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가다 , 변하여 가다 , 이용하다 , 끼치다 , 걸어가다
  •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에 관한 한자 모두 1,221

  • 弄瓦之慶 획순 弄瓦慶(롱와지경) :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瓦: 기와 之: 慶: 경사

  • 斷而敢行鬼神避之 획순 斷而敢行鬼神避(단이감행귀신피지) : 과단성(果斷性) 있게 행(行)하면 귀신(鬼神)도 이를 피(避)하여 어떠한 일도 성취(成就)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斷: 끊을 而: 말 이을 敢: 감히 行: 鬼: 귀신 神: 避: 피할 之:

  • 屋烏之愛 획순 屋烏愛(옥오지애) : 그 사람을 사랑하면 그의 집 지붕에 있는 까마귀까지도 사랑스럽게 보인다는 뜻으로, 깊은 사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屋: 烏: 까마귀 之: 愛: 사랑

  • 餓虎之蹊 획순 餓虎蹊(아호지혜) : 굶주린 범이 다니는 길이라는 뜻으로, 심히 위험(危險)한 곳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餓: 주릴 虎: 之: 蹊: 지름길

  • 腐腸之藥 획순 腐腸藥(부장지약) : 창자를 썩게 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좋은 음식과 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腐: 썩을 腸: 창자 之: 藥:

  • 莫逆間(막역지간) : 서로 거스르지 않는 사이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는 아주 친한 사이를 이르는 말.
    莫: 없을 逆: 거스를 之: 間:

  • 有無(사지유무) : 일의 있음과 없음.
    事: 之: 有: 있을 無: 없을

  • 天壤差(천양지차) :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天: 하늘 壤: 之: 差: 어긋날

  • 犬馬齡(견마지령) : 개나 말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더하듯이, (1) 아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먹는 일 (2) 자기(自己) 나이를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犬: 馬: 之: 齡: 나이

  • 自中難(자중지난) : 자기네(自己-) 한 동아리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自: 스스로 中: 가운데 之: 難: 어려울

  • 得意色(득의지색) :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만족해하거나 뽐내는 기색.
    得: 얻을 意: 之: 色:

  • 北門歎(북문지탄) :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했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北: 북녘 門: 之: 歎: 탄식할

  • 荒唐說(황당지설) : 참되지 않고 터무니없는 말.
    荒: 거칠 唐: 당나라 之: 說: 말씀

  • 殺戮弊(살육지폐) : (무엇을 트집잡아) 사람을 잔인(殘忍)하게 마구 죽이는 폐단(弊端).
    殺: 죽일 之: 弊: 해어질

  • 華首老(화수지노) : 흰머리의 노인이라는 뜻으로, 백발노인(白髮老人)을 이르는 말.
    華: 빛날 首: 머리 之:

  • 帳幕誼(장막지의) : 장수(將帥)와 막하들 사이의 정의(情誼).
    帳: 휘장 幕: 之: 誼: 옳을

  • 已過事(이과지사) : 이미 지나간 일.
    已: 그칠 過: 지날 之: 事:

  • 前事不忘後事師(전사지불망후사지사) : 전(前)에 한 일을 잊지 않으면 후(後)에 일을 하는 데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
    前: 事: 之: 不: 아니 忘: 잊을 後: 事: 之: 師: 스승

  • 河海恩(하해지은) : 큰 강이나 바다와 같이 넓고 큰 은혜.
    河: 강 이름 海: 바다 之: 恩: 은혜

  • 糊口計(호구지계)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之: 計:

  • 不動(요지부동) : 흔들어도 꼼짝하지 아니함.
    搖: 흔들릴 之: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半死境(반사지경) : 반죽음이 된 상태.
    半: 死: 죽을 之: 境: 지경

  • 有終美(유종지미) : 한번 시작한 일을 끝까지 잘하여 끝맺음이 좋음.
    有: 있을 終: 끝날 之: 美: 아름다울

  • 風波民(풍파지민) : 바람과 물결 같은 백성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동요(動搖) 되기 쉬운 백성이나, 마음이 동요되기 쉬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風: 바람 波: 물결 之: 民: 백성

  • 黃粱夢(황량지몽) : 메조밥 짓는 사이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一場春夢(일장춘몽)].
    黃: 누를 粱: 기장 之: 夢:

