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實際 로)
☆☆ 부사
1.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정말로.
1. ACTUALLY: In reality, neither fictitiously nor imaginarily; really.
-
실제로 가능하다.
It's actually possible. -
실제로 경험하다.
Experience in practice. -
실제로 보다.
See in real life. -
실제로 일어나다.
It actually happens. -
실제로 존재하다.
It actually exists. -
어린 동생은 마법사가 실제로 있다고 믿는다.
Little brother believes that the wizard actually exists. -
나는 실제로 읽지도 않은 책을 읽었다고 거짓말했다.
I lied that i had read a book that i had never actually read. -
♔
지수는 십 년 만에 첫사랑을 다시 만나서 결국 결혼한대.
Jisoo meets her first love again in 10 years and eventually gets married.
♕ 영화에서만 있는 일인 줄 알았는데 실제로 그런 일이 있구나.
I thought it was only in the movies, but it actually happened.
유의어
실상(實狀): 사실에 있어서.
유의어
실제(實際): 있는 그대로의 상태나 사실대로.
유의어
실지(實地):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유의어
실지로(實地로):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 발음, 활용: • 실제로 (
실쩨로
)
🗣️ 실제로 (實際 로) @ 뜻풀이
- 오차 (誤差) : 실제로 계산하거나 측정한 값과 이론적으로 정확한 값과의 차이.
- 한계 (限界) : 어떤 것이 실제로 일어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나 경계.
- 상상화 (想像畫)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것을 상상하여 그린 그림.
- 실증하다 (實證하다) : 실제로 증명하다.
- 이행되다 (履行되다) : 약속이나 계약 등이 실제로 행해지다.
- 실무 (實務) : 실제로 하는 업무나 사무.
- 이기 (利器) : 실제로 쓰기에 편리한 기계나 기구.
- 실리적 (實利的) : 실제로 이익을 얻는 것.
- 연습하다 (演習하다) : 실제로 하듯이 반복하여 익히다.
- 실리적 (實利的) : 실제로 이익을 얻는.
- -을는지 : 뒤에 오는 말과 관련이 있는 앞의 말이 실제로 일어날지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한계점 (限界點) : 어떤 것이 더 이상 실제로 일어나거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지점.
- -은 체하다 : 실제로 그렇지 않은데도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꾸밈을 나타내는 표현.
- 실존적 (實存的) : 실제로 존재하는.
- 실존 (實存) : 실제로 존재함. 또는 그런 존재.
- 실감되다 (實感되다) : 실제로 겪는 것처럼 느껴지다.
- 실무적 (實務的) : 실제로 하는 업무나 사무와 관계되는.
- 이행 (履行) : 약속이나 계약 등을 실제로 행함.
- 경험하다 (經驗하다) : 자신이 실제로 해 보거나 겪어 보다.
- 통화량 (通貨量) : 나라 안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는 돈의 양.
- 실용화하다 (實用化하다) : 실제로 널리 쓰거나 쓰게 하다.
- 있다 : 어떤 상황이 될 가능성이 존재하거나 실제로 그렇게 되다.
- 실속 (實속) : 군더더기 없이 실제로 핵심이 되는 내용.
- 그림의 떡 : 마음에 들어도 실제로 쓸 수 없거나 가질 수 없는 것.
- 실험하다 (實驗하다) :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이론이나 생각에 따라 실제로 해 보다.
- 실존하다 (實存하다) : 실제로 존재하다.
- 허구성 (虛構性) : 사실과 다르거나 실제로 없었던 일을 사실처럼 꾸며 만드는 성질.
- 치고받다 : 서로 말로 다투거나 실제로 때리면서 싸우다.
- 실용 (實用) : 실제로 씀. 또는 실제적인 쓸모.
- 탁상공론 (卓上空論) : 실제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적은, 헛된 이론이나 논의.
- 말장난 : 실제로 중요한 내용도 없는 쓸데없는 말을 그럴듯하게 하는 것.
- 실감하다 (實感하다) : 실제로 겪는 것처럼 느끼다.
- 실적 (實績) : 어떤 일이나 분야에서 실제로 이룬 업적.
- 집행되다 (執行되다) : 계획, 명령, 재판 등의 내용이 실제로 행해지다.
- 용례 (用例) : 실제로 쓰이는 예.
