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240

  • 與受同罪 획순 與受同罪(여수동죄) : 장(贓物)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은 둘 다 죄가 같음.
    與: 受: 받을 同: 한가지 罪: 허물

  • 太白捉月 획순 太白捉月(태백착월) : 이백(李白)이 술에 취(醉)하여 채석강(采石江)에서 속의 달을 잡으려다 죽은 일을 이르는 말.
    太: 白: 捉: 잡을 月:

  • 殃及池魚 획순 殃及池魚(앙급지어) : 재앙이 못의 고기에 미친다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殃: 재앙 及: 미칠 池: 魚: 고기

  • 水滴石穿 획순 水滴石穿(수적석천) : 방울이 모여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꾸준히 노력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水: 滴: 물방울 石: 穿: 뚫을

  • 如水投水 획순 如水投水(여수투수) : 탄 듯하다는 뜻으로, 태도가 분명하지 못하거나 일 처리가 야무지지 못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水: 投: 던질 水:

  • 盈科而後進(영과이후진) : 구멍을 가득 채운 뒤에 나간다는 뜻으로, 이 흐를 때는 조금이라도 오목한 데가 있으면 우선(于先) 그곳을 가득 채우고 아래로 흘러간다는 말. 곧 사람의 배움의 길도 속성(速成)으로 하려 하지말고 차근차근 닦아 나가야 한다는 말.
    盈: 科: 과정 而: 말 이을 後: 進: 나아갈

  • 胡蝶之夢(호접지몽) :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제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胡: 오랑캐 蝶: 나비 之: 夢:

  • 河淸難俟(하청난사) : 황하가 맑아지기는 기다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황하는 언제나 흐려 맑아지기를 기다릴 수 없듯이 기다릴 수 없음이나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淸: 맑을 難: 어려울 俟: 기다릴

  • 百川學海(백천학해) :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百: 일백 川: 學: 배울 海: 바다

  • 乾木水生(건목수생) : (1)마른나무에서 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2)마른나무에서 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乾: 마를 木: 나무 水: 生:

  • 金城湯池(금성탕지) : 쇠로 만든 성과, 그 둘레에 파 놓은 뜨거운 로 가득 찬 못이라는 뜻으로, 방어 시설이 잘되어 있는 성을 이르는 말. ≪한서≫의 <괴통전(蒯通傳)>에 나오는 말이다.
    金: 城: 湯: 끓일 池:

  • 下方値換(하방치환) : 화학(化學) 실험(實驗) 때 발생(發生)하는 무겁고 에 잘 녹는 기체(氣體)를 관으로 용기(容器) 바닥에 끌어들이고 공기(空氣)를 내보내는 일.
    下: 아래 方: 値: 換: 바꿀

  • 如俟河淸(여사하청) : 이 맑아지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음.
    如: 같을 俟: 기다릴 河: 강 이름 淸: 맑을

  • 鏡花水月(경화수월) : 거울에 비친 꽃과 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눈으로 볼 수 있으나 잡을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문에서 느껴지기는 하나 표현할 수 없는 미묘한 정취를 이른다.
    鏡: 거울 花: 水: 月:

  • 靑山流水(청산류수) : (1)푸른 산에 흐르는 맑은 이라는 뜻으로, 막힘없이 썩 잘하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청산유수’의 북한어.
    靑: 푸를 山: 水:

  • 投鞭斷流(투편단류) : 채찍을 던져서 강의 흐름을 끊는다는 뜻으로, 강을 건너는 기병(騎兵)의 수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投: 던질 鞭: 채찍 斷: 끊을 流: 흐를

  • 抱瓮灌畦(포옹관휴) : 항아리를 안고 밭에 을 준다는 뜻으로, 부족하고 뒤떨어진 것을 개량하려 하지 않는 우둔하고 못난 방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抱: 안을 瓮: 灌: 물댈 畦: 밭두둑

  • 連鎖反應(연쇄반응) : (1)‘연쇄 반응’의 북한어. (2)생성 질의 하나가 다시 반응로 작용하여 생성, 소멸을 계속하는 반응. 우라늄 이백삼십오 하나가 분열되면서 나온 중성자가 다른 중성자를 분열시켜 계속 핵분열을 일으키는 반응 따위가 있다.
    鎖: 쇠사슬 反: 돌이킬 應: 응할

  • 刻舟求劍(각주구검)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刻: 새길 舟: 求: 구할 劍:

  • 炊玉焚桂(취옥분계) : 옥을 불때고 계수나무를 불사른다는 뜻으로, 가(物價)가 매우 비쌈을 비유하거나, 건이 매우 귀중함의 비유로 사용하는 말.
    炊: 불땔 玉: 구슬 焚: 불사를 桂: 계수나무

  • 酌水成禮(작수성례) : 한 그릇만 떠 놓고 혼례를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례를 이르는 말.
    酌: 따를 水: 成: 이룰 禮: 예도

  • 鼓盆(고분) : 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鼓: 盆: 동이

  • 尺山寸水(척산촌수) : 한 자 높이의 산과 한 치 깊이의 이라는 뜻으로, 높은 곳에서 멀리 내려다볼 때 산수가 작게 보임을 이르는 말.
    尺: 山: 寸: 마디 水:

  • 沙鉢通文(사발통문) : 호소문이나 격문 따위를 쓸 때에 누가 주모자인가를 알지 못하도록 서명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은 통문.
    沙: 모래 鉢: 바리때 通: 통할 文: 글월

  •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 얼음과 숯의 성질이 정반대이어서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이 서로 화합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氷: 얼음 炭: 不: 아니 相: 서로 容: 얼굴

  • 山高天下立水深地上流(산고천하립수심지상류) : 산이 높으나 하늘 아래 서 있고, 이 깊으나 땅 위로 흐름.
    山: 高: 높을 天: 하늘 下: 아래 立: 水: 深: 깊을 地: 上: 流: 흐를

  • 沈魚落雁(침어낙안) : 미인을 보고 위에서 놀던 고기가 부끄러워서 속 깊이 숨고 하늘 높이 날던 기러기가 부끄러워서 땅으로 떨어졌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장자≫ <제론(齊物論)>에 나오는 말이다.
    沈: 잠길 魚: 고기 雁: 기러기

  • 如魚得水(여어득수) : 고기가 을 얻음과 같다는 뜻으로, 본래의 영역으로 다시 돌아와 크게 활약할 수 있게 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魚: 고기 得: 얻을 水:

  • 性猶湍水(성유단수) : 성품은 여울 같다는 뜻으로,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이 동서 어느 쪽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 사람의 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性: 성품 猶: 오히려 湍: 여울 水:

  • 浸潤之譖(침윤지참) : 차차 젖어서 번지는 것과 같이 조금씩 오래 두고 하는 참소의 말.
    浸: 담글 潤: 젖을 之: 譖: 헐뜯을

  • 山棲谷飮(산서곡음) : 산에 깃들어 살며 계곡 을 마신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는 말.
    山: 棲: 谷: 飮: 마실

  • 剛木水生(강목수생) : 마른나무에서 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剛: 굳셀 木: 나무 水: 生:

  • 簞瓢陋巷(단표누항)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瓢: 巷: 거리

  • 啜菽飮水(철숙음수) : 콩을 먹고 을 마신다는 뜻으로, 집은 가난하여도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극진(極盡)히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啜: 마실 菽: 飮: 마실 水:

  • 明鏡止水(명경지수) : (1)맑은 거울과 고요한 . (2)잡념과 가식과 헛된 욕심 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
    明: 밝을 鏡: 거울 止: 그칠 水:

  • 魚水之交(어수지교) : (1)이 없으면 살 수 없는 고기와 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魚: 고기 水: 之: 交: 사귈

  • 水魚之交(수어지교) : (1)이 없으면 살 수 없는 고기와 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水: 魚: 고기 之: 交: 사귈

  • 鑿飮耕食(착음경식) : 우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鑿: 뚫을 飮: 마실 耕: 食:

  • 淘汰(도태) : 에 일고 씻어서 깨끗하게 한다는 뜻으로, (1) 여럿 가운데 쓸데없거나 적당(適當)하지 않은 것이 줄어 없어지거나 줄어서 없어지게 함(2) 에 넣고 일어서 쓸데없는 것을 가려서 버림.
    淘: 汰:

  •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 엎지른 은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말. ≪습유기≫에 나오는 말이다.
    覆: 뒤집힐 水: 不: 아니 返: 돌아올 盆: 동이

1 2
#하늘 251 #근본 66 #인간 65 #재앙 64 #무리 64 #자연 73 #구름 67 #경계 56 #경우 64 #때문 58 #생각 236 #모습 66 #신하 62 #훌륭 85 #부부 76 #자식 104 #유래 280 #임금 189 #아침 72 #조금 96 #물건 136 #벼슬 88 #천하 94 #아래 86 #사랑 91 #이치 67 #바람 136 #형제 68 #상대 56 #방법 5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