  • 長句學(장귀지학) : 문장(文章)의 장(章)과 귀(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
    長: 句: 글귀 之: 學: 배울

  • 隔墻隣(격장지린) : 담을 사이에 둔 이웃이라는 뜻으로, 서로 담을 사이에 두고 있는 아주 가까운 이웃의 의미. 곧 이웃사촌의 의미.
    隔: 사이 뜰 墻: 之: 隣: 이웃

  • 强近族(강근지족) :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强: 굳셀 近: 가까울 之: 族: 겨레

  • 一朝患(일조지환) : 어느 한때의 근심이나 재앙.
    一: 朝: 아침 之: 患: 근심

  • 斷金契(단금지계) : 쇠라도 자를 만큼의 굳은 약속이라는 뜻으로, 매우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斷: 끊을 金: 之: 契: 맺을

  • 燕鴻歎(연홍지탄)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燕: 제비 鴻: 큰기러기 之: 歎: 탄식할

  • 又兼(겸지우겸) : 여러 가지를 겸한 위에 다른 것을 또 겸함.
    兼: 겸할 之: 又: 兼: 겸할

  • 三族罪(삼족지죄) : 삼족이 모두 벌을 받을 만한 중죄.
    三: 族: 겨레 之: 罪: 허물

  • 南柯夢(남가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之: 夢:

  • 私其飮食禽雖類(사기음식금수지류) :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私: 사사 其: 飮: 마실 食: 禽: 날짐승 雖: 비록 之: 類: 무리

  • 載道器(재도지기) : 도덕적 가치를 담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문학’ 또는 ‘시’를 이르는 말.
    載: 실을 道: 之: 器: 그릇

  • 虎狼心(호랑지심) : 범과 이리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사납고 모질어서 자비롭지 못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虎: 狼: 이리 之: 心: 마음

  • 千乘國(천승지국) : 병거(兵車) 천 대를 갖출 힘이 있는 나라라는 뜻으로, 제후가 다스리는 나라를 이르는 말.
    千: 일천 乘: 之: 國: 나라

  • 天光貴(천광지귀) : 하늘에서 빛나는 것 가운데 가장 귀한 것이라는 뜻으로, ‘태양’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光: 之: 貴: 귀할

  • 背水陣(배수지진) : (1)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背: 水: 之: 陣: 진칠

  • (겸지겸지) :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려고, 이 일도 하고 저 일도 할 겸 해서. ⇒규범 표기는 ‘겸사겸사’이다.
    兼: 겸할 之: 兼: 겸할 之:

  • 發福地(발복지지) : 자손이 복을 받게 되는 좋은 집터나 묏자리.
    發: 福: 之: 地:

  • 難忘恩(난망지은) : 잊을 수 없는 은혜.
    難: 어려울 忘: 잊을 之: 恩: 은혜

  • 赫赫功(혁혁지공) : 빛나고 왕성한 공이라는 뜻으로, 훌륭하고 뛰어난 공적이라는 의미.
    赫: 빛날 赫: 빛날 之: 功:

  • 長久策(장구지책) :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長: 久: 오랠 之: 策:

  • 由來風(유래지풍) :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풍속.
    由: 말미암을 來: 之: 風: 바람

  • 記問學(기문지학) : 남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익혀 두는 학문. 참된 깨달음이 없는 학문을 이른다.
    記: 적을 問: 물을 之: 學: 배울

  • 邯鄲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子母心(자모지심) : 자애(慈愛)로운 어머니의 마음.
    子: 아들 母: 어미 之: 心: 마음

  • 愛國誠(애국지성) : 자기 나라를 사랑하는 정성.
    愛: 사랑 國: 나라 之: 誠: 정성

  • 題目件(제목지건) : 제목(題目)의 건이라는 뜻으로, 글의 첫머리에 쓰는 제목을 이르는 말.
    題: 이마 目: 之: 件:

  • 桂玉艱(계옥지간)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艱: 어려울

  • 回生望(회생지망) :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가망.
    回: 生: 之: 望: 바랄

  • 秦庭哭(진정지곡) :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초(楚)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로 가서 담에 의지하여 이레 동안 곡(哭)을 한 후에 비로소 원군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秦: 나라 이름 庭: 之: 哭:

  • 見而知(견이지지) : 실지로 보고 앎.
    見: 而: 말 이을 知: 之:

  • 言中意(언중지의) : 말 속에 나타난 뜻.
    言: 말씀 中: 가운데 之: 意:

  • 麥秀嘆(맥수지탄) :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麥: 보리 秀: 빼어날 之: 嘆: 탄식할

  • 伐性斧(벌성지부) : 인성(人性)을 베는 도끼라는 뜻으로,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르는 말.
    伐: 性: 성품 之: 斧: 도끼

  • 雌雄(오지자웅) :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선악과 시비를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烏: 까마귀 之: 雌: 암컷 雄: 수컷

  • 陟岵情(척호지정) : 고향에 있는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
    陟: 오를 岵: 之: 情:

  • 絶人力(절인지력) : 남보다 훨씬 뛰어난 힘.
    絶: 끊을 人: 사람 之: 力:

  • 漁夫勇(어부지용)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漁: 고기잡을 夫: 지아비 之: 勇: 날랠

  • 專城養(전성지양) : 한 고을의 원으로서 그 어버이를 봉양하는 일.
    專: 오로지 城: 之: 養: 기를

  • 狗馬心(구마지심) : 개나 말이 주인에 대하여 가지는 충성심이란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이르는 말.
    狗: 馬: 之: 心: 마음

  • 當然事(당연지사) : 마땅히 그러한 일.
    當: 마땅할 然: 그러할 之: 事:

  • 皮肉見(피육지견) : 깨달은 바가 천박(淺薄)함을 이르는 말.
    皮: 가죽 肉: 고기 之: 見:

  • 太史簡(태사지간) : 태사(太史)는 중국에서 기록을 맡아보던 벼슬아치로 사관(史官)을 말하고, 간(簡)은 문서를 말함. 즉, 역사가의 역사 기록. 역사를 기록함에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직필(直筆)함.
    太: 史: 사기 之: 簡: 대쪽

  • 勢利交(세리지교) : 권세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맺는 교제.
    勢: 기세 利: 날카로울 之: 交: 사귈

  • 行且謀(행차모지) : 행하면서 또한 도모한다는 뜻으로, 일을 처리하면서 거기에 따른 수단 방법을 세운다는 의미.
    行: 且: 謀: 꾀할 之:

  • 淸閑歡(청한지환) : 조용하고 여유(餘裕)가 있는 즐거움.
    淸: 맑을 閑: 한가할 之: 歡: 기뻐할

  • 藥籠物(약롱지물) : (1)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2)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藥: 籠: 대그릇 之: 物: 만물

  • 悔改心(회개지심) :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
    悔: 뉘우칠 改: 고칠 之: 心: 마음

  • 知希貴(지희지귀) : 아는 이가 드물어 귀하다는 뜻으로, 노자(老子)가 세상에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개탄하며, 세상이 나를 아는 사람이 드무니 나 혼자 귀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 구절임.
    知: 希: 바랄 之: 貴: 귀할

  • 死生地(사생지지) : 죽느냐 사느냐의 갈림길.
    死: 죽을 生: 之: 地:

  • 渺滄海一粟(묘창해지일속) : 넓고 푸른 망망한 바다에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 매우 큰 것 속에 하나의 아주 작고 보잘것없는 것이 끼여 있다는 뜻. 또는 이 넓은 세상(世上)에 사는 하나의 작은 인간(人間)이라는 뜻을 비유(比喩)함.
    渺: 아득할 滄: 海: 바다 之: 一: 粟:

  • 好生物(호생지물) :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않고 잘 사는 식물.
    好: 좋을 生: 之: 物: 만물

  • 百藥長(백약지장) : ‘술’을 달리 이르는 말. 온갖 뛰어난 약 가운데서 가장 으뜸이라는 뜻으로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 하편에서 나온 말이다.
    百: 일백 藥: 之: 長:

  • 合抱木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合: 합할 抱: 안을 之: 木: 나무 生: 於: 어조사 毫: 가는 털 末:

  • 火旺節(화왕지절) : 오행(五行)에서, 화기(火氣)가 왕성한 절기라는 뜻으로 ‘여름’을 이르는 말.
    火: 旺: 성할 之: 節: 마디

  • 百足蟲(백족지충) :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百: 일백 足: 之: 蟲: 벌레