- 시험 삼아 : 결과를 미리 알아보려고 제한된 범위 안에서 일단, 실제로.
- 사실상 (事實上) : 실제로 처한 상태.
- 현지 (現地) : 일을 실제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곳.
- -는 체하다 : 실제로 그렇지 않은데도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꾸밈을 나타내는 표현.
- 실습생 (實習生) : 배운 기술이나 지식을 실제로 해 보고 익히는 학생.
- 실행 (實行) : 실제로 행함.
- 시험적 (試驗的) : 결과나 기능 등을 미리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로 해 보는 것.
- 실재하다 (實在하다) : 실제로 존재하다.
- 집무 (執務) : 사무를 실제로 해 나감.
- 시늉하다 : 어떤 모양이나 동작을 실제로 하는 것처럼 흉내 내다.
- 실무자 (實務者) : 실제로 일을 맡아 처리하는 사람.
- 연필심 (鉛筆心/鉛筆芯) : 연필 속에 들어 있는 실제로 글씨를 쓰는 부분인 가느다란 심.
- 현실성 (現實性) : 현재 실제로 있거나 이루어질 수 있는 성질.
- 주범 (主犯) : 자신의 생각에 따라 범죄를 실제로 저지른 사람.
- 시행되다 (施行되다) : 실제로 행해지다.
- 진범 (眞犯) : 실제로 범죄를 저지른 사람.
- 시험하다 (試驗하다) : 어떤 계획이나 방법을 실제로 시행하기 전에 실지로 해 보고 그 결과를 알아보다.
- 실행되다 (實行되다) : 실제로 행해지다.
- 실물 (實物) : 사진이나 그림이 아닌 실제로 있는 물건이나 사람.
- 책동 (策動) : 좋지 않은 일을 몰래 꾸며 실제로 행함.
- 현실 (現實) : 현재 실제로 있는 사실이나 상태.
- 가시화 (可視化) : 어떤 현상이나 사건이 실제로 일어남. 또는 실제로 일어나게 함.
- 한계선 (限界線) : 어떤 것이 실제로 일어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가 되는 선.
- 결행하다 (決行하다) : 어떤 일을 하기로 결정하고 판단하여 그대로 실제로 행하다.
- 구체화 (具體化) : 계획 등이 실제로 행해짐. 또는 그렇게 되게 함.
- 실현 (實現) : 꿈이나 계획 등을 실제로 이룸.
- 비현실적 (非現實的) :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실현될 수 없는.
- 이행하다 (履行하다) : 약속이나 계약 등을 실제로 행하다.
- 집행하다 (執行하다) : 계획, 명령, 재판 등의 내용을 실제로 행하다.
- 행정가 (行政家) : 정치나 사무를 실제로 해 나가는 사람.
- 집무하다 (執務하다) : 사무를 실제로 해 나가다.
- 실습실 (實習室) : 배운 기술이나 지식을 실제로 해 보면서 익히는 교실.
- 실습하다 (實習하다) : 배운 기술이나 지식을 실제로 해 보면서 익히다.
- 실비 (實費) : 어떤 일에 실제로 드는 돈.
- 공상적 (空想的) : 실제로 있지 않거나 이루어질 가능성이 없는 일을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것.
- 실습 (實習) : 배운 기술이나 지식을 실제로 해 보면서 익힘.
- 수학여행 (修學旅行) : 교육 활동의 하나로, 실제로 보고 들으며 지식을 넓히기 위해 학생들이 교사의 지도를 받으며 하는 여행.
- 거품 : 실제로 안에 들어있는 내용은 없는데 겉으로만 크게 보이는 것.
- 현실적 (現實的) : 현재 실제로 있거나 이루어질 수 있는 것.
- 책동하다 (策動하다) : 좋지 않은 일을 몰래 꾸며 실제로 행하다.
- 실리 (實利) : 실제로 얻는 이익.
- 정작 :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 실현성 (實現性) : 실제로 이루어질 가능성.
- 사실 (事實) :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
- 실행하다 (實行하다) : 실제로 행하다.
- 제일선 (第一線) : 일을 실제로 행하는 데에서 맨 앞장.
- 실시 (實施) : 어떤 일이나 법, 제도 등을 실제로 행함.
