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240

  • 百年河淸 획순 百年河淸(백년하청) : 중국의 황허강이 늘 흐려 맑을 때가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오랜 시일이 지나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百: 일백 年: 河: 강 이름 淸: 맑을

  • 蒙網捉魚 획순 蒙網捉魚(몽망착어) : 그을 머리에 쓰고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우연히 운이 좋았음을 이르는 말.
    蒙: 입을 網: 그물 捉: 잡을 魚: 고기

  • 如魚失水 획순 如魚失水(여어실수) : 고기가 을 잃음과 같다는 뜻으로, 곤궁한 사람이 의지할 곳이 없이 괴로워함을 비유하는 말.
    如: 같을 魚: 고기 失: 잃을 水:

  • 菽水之供 획순 菽水之供(숙수지공) : 콩과 로 드리는 공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검소한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이르는 말.
    菽: 水: 之: 供: 이바지할

  • 大安 획순 大安(대안) : (1)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571~644). 원효의 스승이었다고 한다. (2)‘대안하다’의 어근. (3)중국 금나라 위소왕 때의 연호(1209~1211). (4)중국 서하 혜종 때의 연호(1076~1085).
    大: 安: 편안할

  • 珪璋特達(규장특달) : 규홀과 장홀만 이른다는 뜻으로, 혼약(婚約)의 예로 다른 폐(幣物)은 보내지 않고 다만 규장(珪璋)만을 보내는 것으로, 덕(德)이 출중(出衆)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珪: 璋: 반쪽 홀 特: 유다를 達: 통할

  • 水落石出(수락석출) : (1)이 말라 밑바닥의 돌이 드러난다는 뜻으로, 겨울 강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어떤 일이 나중에 명백히 드러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水: 落: 떨어질 石: 出:

  • 魚水之樂(어수지락) : 고기와 의 관계처럼 어진 임금과 신하가 서로 이해하고 돕는 즐거움.
    魚: 고기 水: 之: 樂: 즐거울

  • 積水成淵(적수성연) : 한 방울의 이 모여 연못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됨을 이르는 말.
    積: 쌓을 水: 成: 이룰 淵:

  • 泡沫夢幻(포말몽환) : 위에 뜨는 거품과 꿈이라는 뜻으로, 삶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泡: 거품 沫: 거품 夢: 幻: 변할

  • 濯足萬里流(탁족만리류) : 발을 만리의 흐르는 에 씻는다는 뜻으로, 대자연(大自然)으로 돌아가 세속(世俗)의 때를 씻는다는 말.
    濯: 씻을 足: 萬: 일만 里: 마을 流: 흐를

  • 水流雲空(수류운공) : 흐르는 과 하늘에 뜬 구름이라는 뜻으로, 지나간 일이 흔적 없이 사라져 허무함을 이르는 말.
    水: 流: 흐를 雲: 구름 空:

  • 登山臨水(등산임수) : 산에 오르기도 하고 에 가기도 함. 곧 명산대천의 명승지를 유람한다는 뜻이다.
    登: 오를 山: 水:

  • 攬髮而拯(남발이증) : 에 빠진 사람은 머리털을 잡아당겨 건진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한 때에는 사소(些少)한 예의(禮儀)를 차리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髮: 터럭 而: 말 이을 拯: 건질

  • 揭斧入淵(게부입연) : 도끼를 들고 산으로 가지 않고 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짓을 함을 이르는 말.
    揭: 斧: 도끼 入: 淵:

  • 洞深花意懶山疊水聲幽(동심화의라산첩수성유) : 마을이 깊으니 꽃의 뜻(開花)이 게으르고, 산이 쌓이고 쌓이니 소리가 그윽함.
    洞: 深: 깊을 花: 意: 懶: 게으를 山: 疊: 겹쳐질 水: 聲: 소리 幽: 그윽할

  • 背山臨水(배산임수) :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을 바라보고 있는 지형.
    背: 山: 水:

  • 山高水長(산고수장) : 산은 높이 솟고 강은 길게 흐른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나 군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山: 高: 높을 水: 長:

  • 窮鼠齧猫(궁서설묘) : 궁박한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뜻으로,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듯 약자도 궁지에 처하면 강자에게 반항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窮鼠齧狸 (궁서설리)].
    窮: 다할 鼠: 齧: 猫: 고양이

