뜨림.
    低: 낮을 頭: 머리 傾: 기울 首: 머리

  • 低首不答(저수부답) : 머리 숙이고 대답(對答)이 없음.
    低: 낮을 首: 머리 不: 아닌가 答: 대답할

  • 鳩首會議(구수회의) : 비둘기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듯이 여럿이 한자리에 모여 앉아 머리를 맞대고 의논함. 또는 그런 회의.
    鳩: 비둘기 首: 머리 會: 모일 議: 의논할

  • 沙門(사문) :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을 이르는 말.
    沙: 모래 門:

  • 頭足異處(두족이처) : 참형(斬刑)을 당(當)하여 머리와 다리가 따로따로 됨을 이르는 말.
    頭: 머리 足: 異: 다를 處: 머무를

  • 削髮爲僧(삭발위승) : 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削: 깎을 髮: 터럭 爲: 僧:

  • 三拜九拜(삼배구배) : 삼배의 예와 구배의 예라는 뜻으로, 몇 번이고 머리를 숙이고 일을 부탁한다는 의미.
    三: 拜: 九: 아홉 拜:

  • 無頭無尾(무두무미) : 머리도 꼬리도 없다는 뜻으로, 밑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
    無: 없을 頭: 머리 無: 없을 尾: 꼬리

  • 白首風神(백수풍신) : 머리가 센 늙은이의 점잖고 위엄 있는 풍채.
    白: 首: 머리 風: 바람 神:

  • 龍門點額(용문점액) : 용문에서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용문 아래에서 위로 오른 물고기는 용이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머리를 부딪혀 상처만 입는다는 고사에서 과거에 낙방해 돌아오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門: 點: 額: 이마

  • 佛頭著糞(불두착분) : 부처의 머리에 똥을 묻힌다는 뜻으로, 훌륭한 저서(著書)에 졸렬(拙劣)한 서문(序文)이라는 의미나, 썩 깨끗한 것을 더럽힌다는 의미로 사용됨.
    佛: 부처 頭: 머리 著: 붙일 糞:

  • 低頭不答(저두부답) : 머리를 숙이고 대답하지 아니함.
    低: 낮을 頭: 머리 不: 아닌가 答: 대답할

  • 白髮星星(백발성성) : 머리털이 희끗희끗함.
    白: 髮: 터럭 星: 星:

  • 灰頭土面(회두토면) : 머리에 재를 뒤집어쓰고 얼굴에 흙을 칠한다는 뜻으로, 속인(俗人)과 같이 어울려 그 처지에서 말하며 같이 고뇌를 나누어야 한다는 중생 교화를 위한 거리낌 없는 노력의 의미.
    灰: 頭: 머리 土: 面:

  • 童子削髮(동자삭발) : 어릴 때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됨.
    童: 아이 子: 아들 削: 깎을 髮: 터럭

  • 玄髮(현발) :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소년 시절을 이르는 말.
    玄: 검을 髮: 터럭

  • 圓頭方足(원두방족) : ‘원로방지’의 북한어.
    圓: 둥글 頭: 머리 方: 足:

  • 櫛風沐雨(즐풍목우) : 머리털을 바람으로 빗질하고 몸은 빗물로 목욕한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객지에서 방랑하며 온갖 고생을 다 함을 이르는 말.
    櫛: 風: 바람 沐: 머리감을 雨:

  • 怒氣衝天(노기충천) : ‘노기충천하다’의 어근.
    怒: 성낼 氣: 기운 衝: 찌를 天: 하늘

  • 囊頭(낭두) : 주머니나 자루를 머리에 뒤집어 쓴다는 뜻으로, 입을 다물고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을 함을 이르는 말.
    囊: 주머니 頭: 머리

  • 燕頷虎頭(연함호두) : 제비 비슷한 턱과 범 비슷한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에서 봉후(封侯)가 될 상(相)을 이르는 말.
    燕: 제비 頷: 虎: 頭: 머리

  • 捉頭僅捉尾(착두근착미) : 머리를 잡으려다 겨우 꽁지를 잡았다는 뜻으로, 큰 것을 바라다가 겨우 조그마한 것밖에 얻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捉: 잡을 頭: 머리 僅: 겨우 捉: 잡을 尾: 꼬리

  • 怒髮上衝冠(노발상충관) : 성내어 머리털이 머리에 쓴 갓을 추켜 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난 모습을 형용(形容)하여 이르는 말.
    怒: 성낼 髮: 터럭 上: 衝: 찌를 冠:

  • 黑頭宰相(흑두재상) : 나이가 젊은 재상.
    黑: 검을 頭: 머리 宰: 벼슬아치 相: 서로

  • 白頭(백두) : (1)허옇게 센 머리. (2)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3)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白: 頭: 머리

  • 結髮夫妻(결발부처) : 귀밑머리를 풀어 쪽을 찌고 상투를 튼 부부(夫婦)라는 뜻으로,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結: 맺을 髮: 터럭 夫: 지아비 妻: 아내

2
#임금 189 #은혜 70 #사랑 91 #아침 72 #관계 90 #형제 68 #가운데 104 #자식 104 #모양 142 #노력 69 #때문 58 #벼슬 88 #세상 339 #재앙 64 #서로 71 #집안 93 #재주 82 🎗 #머리에 관한 141개의 한자어 #아내 81 #동안 70 #재능 61 #형용 67 #군자 56 #구름 67 #얼굴 99 #시대 114 #물건 136 #자신 208 #근본 66 #이익 8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81개) : 마라, 마락, 마람, 마랑, 마래, 마램, 마량, 마럼, 마레, 마려, 마력, 마련, 마렵, 마령, 마로, 마롱, 마료, 마루, 마룩, 마룸, 마룽, 마륙, 마르, 마를, 마름, 마리, 마린, 막론, 막료, 만란, 만래, 만량, 만렙, 만려, 만력, 만록, 만뢰, 만료, 만루, 만류, 만리, 말랑, 말래, 말러, 말레, 말렛, 말련, 말로, 말루, 말류, 말름, 말리, 말릭, 말린, 말림, 망라, 망락, 망량, 망렝, 망령, 망론, 망료, 망룡, 망루, 망류, 망륙, 망리, 망립, 매란, 매람, 매래, 매럭, 매럿, 매려, 매력, 매련, 매례, 매로, 매롱, 매료, 매루, 매륜, 매름, 매리, 매림, 매립, 맥락, 맥랑, 맥량, 맥령, 맥류, 맥리, 맨련, 맬롱, 맬룽, 맹랑, 맹려, 맹렬, 먀련, 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