- 실시되다 (實施되다) : 어떤 일이나 법, 제도 등이 실제로 행해지다.
- 구체화하다 (具體化하다) : 계획 등을 실제로 행하다.
- 기술 (技術) : 과학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인간 생활에 쓸모가 있게 하는 수단.
- 일선 (一線) : 일을 실제로 행하는 데에서 맨 앞장.
- -는 척하다 : 실제로 그렇지 않은데도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꾸밈을 나타내는 표현.
- 구상화 (具象畫) : 실제로 존재하거나 상상할 수 있는 사물을 그대로 나타낸 그림.
- 실습비 (實習費) : 배운 기술이나 지식을 실제로 해 보면서 익히는 데에 필요한 돈.
- 실권 (實權) : 실제로 누릴 수 있는 권리나 권력.
- 실험 (實驗) :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이론이나 생각에 따라 실제로 해 봄.
- 상상하다 (想像하다) : 실제로 없는 것이나 경험하지 않은 것을 머릿속으로 그려 보다.
- -ㄹ는지 : 뒤에 오는 말과 관련이 있는 앞의 말이 실제로 일어날지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실익 (實益) : 실제로 얻는 이익.
- 실존주의 (實存主義) : 실제로 존재하는 개인의 주체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
- 산술 (算術) :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쓸 수 있는, 수의 간단한 계산 방법.
- 공상적 (空想的) : 실제로 있지 않거나 이루어질 가능성이 없는 일을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 실무적 (實務的) : 실제로 하는 업무나 사무와 관계되는 것.
- 실연 (實演) : 실제로 하여 보여 줌.
- 행하다 (行하다) : 어떤 일을 실제로 하다.
🗣️ 실제로 (實際 로) @ 용례
- 학생들은 문장에서 실제로 의미를 담고 있는 실질 형태소를 찾아보았다. [실질 형태소 (實質形態素)]
- 실제로 발을 들여놓은 지는 얼마 안 되었어. [들여놓다]
- 이 집의 감자튀김이 바삭바삭해서 맛있댔는데 실제로 먹어 보니 튀긴 지 오래돼서 눅눅했다. [-댔는데]
- 실제로 가정 폭력을 완전히 없앨 수가 있나요? [근절 (根絕)]
- 맘속으로만 생각했던 일이 실제로 일어나자 그는 깜짝 놀랐다. [맘속]
- 실제로 우리가 받은 돈이랑 전표에 나와 있는 금액이 다른 것 같아. [전표 (傳票)]
- 삼천리라는 말은 실제로 한국 땅이 삼천 리라는 뜻이라기보다는 ‘크나큰 우리 조국’이라는 상징적인 의미이다. [삼천리 (三千里)]
- 그럼. 강대국들이 실제로 국제 경제를 좌지우지하고 있지. [국제 경제 (國際經濟)]
- 국가 간의 이해관계는 실제로 매우 복잡다기하다. [복잡다기하다 (複雜多岐하다)]
- 민준은 외국에서 나고 자라서 지금까지 전통 놀이를 하는 것을 실제로 본 적이 없다. [놀이]
- 유민 씨를 실제로 보니까 사진에서 볼 때랑 분위기가 좀 다르네요. [단발머리 (斷髮머리)]
- 리모컨에는 여러 가지 버튼이 달려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기능은 얼마 되지 않는다. [리모컨 (←remotecontrol)]
- 이 소설은 실제로 있었던 일 같아서 더 감동적이었어. [진솔히 (眞率히)]
- 실제로 본 만리장성은 그 길이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어마어마했다. [어마어마하다]
- 우리 주위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은 모두 물리적인 현상이다. [물리적 (物理的)]
- 드라큘라는 소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인물이지만 실제로 봤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드라큘라 (Dracula)]
- 사고를 당한 피해자는 당초 책정된 보험금에 비해 실제로 받는 보상 금액이 적다며 회사에 항의했다. [보험금 (保險金)]
- 그 여자 실제로 만나 보니 어때? [찰랑대다]
- 실제로 사람을 해부하려니 가슴이 덜컥덜컥해서 혼났어. [덜컥덜컥하다]