  • 學如逆水(학여역수) : 배움이란 마치 을 거슬러 배를 젓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퇴보(退步)한다는 뜻.
    學: 배울 如: 같을 逆: 거스를 水:

  • 枕流漱石(침류수석) : 시내에 흐르는 을 베개 삼고 돌로 양치질을 한다는 뜻으로, 남에게 지기 싫어 억지를 부림을 이르는 말.
    枕: 베개 流: 흐를 漱: 양치질할 石:

  • 濯鱗淸流(탁린청류) : 맑은 시냇에 비늘을 씻는다는 뜻으로, 높은 지위와 명예를 얻음을 이르는 말.
    濯: 씻을 鱗: 비늘 淸: 맑을 流: 흐를

  • 筆翰如流(필한여류) : 글을 쓰는 것이 마치 흐르듯 한다는 뜻으로, 문장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는 모양이나 운필(運筆)이 흐르듯이 빠름을 이르는 말.
    筆: 翰: 날개 如: 같을 流: 흐를

  • 流水不腐(유수불부) : 흐르는 은 썩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늘 움직이는 것은 썩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水: 不: 아니 腐: 썩을

  • 樓觀飛驚(누관비경) : 궁전(宮殿) 가운데 있는 견대(物見臺)는 높아서 올라가면 나는 듯하여 놀람.
    觀: 飛: 驚: 놀랄

  • 柳塘春水漫花塢夕陽遲(류당춘수만화오석양지) : 버들나무 연못에 봄 은 넘치고, 꽃동산에 저녁 볕은 더딤.
    柳: 버들 塘: 春: 水: 漫: 질펀할 花: 塢: 夕: 저녁 陽: 遲: 늦을

  • 棗東栗西(조동율서) : 제사상을 차릴 때에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놓는다는 말.
    棗: 대추나무 東: 동녘 西: 서녘

  • 逆風逆水(역풍역수) : (1)거슬러 부는 바람과 거슬러 흐르는 . (2)바람을 안고 결을 거스름.
    逆: 거스를 風: 바람 逆: 거스를 水:

  • 激濁揚淸(격탁양청) : 탁한 을 내보내고 맑은 을 끌어들인다는 뜻으로, 악한 것을 없애고 선한 것을 가져옴을 이르는 말.
    激: 부딪쳐흐를 濁: 흐릴 揚: 오를 淸: 맑을

  • 旅體(여체) : (1)‘여체’의 북한어. (2)객지에 있는 몸. 주로 편지글에서 글 쓰는 이가 안부를 을 때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體:

  • 射魚指天(사어지천) : 고기를 쏘는데 하늘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고기를 잡는데 하늘을 바라보는 것처럼 당치 않은 일을 하려한다는 의미.
    射: 魚: 고기 指: 손가락 天: 하늘

  • 落湯螃蟹(낙탕방해) : 끓는 에 떨어진 방게가 허둥지둥한다는 뜻으로, 몹시 당황(唐慌)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湯: 끓일 螃: 방게 蟹:

  • 鯨飮馬食(경음마식) : 고래가 을 마시듯, 말이 풀을 먹듯이 많이 먹고 많이 마심.
    鯨: 고래 飮: 마실 馬: 食:

  • 以湯止沸(이탕지비) : 끊는 로 끓는 것을 막는다는 뜻으로, 끓어 넘는 것을 막으려고 끓는 을 부어 더 심해지듯, 화란(禍亂)을 조장(助長)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以湯沃沸(이탕옥비)].
    以: 湯: 끓일 止: 그칠 沸: 끓을

  • 轍鮒之急(철부지급) : 수레바퀴 자국에 괸 에 있는 붕어의 급함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함을 이르는 말. ≪장자≫의 <외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이다.
    轍: 바퀴 자국 鮒: 붕어 之: 急: 급할

  • 波瀾重疊(파란중첩)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 여러 가지 곤란이나 시련이 많음.
    波: 물결 瀾: 물결 重: 무거울 疊: 겹쳐질