  • 可使人(가사지인) : 쓸 만한 사람.
    可: 옳을 使: 부릴 之: 人: 사람

  • 可居地(가거지지) : 머물러 살 만하거나 살기 좋은 곳.
    可: 옳을 居: 있을 之: 地:

  • 盤石宗(반석지종) : 견고(堅固)한 기초(基礎).
    盤: 소반 石: 之: 宗: 마루

  • 千里駒(천리지구) : 하루에 천 리를 달릴 만큼 좋은 말이라는 뜻으로, 재주가 남보다 뛰어난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千: 일천 里: 마을 之: 駒: 망아지

  • 釜中魚(부중지어) : 솥 안에 든 물고기라는 뜻으로, 앞으로 오래지 않아 곧 죽게될 목숨이 위태로운 상태를 비유하거나, 닥칠 위험을 모르고 방탕에 빠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釜: 가마 中: 가운데 之: 魚: 고기

  • 羅浮夢(나부지몽) : 나부산(羅浮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덧없는 한바탕의 꿈을 이르는 말.
    羅: 그물 浮: 之: 夢:

  • 明明志(명명지지) :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外部)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
    明: 밝을 明: 밝을 之: 志:

  • 無道人(무도지인) : 도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함.
    無: 없을 道: 之: 人: 사람

  • 適口餠(적구지병) : 입에 맞는 떡.
    適: 口: 之: 餠:

  • 鶴脛雖長斷則悲(학경수장단지즉비) : 학의 다리가 길다고 끓으면 학은 슬퍼할 것이라는 뜻으로, 천부의 특징(特徵)을 부질없이 가감할 것이 아님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鶴: 脛: 정강이 雖: 비록 長: 斷: 끊을 之: 則: 悲: 슬플

  • 心腹患(심복지환) : (1)없애기 어려운 근심. (2)쉽게 고치기 어려운 병.
    心: 마음 腹: 之: 患: 근심

  • 伐性狂藥(벌성지광약) : 인성(人性)을 해치는 미치게 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술’을 이르는 말.
    伐: 性: 성품 之: 狂: 미칠 藥:

  • 四戰國(사전지국) : 지형(地形) 상(上) 사방(四方) 어느 곳에서도 적의 침입(侵入)이 가능(可能)한 나라.
    四: 戰: 싸움 之: 國: 나라

  • 事君事(사군지사) : 임금을 섬기는 일.
    事: 君: 임금 之: 事:

  • 徹天寃(철천지원) : 하늘에 사무치는 원한이라는 뜻으로,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크나큰 원한.
    徹: 통할 天: 하늘 之: 寃: 원통할

  • 亡國歎(망국지탄) : 나라가 망함에 대(對)한 탄식(歎息).
    亡: 잃을 國: 나라 之: 歎: 탄식할

  • 嗟來食(차래지식) : “자, 와서 먹어라.”라고 하며 주는 음식이라는 뜻으로, 무례한 태도로 주는 음식을 이르는 말. 모욕적인 대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嗟: 탄식할 來: 之: 食:

  • 四鳥別(사조지별) : 네 마리 새의 이별(離別)이라는 뜻으로, 모자(母子)의 이별(離別)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四: 鳥: 之: 別: 나눌

  • 田父功(전부지공) : 농부의 공이라는 뜻으로, 쫓고 쫓기다 서로 지쳐 쓰러진 개와 토끼의 싸움에 제 삼자였던 농부가 둘 다 얻는 득을 본다는 의미.
    田: 父: 아비 之: 功:

  • 董狐筆(동호지필) :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董: 바로잡을 狐: 여우 之: 筆:

2 3 4 6 7 8
#머리 141 #상태 110 #모양 142 #서로 71 #의지 69 #세상 339 #표현 88 #어버이 60 #따위 228 #생활 82 #자신 208 #형용 67 #지위 65 #근심 65 #어머니 72 #상대 56 #구름 67 #비유 1177 #하늘 251 #잘못 93 #사물 172 #사랑 91 #태도 72 #죽음 73 #재주 82 #방법 59 #재능 61 #예전 60 #물건 136 #중국 253