- 맞아, 세금을 차감하고 나니 실제로 받은 돈은 얼마 되지 않네. [차감하다 (差減하다)]
- 실제로 응용되다. [응용되다 (應用되다)]
- 새들을 동물원에 와서 실제로 보니까 신기하지? [부엉이]
- 너 젖소 실제로 본 적 있어? [낙농업 (酪農業)]
- 그 남자는 실제로 보니 목소리와 다르게 나이가 지긋하게 든 사람이었다. [지긋하다]
- 엄마, 저 얼룩말의 흑백 줄무늬를 실제로 보고 싶어요. [얼룩말]
- 승규는 자기 소개서에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일들을 각색했던 사실이 드러나서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 [각색하다 (脚色하다)]
- 실제로 가능한지는 차치하고 그럴듯해 보이는 의견들은 회의에서 많이 나왔다. [차치하다 (且置하다)]
- 집주인의 주민 등록을 확인해 보니 집주인이 실제로 이 집에 살고 있는 것 같지 않아요. [주민 등록 (住民登錄)]
- 네 뜻은 좋은데 그 일을 실제로 어떻게 할 수 있겠냐는 거지. [접어놓다]
- ‘나는 절대 성공할 수 없을 거야’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십중팔구는 실제로 성공하지 못한다. [십중팔구 (十中八九)]
- 응, 실제로 뵈니 왕자의 위엄이 대단하셔. [왕자 (王者)]
- 훈련을 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공습에 투입되는 일은 거의 없어요. [공습 (空襲)]
- 실제로 만난 민준 씨는 통화할 때 받았던 인상과는 전혀 다른 외모였다. [통화하다 (通話하다)]
- 당시에 실제로 쓰던 말은 아닐 거야. [조선말 (朝鮮말)]
- 우리 안건이 실제로 시행되려면 심의회를 거쳐야만 해. [심의회 (審議會)]
- 이번 강좌는 단순히 이론적인 강의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도 다룰 것입니다. [이론적 (理論的)]
- 형제들도 많고 상속세도 꽤 많아서 실제로 받은 금액은 얼마 되지 않아요. [상속세 (相續稅)]
- 여배우를 실제로 보니 경국지색이라는 감탄이 절로 나왔다. [경국지색 (傾國之色)]
- 그 배우를 실제로 보니까 어때? [경국지색 (傾國之色)]
- 통상적 질문인데 그렇게 말문이 막히면 실제로 면접 자리에서는 어쩌려고 그래? [통상적 (通常的)]
- 스키 강사는 스키를 실제로 타기 전에 기본적인 동작을 훈련시켰다. [훈련시키다 (訓鍊/訓練시키다)]
- 실제로 신이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구상화하다 (具象化하다)]
- 나는 자폐아를 실제로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복지관 자원봉사 때 아이의 행동에 화를 내기도 했었다. [자폐아 (自閉兒)]
- 아버지는 예전에 염병하다가 고열 때문에 실제로 돌아가실 뻔했다고 말씀하셨다. [염병하다 (染病하다)]
- 실제로 뵈니 사진보다 실물이 더 예쁘신데요. [-ㄴ데요]
- 박 대리는 옷차림은 번지르르하지만 실제로 잘 사는 편은 아니다. [번지르르하다]
- 그 배우는 실제로 보니 뿅 갈 정도로 멋있었다. [뿅]
- 신비주의를 숭배하는 민준이는 전지전능한 신을 실제로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신비주의 (神祕主義)]
- 네, 실제로 일제 강점기에는 여러 사이비 종교가 발아하기도 했습니다. [발아하다 (發芽하다)]
- 네, 실제로 보니 정말 무시무시하네요. [고깃덩어리]
- 백날 책으로 읽어 봤자 실제로 경험해 보지 않으면 모르는 것이다. [-어 봤자]
- 실제로 배우가 연기한 건 아니고 그래픽 효과일 거야. [효과 (效果)]
- 모기를 잡아 먹는 식물을 심었더니 실제로 식충 효과가 있었다. [식충 (食蟲)]
- 그는 사변적 이론을 실험으로 옮겨 실제로 증명해 보였다. [사변적 (思辨的)]
- 우리 농악대는 실제로 농부들이 악기를 연주합니다. [농악대 (農樂隊)]
- 남들은 그녀가 착하고 순수하다고 했지만 실제로 사정은 그렇잖았다. [그렇잖다]
- 그의 이론은 사변적으로 한 판단일 뿐 실제로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변적 (思辨的)]
- 실제로 존재하다. [존재하다 (存在하다)]