  • 桂玉(계옥) : 땔나무의 값은 계수나무만큼 비싸고 쌀값은 옥값과 맞먹는다는 뜻으로, 장작과 식량이 비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 覆杯之水(복배지수) : 엎지른 이라는 뜻으로, 다시 수습하기 곤란한 상황을 이르는 말.
    覆: 뒤집힐 杯: 之: 水:

  • 煙霞之癖(연하지벽)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煙: 연기 霞: 之: 癖: 버릇

  • 水廣則魚遊(수광즉어유) : 이 넓으면 고기가 모여 논다는 뜻으로, 덕이 있으면 자연히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하는 말.
    水: 廣: 넓을 則: 魚: 고기 遊:

  • 涸轍鮒漁(확철부어) : 수레바퀴 자국에 괸 속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이르는 말.
    轍: 바퀴 자국 鮒: 붕어 漁: 고기잡을

  • 我田引水(아전인수) : 자기 논에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我: 田: 引: 당길 水:

  • 從善如流(종선여류) : 선을 따르면 모든 것이 과 같이 흐른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켜야 무난히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從: 좇을 善: 착할 如: 같을 流: 흐를

  • 浩浩湯湯(호호탕탕) : 이 넓고 크게 흐르는 모양이란 뜻으로, 이 한없이 넓게 흐르는 모양을 이르는 말. [= 浩湯].
    浩: 넓을 浩: 넓을 湯: 끓일 湯: 끓일

  • 捉蟹放水(착해방수) : 게를 잡아서 에 놓아준다는 뜻으로, 애만 많이 쓰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
    捉: 잡을 蟹: 放: 놓을 水:

  • 滄浪自取(창랑자취) : 이 맑고 흐린 데 맞추어 처신한다는 뜻으로, 칭찬이나 비난ㆍ상이나 벌을 받는 것이 모두 자기가 할 탓임을 이르는 말.
    滄: 浪: 물결 自: 스스로 取: 취할

  • 雲蒸龍變(운증용변) : 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뱀이 변하여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호걸이 기회를 얻어 일어남을 이르는 말.
    雲: 구름 蒸: 變: 변할

  • 勺水不入(작수불입) : 한 모금의 도 넘기지 못한다는 뜻으로, 음식을 조금도 먹지 못함을 이르는 말.
    勺: 구기 水: 不: 아니 入:

  • 甘井先竭(감정선갈) : 맛이 좋은 우은 빨리 마른다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일찍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甘: 井: 우물 先: 먼저 竭: 다할

  • 萍水相逢(평수상봉) : 부평초와 이 서로 만난다는 뜻으로, 여행 중에 우연히 벗을 만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萍: 개구리밥 水: 相: 서로 逢: 만날

  • 沈浮(침부) : 위에 떠올랐다 속에 잠겼다 함.
    沈: 잠길 浮:

  • 魚腹孤魂(어복고혼) : 고기의 배에 장사 지낸 외로운 넋이라는 뜻으로, 에 빠져 죽은 외로운 넋을 이르는 말.
    魚: 고기 腹: 孤: 외로울 魂:

  • 使水逆流(사수역류) : 을 거슬러 흐르게 한다는 뜻으로, 자연(自然)의 도리(道理)에 어긋남을 이르는 말.
    使: 부릴 水: 逆: 거스를 流: 흐를

  • 水到渠成(수도거성) : 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 때가 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
    水: 到: 이를 渠: 도랑 成: 이룰

  • 水泄不通(수설불통) : 이 샐 틈이 없다는 뜻으로, 경비나 단속이 엄하여 교통이나 통신 또는 비밀 따위가 새지 못함을 이르는 말.
    水: 泄: 不: 아니 通: 통할

  • 懸河雄辯(현하웅변) : 이 거침없이 흐르듯 잘하는 말.
    懸: 매달 河: 강 이름 雄: 수컷 辯: 말 잘할

  • 山村水廓(산촌수곽) : 산중에 있는 마을과 가에 있는 성(城)이나 마을이라는 뜻으로, 시골의 여러 마을을 이르는 말.
    山: 村: 마을 水: 廓: 둘레

  • 一魚濁水(일어탁수) : 한 마리의 고기가 을 흐린다는 뜻으로,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됨을 이르는 말.
    一: 魚: 고기 濁: 흐릴 水:

  • 府帑蹈火(부탕도화) : 끊는 이나 뜨거운 불도 헤아리지 않고 뛰어든다 함이니, 목숨을 걸고 하는 아주 어렵고 힘든 고욕이나 수난을 이르는 말.
    府: 곳집 帑: 금고 蹈: 밟을 火:

  • 十長生(십장생) :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산, ,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十: 長: 生:

  • 涓露(연로) : 이슬 정도의 매우 적은 .
    涓: 시내 露: 이슬

  • 歲月如流(세월여류) : 세월이 흐르는 과 같다는 뜻으로, 세월이 매우 빨리 흘러감을 이르는 말.
    歲: 月: 如: 같을 流: 흐를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 목이 말라도 도천의 을 마시지는 않음.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渴: 목마를 不: 아니 飮: 마실 盜: 도둑 泉: 水:

  • 浮萍轉蓬(부평전봉) : 위에 떠 있는 풀과 바람에 굴러가는 쑥 덤불이라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浮: 萍: 개구리밥 轉: 구를 蓬:

  • 癡猿捉月(치원착월) : 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癡: 어리석을 猿: 원숭이 捉: 잡을 月:

  • 海鹹河淡(해함하담) : 바다 은 짜고 민은 맛이 담백(淡白)함.
    海: 바다 鹹: 河: 강 이름 淡: 묽을

  • 杯水輿薪(배수여신) : 잔의 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杯: 水: 輿: 수레 薪: 섶나무

  • 覆水難收(복수난수) : 엎질러진 은 다시 퍼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 기회를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음을 비유함.
    覆: 뒤집힐 水: 難: 어려울 收: 거둘

  • 山溜穿石(산류천석) : 산에서 졸졸 흐르는 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을로, 끊임없이 열심히 하면 어떠한 일도 성취할 수 있다는 말.
    山: 溜: 방울질 穿: 뚫을 石:

  • 上壽如水(상수여수) : 건강(健康)하게 오래 살려면, 흐르는 처럼 도리(道理)에 따라서 살아야 한다는 뜻.
    上: 壽: 목숨 如: 같을 水:

  • 本非我土(본비아토) : 본디 내 땅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本: 非: 아닐 我: 土:

  • 用錢如水(용전여수) : 돈을 처럼 흔하게 씀.
    用: 錢: 如: 같을 水:

  • 高談雄辯(고담웅변) : 도도하게 거리낌 없이 의논함.
    高: 높을 談: 말씀 雄: 수컷 辯: 말 잘할

  • 釋根灌枝(석근관지) : 뿌리를 버려 두고 가지에 을 준다는 뜻으로, 근본(根本)을 잊고 지엽(枝葉)에만 힘씀을 이르는 말.
    釋: 根: 뿌리 灌: 물댈 枝: 가지

  • 水積成川(수적성천) : 이 모이면 시내를 이룬다는 뜻으로, 방울도 쌓이면 내를 이룰 수 있듯이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水: 積: 쌓을 成: 이룰 川:

  • 染舊作新(염구작신) : 옛 것을 들여 새 것을 만든다는 뜻으로, 헌 것을 들여 새 것으로 만든다는 개혁과 변화의 의미.
    染: 물들일 舊: 作: 지을 新:

  • 桂玉之地(계옥지지) : 장작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고 쌀이 옥보다 귀한 곳이라는 뜻으로, 가가 비싼 도회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地:

  • 背水陣(배수진) : (1)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 이상 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背: 水: 陣: 진칠

  • 徹底澄淸(철저징청) : 이 밑바닥까지 맑다는 뜻으로, 지극(至極)히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徹: 통할 底: 澄: 맑을 淸: 맑을

  • 山川草木(산천초목) : 산과 내와 풀과 나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山: 川: 草: 木: 나무

  • 飮河滿腹(음하만복) : 강처럼 많이 있는 을 마신다 하여도 실제로 마시는 분량은 배를 채울 정도에 지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에 넘지 아니하게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飮: 마실 河: 강 이름 滿: 腹:

  • 杯水救車(배수구거) : 한 잔의 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杯: 水: 救: 건질 車: 수레

  • 水月鏡花(수월경화) : 에 비친 달과 거울 속에 비친 꽃이라는 뜻으로, 볼 수는 있어도 손으로 잡을 수 없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水: 月: 鏡: 거울 花:

  • 山紫水麗(산자수려) : 산은 자줏빛이고 은 곱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山: 紫: 자주빛 水: 麗: 고울

  • 灑掃應對(쇄소응대) : 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灑: 뿌릴 掃: 應: 응할 對: 대답할

  • 盲龜浮木(맹귀부목)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盲: 소경 龜: 거북 浮: 木: 나무

  • 盲龜遇木(맹귀우목)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盲: 소경 龜: 거북 遇: 만날 木: 나무

  • 鳶飛魚躍(연비어약) : 솔개가 날고 고기가 뛴다는 뜻으로, 온갖 동이 생을 즐김을 이르는 말.
    鳶: 소리개 飛: 魚: 고기 躍:

  • 上善若水(상선약수) : 최고의 선은 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을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
    上: 善: 착할 若: 같을 水:

  • 吳牛喘月(오우천월) :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밤에 달이 뜨는 것을 보고도 해인가 하고 헐떡거린다는 뜻으로, 간이 작아 공연한 일에 미리 겁부터 내고 허둥거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서 유래한다.
    吳: 나라 이름 牛: 喘: 헐떡거릴 月:

  • 齊紫敗素(제자패소) :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齊: 가지런할 紫: 자주빛 敗: 패할 素:

  • 車水馬龍(거수마룡) : 수레들은 흐르는 과 같고 말의 움직임은 하늘을 오르는 용과 같다는 뜻으로, 수레와 말의 왕래(往來)가 많아 매우 떠들석한 상황. 즉, 행렬(行列)이 성대(盛大)한 모양(模樣)을 말함.
    車: 수레 水: 馬: 龍:

  • 慈姑(자고) : (1)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2)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3)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뿌리에서 나와 서로 엉키면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잎 사이에서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연한 녹색의 둥근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덩이줄기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속에서 자라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慈: 사랑 姑: 시어미

  • 四百四病(사백사병) : (1)사람의 오장에 있는 405종의 병 중에서 죽는 병을 제외한 404종의 병. (2)사람의 몸에서 땅, , 불, 바람의 네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얻는 병. 한 요소마다 101가지이므로 모두 404가지가 된다.
    四: 百: 일백 四: 病:

  • 濟河焚舟(제하분주) : 강을 건너고 배를 불태운다는 뜻으로, 살아 돌아가기를 기약하지 않는 굳은 의지를 보임을 이르는 말.
    濟: 건널 河: 강 이름 焚: 불사를 舟:

  • 行雲流水(행운유수) : (1)떠가는 구름과 흐르는 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정한 형태가 없이 늘 변함. (3)일의 처리가 자연스럽고 거침이 없음. (4)마음씨가 시원하고 씩씩함.
    行: 雲: 구름 水:

  • 冬氷可折(동빙가절) : 겨울철 얼음은 부러질 수 있다는 뜻으로, 흐르는 도 얼음이 되면 손쉽게 부러지듯이, 사람의 강유(剛柔)의 성질도 때에 따라 달라진다는 의미. 또는 때를 얻으면 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그 때를 얻기가 어려움을 비유하기도 함.
    冬: 겨울 氷: 얼음 可: 옳을 折: 꺾을

  • 辯舌如流(변설여류) : 말솜씨가 흐르는 과 같다는 뜻으로, 말이 청산유수처럼 거침없이 계속됨을 비유하는 유창한 달변(達辯).
    辯: 말 잘할 舌: 如: 같을 流: 흐를

  • 池魚之殃(지어지앙) : 못의 고기에 미치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池: 魚: 고기 之: 殃: 재앙

  • 刻船求劍(각선구검)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刻: 새길 船: 求: 구할 劍:

1 3
#태도 72 #정도 153 #조금 96 #어려움 105 #근심 65 #천하 94 #중국 253 #재주 82 #사랑 91 #형용 67 #행동 137 #근본 66 #아래 86 #표현 88 #얼굴 99 #자연 73 #관계 90 #모양 142 #무리 64 #이름 211 #비유 1177 #인간 65 #상황 119 #유래 280 #사람 1461 #나라 392 #사이 200 #이익 89 #나이 97 #노력 6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