- 아니, 홍길동은 조선 시대에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은 아니야. [존재하다 (存在하다)]
- 텔레비전에서나 보던 여배우를 실제로 보니 어땠어? [강림하다 (降臨하다)]
- 오늘 본 입체 영화는 마치 모든 풍경이 실제로 눈앞에 펼쳐진 것 같은 느낌을 주었다. [입체 (立體)]
- 글쎄, 실제로 가까이서 보면 실수를 많이 하던 걸. 단지 허울 좋은 과부인 것 같아. [허울 좋은 과부]
- 어떤 학자들은 그가 실제로 존재했던 역사적 인물이 아닌 전설적 인물일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전설적 (傳說的)]
- 기록은 되어 있지만 실제로 발견되지 않은 사적들을 꼭 찾아내겠어. [사적 (史跡/史蹟)]
- 교사의 기본 과업은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실제로 알고 이해하도록 하는 데 있다. [과업 (課業)]
- 소문의 주인공을 실제로 만나 보니 소문과 달리 그는 매우 예의 바른 사람이었다. [주인공 (主人公)]
- 정말? 나도 가서 실제로 보고 싶다. [내한하다 (來韓하다)]
- 나는 내가 계획한 것을 실제로 시험했다. [시험하다 (試驗하다)]
- 정말? 그런 끔찍한 일이 실제로 있었다니 믿을 수 없어. [토대하다 (土臺하다)]
- 실제로 떡을 만들어 보니까 어떠니? [떡밥]
- 잘못된 법적 판결로 징역형을 선고 받아 실제로 징역살이를 했던 분이 뉴스에 나오더라. [징역형 (懲役刑)]
- 실제로 사랑하는 여인에게 바치기 위해 창작된 거라고 하던데요. [창작되다 (創作되다)]
- 이 이야기는 실제로 조선 시대에 있던 옛일이 전해 내려온 거랍니다. [옛일]
- 김 박사가 제시한 가설은 실제로 증명되어 활용되고 있다. [제시하다 (提示하다)]
- 나는 아직 그를 실제로 본 적이 없지마는 글을 보면 그가 좋은 사람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마는]
- 주문한 책의 수량과 실제로 배달된 수량이 맞지 않았다. [맞다]
- 그래? 그럼 거기에 가면 옛날의 즉위 의식을 실제로 경험해 볼 수 있겠구나. [즉위 (卽位)]
- 실제로 건물을 짓는 데 드는 비용은 견적과 다를 수도 있는데 괜찮을까요? [견적서 (見積書)]
- 나도 읽어 봤는데, 실제로 그 지역의 모습이 보이는 것 같더라. [향토색 (鄕土色)]
- 여기에서 악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실제로 볼 수 있다고요? [실연 (實演)]
- 최근 한 연구 팀이 전설 속의 대홍수가 실제로 일어난 일임을 증명했다고 밝혀서 화제가 되고 있다. [대홍수 (大洪水)]
- 아니요. 면허는 땄지만 실제로 도로에서 주행을 해 보지 않아서 자신이 없어요. [주행 (走行)]
- 점쟁이가 올해 내 운세가 좋다고 했는데, 실제로 올해가 가기 전에 취직을 했다. [운세 (運勢)]
- 행정부에서 정책을 실제로 집행하는 과정에서 국민들과의 마찰이 있었다. [집행하다 (執行하다)]
- ‘국수’에서 ‘수’의 ‘ㅅ’은 실제로 발음할 때 경음으로 발음한다. [경음 (硬音)]
- 동경해 마지아니하던 분을 실제로 이렇게 뵙다니 영광입니다. [마지아니하다]
- 남자는 늘 일상의 테두리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지만 실제로 모험을 할 대담성은 지니지 못했다. [대담성 (大膽性)]
- 그동안 개념적으로만 이해하던 원리를 실제로 체험해 보니 색달랐어. [개념적 (槪念的)]
- 범죄를 계획했으나 실행을 하지 않은 미수의 경우, 범죄를 실제로 저지른 경우보다는 형벌이 가볍다. [미수 (未遂)]
- 어제 미소년으로 유명한 가수를 실제로 봤어. [미소년 (美少年)]
- 이 회사는 자유로운 회사 분위기를 표방을 하면서도 막상 실제로는 위계를 엄청 따지는 것 같아. [표방 (標榜)]
- 실제로 일도 안 해 보고 어떻게 네가 알아? [표방 (標榜)]
- 지수는 인터넷 대화방에서만 늘 만나던 사람들을 실제로 한번 만나 보기로 했다. [대화방 (對話房)]
- 실제로 그 가수의 노래를 들어 보니 어때? [기립하다 (起立하다)]
- 그가 제시한 것은 이론적 방법이기 때문에 실제로 효과가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이론적 (理論的)]
- 소년원 아이들에게 흔히들 편견을 갖고 있지만, 실제로 또래 아이들처럼 꿈을 위해 노력하는 귀한 아이들입니다. [소년원 (少年院)]
- 실제로 직접 경험하는 세계보다는 말로써 얻는 세계가 더 큰 거란다. [세계 (世界)]
- 응, 그런 말이 실제로 존재하면 굉장히 멋질 텐데. [없다]
- 실제로 사람이 저렇게 순간 이동을 할 수 있을까? [비과학적 (非科學的)]
- 같은 가격으로 수출을 해도 실제로 들어오는 외국 돈은 줄겠네. [평가 절상 (平價切上)]
- 네, 실제로 얼마 전 9년에서 8년으로 형량을 감면받은 죄수가 있었습니다. [감면하다 (減免하다)]
- 그는 우리들에게 단순히 말만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로 행동으로 보이겠다며 큰소리를 쳤다. [그치다]
- 많은 의사들이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믿을 만한 치료법입니다. [공인되다 (共認되다)]
-
ㅅㅈㄹ (
술자리
)
: 술을 마시는 자리.
☆☆
명사
🌏 GATHERING WITH DRINKS: A gathering in which people drink. -
ㅅㅈㄹ (
실제로
)
: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정말로.
☆☆
부사
🌏 ACTUALLY: In reality, neither fictitiously nor imaginarily; really. -
ㅅㅈㄹ (
실지로
)
: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부사
🌏 IN PRACTICE; IN REALITY: Actually, not fictitiously or imaginarily. -
ㅅㅈㄹ (
수정란
)
: 정자와 결합하여 수정이 이루어진 난자.
명사
🌏 FERTILIZED EGG: An egg that has finished fertilization with a sperm. -
ㅅㅈㄹ (
신작로
)
: 자동차가 다닐 수 있을 만큼 넓게 새로 만든 길.
명사
🌏 NEW ROAD; NEW HIGHWAY: A newly constructed road that vehicles can drive on. -
ㅅㅈㄹ (
산자락
)
: 평지와 만나는 산 밑의 비탈진 부분.
명사
🌏 FOOTHILL; SLOPE OF HILL: A slope near the base of a mountain, which meets a level ground. -
ㅅㅈㄹ (
삽자루
)
: 삽의 손잡이.
명사
🌏 SHOVEL HANDLE: A handle of a shovel. -
ㅅㅈㄹ (
성장률
)
: 한 나라나 지역의 경제 성장의 정도를 그 전 해와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
명사
🌏 GROWTH RATE: The economic growth rate of a country or region expressed as a comparison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
ㅅㅈㄹ (
소작료
)
: 다른 사람의 땅을 빌려 농사를 지은 대가로 땅 주인에게 내는 돈.
명사
🌏 FARM RENT: Money paid to the landlords as the price of borrowing his/her land for farming.
• 언어 (160) • 영화 보기 (8) • 외양 (97) • 음식 설명하기 (78) • 복장 표현하기 (121) • 교통 이용하기 (124) • 성격 표현하기 (110) • 스포츠 (88) • 초대와 방문 (28) • 음식 주문하기 (132) • 물건 사기 (99) • 집 구하기 (159) • 식문화 (104)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교육 (151) • 하루 생활 (11) • 종교 (43) • 연애와 결혼 (28) • 과학과 기술 (91) • 외모 표현하기 (105) • 공연과 감상 (52) • 정치 (149)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심리 (365) • 언론 (36) • 인간관계 (255) • 길찾기 (20) • 감사하기 (8) • 약국 이용하기 (6) • 한국의 문학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